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0:11:55

젠투펭귄

젠투펭귄
Gentoo penguin
파일:젠투펭귄.jpg
학명 Pygoscelis papua
Forster, 178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펭귄목(Sphenisciformes)
펭귄과(Spheniscidae)
젠투펭귄속(Pygoscelis)
젠투펭귄(P. papu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gentoo-penguins-beach-walking-820x463.jpg

1. 개요2. 외형3. 생태4. 기타

[clearfix]

1. 개요

젠투펭귄속에 속하는 펭귄으로 주로 남극 지방에 서식한다.

포클랜드 제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781년 동물학자 요한 라인홀드 포스터가 Pygoscelis papua란 학명을 붙였는데, 종명인 파푸아는 파푸아뉴기니의 그 파푸아를 말하는 것으로 막상 뉴기니에는 아시다시피 펭귄이 살고 있거나 살았던 적도 없고 젠투펭귄의 가장 가까운 서식지인 맥쿼리 섬과도 무려 6,000km 이상 떨어진 곳임에도 이 종이 뉴기니에서 나온 것으로 착각하여 그런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이다.

최대 시속 36km까지 유영할 수 있어 가장 빠르게 수영하는 새이자 육상동물이기도 하다. 물론 상어나 청새치 같은 대형 물고기보다는 느리지만 수중동물이 아닌 새나 네발동물 등 육상동물 중에서는 가장 빠른 수영속도이다. 인간의 수영이나 달리는 속도는 물론 평균적인 자전거 달리기 속도의 2배다. 우사인 볼트급 100미터 달리기 속도나 프로 사이클링 선수의 속도 경기기록 정도이다.

2. 외형

키는 51cm ~ 90cm 정도 되며 몸무게는 수컷이 최대 8.5kg 최소 4.9kg이고 암컷은 수컷보다는 약간 작으며 최대 8.2kg에서 최소 4.5kg정도 된다. 펭귄 가운데서 황제펭귄왕펭귄에 이어 덩치가 3번째로 큰 펭귄이다. 그런데 넘사벽으로 큰 황제펭귄왕펭귄이나 몇몇 소형종을 제외하면 다들 고만고만한 크기인지라 개체별로 차이가 있을 수는 있다. 크기 비교에 대한 사진은 펭귄 문서에 따로 있다.

새끼때는 털이 등쪽은 회색이고 배쪽으로는 하얀 솜털로 뒤덮여 있다. 하지만 다 성장하면 여타 펭귄들과 마찬가지로 털갈이를 하며, 배쪽은 여전히 흰색이고 머리나 등쪽은 보다 진한 검은색으로 바뀐다. 다만, 머리위쪽이 전부 검은색인것은 아니고 양눈 사이로 이어진 부분은 따로 머리띠 형태 무늬의 흰색 털이다. 부리의 색은 새끼때부터 주홍빛을 띄고 끝부분과 위쪽은 검은색을 띤 혼합형태다.

3. 생태

젠투펭귄은 처음 발견한 포클랜드 제도사우스조지아 섬에 주로 서식하며, 세종 과학기지가 있는 남극 킹 조지 섬에서도 서식한다. 같은 속에 속하는 아델리펭귄이나 턱끈펭귄과는 다르게 상당히 온순한 편이다. 보통 남극의 봄인 9월~10월에 둥지를 준비하기 시작하는데 간혹 서식지가 겹치는 턱끈펭귄들이 이곳을 차지해서 밀려나기도 한다.

둥지는 자갈 및 조약돌로 만든다. 둥지를 완성하고 암수 한 쌍이 짝을 지으면 서로 짝짓기를 시작한다. 짝짓기 이후 암컷은 알을 보통 2개 가량 낳는데, 가끔 1개 혹은 3개를 낳기도 한다. 3개를 낳으면 십중팔구 하나는 부화에 실패한다. 알은 암컷과 수컷이 서로 돌아가면서 포란하는데, 이때 간혹 알을 잃은 몇몇 펭귄이 도둑질을 하거나 도둑갈매기와 같은 바다새가 먹기도 한다. 그래서 이 시기의 젠투펭귄은 매우 예민해지기 때문에 사람이 둥지에 다가가면 평소 온순한 성격과는 달리 상당히 공격적인 태도로 대응하거나 겁을 먹고 둥지를 버리고 도망가는 일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1]

알을 품은지 한 달이 조금 지나면 부화하기 시작한다. 태어나서 처음 3주 동안은 부모가 번갈아가면서 지극정성으로 돌본다. 이때 가장 큰 천적은 역시나 도둑갈매기나 풀마갈매기 같은 사나운 바다새다.[2] 3주가 지나면 조금 방식이 바뀌는데, 일단 먹이부터 그냥 주질 않는다. 새끼들이 워낙 먹성이 많아지기 시작해서 부모는 보다 배고픈 새끼에게 먹이기 위해 뜀박질게임을 한다. 일단 새끼들이 먹이를 조르면 바로 주지 않고 뛰기 시작한다. 그러면 새끼들도 먹이를 먹기 위해 어미를 쫒아가기 시작하는데, 여기서 더 끈질긴 새끼를 보다 배고픈 새끼로 판단하여 끝까지 쫒아오는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는 같은 속에 속하면서 알을 2개씩 낳는 아델리펭귄이나 턱끈펭귄도 보인다.

태어난 지 한 달가량 지나면 새끼들의 덩치가 더욱 커져 부모가 번갈아 먹이를 구해오는 것만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는데, 이때부터는 유치원을 형성해 새끼들끼리 지낸다. 이러한 유치원 생활로 어미가 없는 동안 천적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도 한다.

여기서 한 달이 더 지나면 털갈이를 끝내고 물에 대한 적응훈련을 시작한다. 훈련 중에는 얕은 물에서 지내는데 적응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깊은 바다까지 들어간다. 천적으로는 앞에 전술했다시피 새끼 때는 주로 바다새나 카라카라며, 성체가 되어서 바다로 진출하기 시작할 때는 얼룩무늬물범,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 된다. 때로는 성체 젠투펭귄이 카라카라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참고로 범고래에 쫓기다 사람한테 도망와 목숨을 연명한 젠투펭귄도 있다. 줄곧 쫓기다가 2분이 좀 더 지나서 보트 위로 올라탄다.

주로 작은 물고기나 크릴새우 등을 먹는다. 먹이 중에 크릴새우의 색소가 붉은색을 띄는데, 그 때문에 배설물 색 또한 크릴새우와 마찬가지로 붉은색을 띈다. 여름에는 연안에서 유희를 즐기기도 하는데 이때 마치 프로펠러를 돌리는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남극에 서식하는 젠투펭귄들은 겨울이 되는 5~6월이면 보다 따뜻한 북쪽바다로 이동한다. 그런데 턱끈펭귄과는 달리 아주 멀리가지는 않아 한겨울에도 보이는 경우가 있다.

4. 기타

짐 캐리가 주연으로 나온 파퍼씨네 펭귄들2011년 영화 버전에서는 나오는 펭귄들이 젠투펭귄으로 등장했다.

백곰 카페에서 아델리펭귄, 턱끈펭귄과 함께 펭귄의 개체가 다양하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 등장한다. 자세한건 백곰 카페/등장인물 문서 참조.

케모노 프렌즈에서도 PPP의 맴버중 하나로 등장. 나름 노력파에 청순파 컨셉이지만 이렇다 할만한 특징이 없는 것이 특징이 되어버렸다(...).

국내에서는 서울동물원 개원 초기 해양관에서 5마리가 입식된 적이 있으나 여름의 살인적인 더위를 회피할 수단을 마련치 못하여 당해를 넘기지 못하고 전원 폐사했다. 이후로 아프리카펭귄을 도입하기 까지 무려 20년 동안 서울동물원에는 펭귄이 없었다. 이후 2018년도부터 아프리카펭귄도 없어지며[3], 현재 서울동물원에는 펭귄이 없다.

이후 국립생태원에서 젠투펭귄을 전시하는 것으로 국내에 재도입했다. 2017년 11월 28일, 국립생태원이 젠투펭귄이 낳은 알 2개가 국내 최초로 부화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2012년 11월 일본 나고야항 수족관에서 남극펭귄인 젠투펭귄 6마리(수컷 4, 암컷 2)와 턱끈펭귄 5마리(수컷 2(한마리는 적응하지 못하고, 건강상태가 나빠저 폐사), 암컷 3)를 들여왔으며, 약 5년만에 부화의 결실을 맺었다.# 서울동물원이 질 낮은 환경을 제공해 전원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것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다.

학교 교사가 자주 이용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쿨메신저젠투의 아이콘도 젠투펭귄.

리눅스 여러 배포본 중에도 젠투펭귄의 이름을 딴 젠투 리눅스라는 배포본도 있다.


[1] 남극의 연구진들이 젠투펭귄의 겁 때문에 상당히 애를 먹는다. 펭귄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펭귄의 몸에 카메라와 측정장치를 붙이는 일을 하는데 이를 회수할 때 상당히 애를 먹는다고.[2] 바다새뿐만 아니라 맹금류인 카라카라도 천적이다. 카라카라는 자신보다 더 큰 젠투펭귄도 덮쳐서 잡아먹는다.[3] 폐사했는지 다른 동물원으로 보내졌는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