상징명칭(상승)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상승부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2사단 | 20사단 | 23사단 | 26사단 | 27사단 | |||
29사단 | 30사단 | 33사단 | 38사단 | 51사단 | |||
57사단 | 61사단 | 62사단 | 63사단 | 65사단 | |||
67사단 | 68사단 | 69사단 | 70사단 | 71사단 | |||
76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사단 | 해체된 사단 |
제61보병사단 {{{#ffffff 第六一步兵師團}}} {{{#ffffff The 61st Infantry Division}}} | ||||||
수도권 서북방 사수의 최후의 보루! | ||||||
창설일 | 1974년 4월 1일(제61훈련단) 1981년 8월 20일(제61보병사단) | |||||
해체일 | 2017년 11월 30일 | |||||
상징명칭 | 상승(常勝)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수도군단 | |||||
규모 | 사단 | |||||
역할 | 평시 예비군 교육관리 | |||||
초대 사단장 | 예) 준장 000(0사 00기) | |||||
해체 전 사단장 | 예) 준장 박일재(육사 42기) | |||||
위치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 |||||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을 근거지로 했던 수도군단 소속 사단. 별칭은 상승(常勝).[1] 1974년 4월 1일 창설되었으며, 2017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2. 연혁
1974년 4월 1일 광주광역시에서 제2야전군사령부 예하 61훈련단으로 부대가 창설되었다. 1981년 8월 20일 제62보병사단과 함께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광주 시절에는 사단 본부와 일부 예하 연대가 제31보병사단 본부 주둔지에 있었으나 1997년 1월에 인천광역시 부평구로 이전하면서 수도군단으로 이관되었다.[2]인천광역시로 부대이전 후 사단 본부를 비롯한 일부 부대가 제17보병사단과 같은 지역인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에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사단 본부와 일부 연대가 제17보병사단과 붙어있다. 나머지 예하 부대는 인근에 독립적으로 떨어져있었다.
동원사단으로서 특정 지역 예비군 관리를 담당했으며, 전시에는 예비군 인원을 충원하면서 전방으로 부대가 이동하는 임무를 가졌으며 이 때문에 비전시일 때는 완편 병력의 1/3도 안되는 병력만이 현역으로 복무했다.
경례 구호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충성"이었다.(전시 사단 창설 때는 "단결"이었다.)
차기동원사단 지정에 실패함에 따라 2017년 11월 30일, 제65보병사단과 같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국방일보 해당 주둔지는 수도군단 모 직할대가 들어와있다.
3. 편제
3.1. 사단직할대
- 본부근무대
- 수색대대
- 공병대대
- 정보통신대대
- 보급수송대대
- 정비대대
- 정비중대
- 수송중대 - 군사경찰대
- 의무근무대
- 화생방지원대
3.2. 제177보병연대 까치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3. 제178보병연대 선봉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연대본부중대, 통신중대, 수색중대, 전투지원중대, 수송대, 의무중대)
- 1대대(대대본부중대, 1중대, 2중대, 3중대, 4소대)
- 2대대(대대본부중대, 5중대, 6중대, 7중대, 8소대)
- 3대대(대대본부중대, 9중대, 10중대, 11중대, 12소대)
3.4. 제179보병연대 북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5. 포병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제351포병대대
- 제352포병대대
- 제353포병대대
- 제931포병대대
4. 광주 상무대 주둔 시절
창설당시부터 대략 1992년까지는 일반 부대에 비해 악명높은 훈련량으로도 유명할 때가 있었다. 그 당시, 충정훈련을 특전사, 충청권 일부 부대 등에서 실시했었는데, 전남지역 중에서는 61사단이 매우 악명높게 실시한 걸로 유명하다.특히 1989년, 1990년, 1991년 당시, 광주 상무대의 178연대는 주변 3군지단, 혹은 1118 야공단 병사들이 그들의 훈련량과 강도에 혀를 설레설레 내두를 정도였다고 한다. 군지단 병사들이, 야간근무에 투입된 178연대 위병 근무자들에게, 뜨거운 물을 손수 부은 컵라면을 가끔 갖다 주며 고생 많다고 위로해 주고 갔다는 후문도 있다.
당시 출퇴근 하던 단기사병들이 현역병과 동일한 훈련량에, 이럴려고 여길 왔나, 차라리 현역으로 가겠다고 했던 에피소드들이 많았다고 한다. 일반 동원사단에서 할 수 있는 강도와 훈련량을 뛰어넘는 매우 강도 높은 훈련이 이루어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특전사, 특공대 출신 간부들이 본부대와 각 대대에 두루 포진되어 있어서, 엄청난 구보와 강도높은 주야간 기동 행군, 주야간 사격 등 거의 특공부대 정도로 훈련량이 많았다고 한다. 적응이 어려웠던 대대 초급장교는 강도높은 훈련량에 기겁하여, 타부대로 전출을 도망치듯 간적도 있다고 한다.
하다못해, 일요일 종교행사를 상무대 내 각 종교 시설로 이동할 때도 그 먼 거리를, 웃통 벗고 오와 열을 맞춰, 특전사 군가인 독사가를 악을 쓰며 불러대고, 툭하면 폭풍구보로 이동하여, 당시 상무대 내 후반기 교육 이수중인 해병대 훈련병들도 그 기세에 놀랬다고 한다. 참고로, 178연대 본부대는 이 독사가를 거의 본부대가로 부를 정도였다고 한다.
하여튼, 당시 상무대에 배치되어 있던, 악명높은 이 178연대 관련 해서는, 주변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비하인드 스토리가 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1개 대대 내에서, 불미스러운 사고로 인해, 일부 병력들이 타 부대(특공대 포함)로 전출 가고, 그쪽 일부 병력들이 오는, 그런 일도 있었는데, 이 내용은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부분이다.
의무대에 입실해 있던 환자 중 걷기 힘든 환자들은 옆 연대에 입실시킨 후, 완전 부대 폐쇄 후에, 걸을 수 있는 환자들은 단독군장에 걷혀서라도 훈련에 참가시켜, 훈련장에서 근무를 서게도 했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그 훈련량이 대단했다고 한다. 또한, 의무중대 의무병들 같은 경우, 앰뷸런스를 타고 이동하는 것을 본 타 대대 병력들이 없다고 증언한다, 그들 또한 늘 타 병력들과 똑같이 행군하거나, 뛰어다녔다고 증언을 한다.
그 이후의 61사단에 대해서는, 상무대가 없어지면서, 장성으로, 또 인천으로 부대 이전이 되며, 제2막으로 넘어가게 된다.
5. 출신 인물
5.1. 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
역대 제61보병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前 사단장 | ||||
00대 | 이천근 | 예) 준장 | 3사 3기 | 前 제6포병여단장 | |
00대 | 정의환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00대 | 노학주 | 예) 준장 | 육사 35기 | 前 사단장 | |
00대 | 장기윤 | 예) 준장 | 육사 36기 | 前 수도포병여단장 | |
00대 | 송영호 | 예) 준장 | 육사 38기 | 前 제2작전사령부 정보처장 | |
00대 | 이병렬 | 예) 준장 | 3사 18기 | 前 제1방공여단장 | |
00대 | 박일재 | 예) 준장 | 육사 42기 | 前 제3기갑여단장 |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전남 광주 이후, 인천으로 이전 뒤 부터 61사단의 2막이 시작된다.동원사단이기 때문에 자체 훈련소가 없다. 논산의 육군훈련소와 인근의 제17보병사단 신병교육대[3] 등에서 병력이 주로 배치되었었다. 그 외에도 제51보병사단이나 제55보병사단 등 경기도권에 위치한 사단의 훈련소로부터 배치되었었다.
대중교통으로도 부대 앞까진 갈 수 있다. 송내역이나 부개역이 사단입구와 비슷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양쪽 모두 역에서 걸어서 20~30분 정도면 도착하며 부개역 근처에서 버스를 타면 사단 근처까지 갈 수 있기에 면회가 용이한 편.
61사 앞에 다니는 시내버스는 12번, 526번, 급행97번, 인천e음61번이 있다. 12번은 부평역,부개역에서, 526번, 인천e음61번은 부개역, 삼산체육관역, 급행97번은 굴포천역에서 타면 사단으로 갈 수 있다. 12번은 부대 위병소 바로 앞에서 회차를 해서 나오므로 로드뷰로 확인할 수 없는 구간이 있다.
제17보병사단과 붙어있다고는 하나 두 사단의 정문 입구가 많이 떨어져있어, 면회 등의 용무로 찾아가려면 아예 길이 다르다. 특히 택시 기사들 중에 두 사단을 구분하지 못하셔서 17사에 잘못 내려주시는 분도 종종 있다. 차라리 3군지사의 입구와 가까워 3군지사로 가달라 하는게 좋다. 사단이 해체되는 그 날까지 그냥 61사단 가달라고 해도 알아듣었었다.
다만 동원사단의 특징상 현역 병력의 수가 일반 상비사단의 1/6 수준(1개 중대가 1개 분대 규모이다)이라 실로 운이 좋지 않다면 뽑히기도 힘들고, 부대 규모도 작은 탓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대장 훈시를 한다면 생활관 하나에 모두 모여서 듣는다. 한 대대의 인원이 50명이 채 넘지 않을 때가 있다. 전쟁이 날 경우에 예비군들이 소집되어서 나머지 5/6이 채워지는 개념. 인원이 적은 직할대의 경우 심지어 한 부대예 십수명의 병사만 근무하기도 했다.
파라다이스란 소문과는 반대로 행정병이나 보급/수송 계열 병들은 죽어나가기도 하는 부대인데, 적은 현역 인원이 완편시에 대비한 완편치의 인원과 물자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다. 1/6의 인원이 사단 전체의 인사와 물자를 관리한다고 생각해보라. 행정 검열도 적지 않게 잡혀있고 그 일들을 적은 인원들이 다 감당을 해야하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오히려 규모가 큰 부대들의 행정병들보다 더 클 지도 모른다. 군수 계원은 장비, 물자 검열 때마다 힘들다. 현역의 물자뿐만 아니라 예비군 전시편제를 위한 물자까지 해야 하기 때문이다. 동원/경리 계원은 보통 인사 계원이 겸업하는데, 평소에는 인사 위주로 일을 하면 되지만 동원 인력 지정이나 예비군 훈련이 잡혀있을 때 환장할 정도로 업무가 빡세진다. 정비대대는 인사계원과 동원/경리 계원이 나뉘어 있지만 다른 대대와 다르게 수송과 정비인원 총 약 120여명 정도이다. 게다가 인사업무 외 전시에는 대대장실과 인사과, 본인 생활관 등 신경을 써야하며, 비파보직이기에 운전병이 뽑혀오면 인사업무 및 대대장 1호차 운전병을 겸직 한다고 한다. 평시에 인사업무 외 인사담당관 주임원사 중대장들 대대장의 사소한 행정 업무도 도와야 한다. 다른 대대 계원과 비슷하지만 몸은 편했어도 머리가 터질듯이 일이 많다는게 함정.
동원사단이었던 부대 특성상 3사 또는 전역을 앞둔 장교들이 많았다. 특히 동원사단은 편제가 보통 부대와 비교해서 한 계급씩 낮았으므로 사단직할 기행부대들의 지휘관들은 주요 보직에 배속되어 진급을 위한 명당이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원래는 중령 편제의 대대장에 소령이, 소령 편제의 직할대장에 대위가 보임되는 방식. 특히 모 직할대는 보임되었던 말년 대위 3명이 모두 진급에 성공하였다.
어느 부대와 다를게 없겠지만 특히나 대다수의 초임 장교, 부사관들은 일을 못한다고 소문이 나있다. 그래서 그런지 밑에서 죽어가는 용사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말이있다. 부대해체 후 수도군단 예하부대인 제61보병사단은 옆 제17보병사단으로 가는 인원들이 많았는데 전역한 용사들 사이에서는 제61보병사단 당시 일도 못하고 하지도 않았던 장교 한명이 정신 못차리고 일을 하다가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대대장에게 아부와 입으로 먹고 산다는 얘기가 나온다. 당연히 부사관과 용사들 사이에서는 평판은 바닥이다.
6.2. 사단가
1절
보아라 푸른하늘 상승의 터전
부풀은 가슴마다 희망 드높다
충성된 몸과 마음 갈고 또 닦아
조국의 평화 위해 목숨을 바칠
우리는 천하무적 평화의 사도
청사에 길이 빛날 61사단
2절
들어라 호국방패 조상의 자랑
상승인 곧은결개 용솟음 친다
백두산 상상봉에 태극기 꽂고
삼천리 통일조국 만만세 부를
우리는 천하무적 평화의 사도
청사에 길이 빛날 61사단
보아라 푸른하늘 상승의 터전
부풀은 가슴마다 희망 드높다
충성된 몸과 마음 갈고 또 닦아
조국의 평화 위해 목숨을 바칠
우리는 천하무적 평화의 사도
청사에 길이 빛날 61사단
2절
들어라 호국방패 조상의 자랑
상승인 곧은결개 용솟음 친다
백두산 상상봉에 태극기 꽂고
삼천리 통일조국 만만세 부를
우리는 천하무적 평화의 사도
청사에 길이 빛날 61사단
7. 사건사고
8. 여담
- 창단 때 31사에서 근무하던 병들이 대거 전출가서 1981년 중반기를 엄청나게 고생하며 부대를 창단하였다. 화학지원대가 가장 먼저 창단 작업을 완료하여 예하 부대 장교들이 비문 작업 및 각종 작계등을 배우러 자주 찾았다.
- 제17보병사단과 인접한 관계로 각종 교육(분대장 양성교육 등)은 대부분 제17보병사단에 위탁 교육을 했다. 하지만 이것도 제17보병사단 장병들에게 우선순위가 밀려 가지 않고 분대장을 다는 경우가 흔했다. 유격훈련 역시 제17보병사단의 번개유격장 또는 거마산유격장을 빌려 사용하고 일부 훈련에서는 17사단 병력을 대여(?)하기도 하는데 다름아니라 제17보병사단 현역들을 예비군으로 가정하여 완편 부대를 꾸린 다음에 기동훈련을 하는 것이었다.
- 대략 2004~2005년을 기점으로 사단장 훈시가 "잘 준비된 동원사단"에서 "잘 준비된 보병사단"으로 발전(!)하면서 현역과 소속 예비역들을 괴롭히고 있다. 실제로 이 시기에는 동원훈련을 하면서 예비군들을 모시고 작계지역으로 출동했다가 새벽 2시에 누더기같은 판초우의를 입힌 채로 두돈반에 태워서 복귀하고 복귀 후 총기 손질이 완료되고 나서야 잠재운 알흠다운 과거가 있다.
- 사단 영내에 실거리 사격장(북진 사격장)이 존재하는데, 제17보병사단과 같이 사용을 한다. 예전엔 제17보병사단이 관리했지만, 최근부터 해체되기 전까지 제61보병사단의 모 연대(179연대)에서 관리했다. 현재는 다시 제17보병사단 예하 모 연대가 관리를 맡는다.
- 2021년 하반기 인기 넷플릭스 드라마인 D.P., 2023년에 방영되었던 D.P. 시즌2와 2022년 7~8월에 방영 된 장삐쭈의 신병을 원작으로 만든 드라마 신병 시즌 1과 2023년 8-9월에 방영될 드라마 신병 시즌2의 주요 촬영지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구 제61보병사단 까치울연대(177연대) 막사 부지에서 촬영했다. [4][5]
[1] 떳떳할/항상 상(常), 이길 승(勝) 자를 사용하여 늘 이긴다는 의미이다.[2] 그래서 제31보병사단 본부 내에 (구)제61보병사단의 역사비가 설치되어 있다.[3] 제17보병사단 신병교육대가 2019년 9월 25일에 폐지되면서 전투부대로 바뀌었다.[4] 드라마 신병의 내부의 경우 경기북부 포천 한화리조트 산정호수 안시 강당에 촬영장을 마련해서 촬영했다. 출연진들은 리조트에서 생활하면서 촬영했다고 했다. 시즌2 역시 포천에서 진행되었다.[5] D.P. 시리즈 역시 내부는 세트장을 마련해서 촬영했다. 군당국에 촬영협조를 안 했고 허락을 받아주지 않을 뿐더러 혹시 모를 잡음을 막기 위한 방책이다. 게다가 폐막사 특성상 내부가 매우 지저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