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60202, #820000 20%, #820000 80%, #660202); color:#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820000> 단군조선 | |||
초대 군주 | 계보 미상 | 제?대 군주 | ||
조선후 ?세 | ||||
<rowcolor=#ffd400> 계보 미상 | 초대 왕 | 제2대 왕 | 제3대 왕 | |
조선왕 1세 | 조선왕 2세 | 조선왕 3세 | ||
<rowcolor=#ffd400> 계보 미상 | 제?대 왕 | 말대 왕 | ||
부왕 | 준왕 | |||
<rowcolor=#820000> 위만조선 | ||||
<rowcolor=#ffd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멸망 | |
위만왕 | □왕 | 우거왕 | ||
}}}}}}}}}}}} |
고조선 ?대 단군 조선후 | 朝鮮侯 | |||
<colbgcolor=#820000><colcolor=#ffd400> 출생 | 연대 미상 | ||
고조선 추정 | |||
사망 | 연대 미상 | ||
고조선 추정 | |||
재위기간 | 제?대 단군 | 조선후 | ||
기원전 7세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20000><colcolor=#ffd400> 성 | ||
휘 | 불명 | ||
부친 | 불명 | ||
모후 | 불명 | ||
시호 | 불명 | ||
왕호 | 조선후(朝鮮侯) | ||
단군(檀君) | }}}}}}}}} |
[clearfix]
1. 개요
고조선 군주로 기원전 7세기에 고조선이 제와 교역했을 당시 재위에 있었던 단군 또는 조선후다.중국의 역사서인 위략에 따르면 조선후(朝鮮侯)가 군주의 칭호로 나온다.[1] 토착 고조선의 기원전 7세기 경에 재위했던 조선 군주(단군[2])로 추정된다.
2. 활동
관자(管子)에 기원전 7세기 초기 제(齊)와 발(發)과 조선(朝鮮)이 교역했다고 하며, 제환공이 하나의 표범 가죽을 값지게 받아들여 준 후에야 발과 조선이 입조했다고 한다.고조선이 최초로 문헌에서 언급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의 고조선 군주는 제나라의 환공(桓公)과 활동 기간이 겹친다. 문헌에서 고조선 군주가 직접 언급되지는 않으나 여러 오랑캐들 중 한명이란 식으로 뭉뚱그려 언급되고 또한 군주정을 갖춘 오, 월과 동격(同格)으로 기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교역을 했다는 사실만 간략히 언급된다.[3] 물론 『관자』는 기원전 7세기 경 실존인물 관자의 저술이라고 보지는 않고 그 이후에 관자의 이름을 빌려 저술된 것으로 보지만, 그 내용에는 기원전 7세기의 사실이 반영되어 있을 것이라고 본다.
다만 기원전 7세기에 과연 고대국가로서 조선이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단지 종족명이나 지역명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시기 유물[4] 및 사료가 워낙 적고 2000년대 이후의 고고학계에서 요서 지역(십이대영자 문화)를 어느정도 발전된 형태의 국가가 형성되었다고 보며 이를 고조선이라고 추정은 하고 있으나, 이들이 조선이라는 국명을 당시에 사용했는지 여부가 불확실한지라 정설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 정말 사료가 없다. 이 문단 앞에서 언급된 발조선이 한 단어인지, 발과 조선을 각각 칭한 것인지 조차 의견이 분분한 상황에서 언제 후라는 호칭을 칭했고 군주의 휘가 무엇이고 할게 남아있지 않다.
3. 청주 한씨 족보
청주 한씨 족보와 속기자지에 기록된 기자조선의 왕계보도[5]에 따르면 이 당시 고조선(기자조선) 군주의 시호는 효종왕(孝宗王)[6][7], 휘는 존(存)이라고 하는데 근거는 전무하다.한편 20세기 초에는 이와 같은 기자조선의 왕계보도가 일부는 역사로서 수용되기도 했는지 대한제국 시기의 여러 역사 교과서[8]에 효종왕과 효종왕의 치세에 대한 기록[9][10]이 수록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학계에서 기자조선 자체가 부정되며, 족보는 조작이라는 것이 정설이므로 21세기 기준 이 기록은 인정되지 않는다.
4. 문헌
桓公曰 四夷不服 恐其逆政 游於天下 而傷寡人 寡人之行 爲此有道乎。 管子對曰 吳越不朝 珠象而以爲幣乎。發·朝鮮不朝 請文皮毤【他臥切 落毛也。】服而以爲幣乎。 … (중략) … 一豹之皮 容金而金也 然後八千里之發朝鮮可得而朝也。 … (중략) … 故物無主 事無接 遠近無以相因 則四夷不得而朝矣。
(제나라) 환공이 말하기를, "사방의 오랑캐가 복종하지 않아, 천하를 거스르는 정치를 하여 과인이 해를 입을까 두렵다. 과인의 행함에 길이 있는가?" 관자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오나라와 월나라가 입조하지 않으면, (그들의) 구슬과 상아를 보물로 대우해 주십시오. 발조선이 입조하지 않으면, 무늬있는 털가죽【발음은 타(他)와 와(臥)의 반절이다. 낙모(落毛)를 말한다.】과 옷을 청하여 보물로 대우해 주십시오. … (중략) … 하나의 표범 가죽을 값지게 받아들여 준 후에야 8000리 밖의 발조선에게서 입조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 (중략) … 물건에 주재하는 바가 없고, 일에 접하는 바가 없고, 멀고 가까운 곳이 서로 관계하는 바가 없으면, 사방의 오랑캐가 입조하지 않을 것입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관자』 경중 갑 편}}}(제나라) 환공이 말하기를, "사방의 오랑캐가 복종하지 않아, 천하를 거스르는 정치를 하여 과인이 해를 입을까 두렵다. 과인의 행함에 길이 있는가?" 관자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오나라와 월나라가 입조하지 않으면, (그들의) 구슬과 상아를 보물로 대우해 주십시오. 발조선이 입조하지 않으면, 무늬있는 털가죽【발음은 타(他)와 와(臥)의 반절이다. 낙모(落毛)를 말한다.】과 옷을 청하여 보물로 대우해 주십시오. … (중략) … 하나의 표범 가죽을 값지게 받아들여 준 후에야 8000리 밖의 발조선에게서 입조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 (중략) … 물건에 주재하는 바가 없고, 일에 접하는 바가 없고, 멀고 가까운 곳이 서로 관계하는 바가 없으면, 사방의 오랑캐가 입조하지 않을 것입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1] 중국측에서 일방적으로 부른 것인지 고조선에서 스스로 자칭했는지는 알 수 없다.[2] 다만 단군이라는 단어가 가장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삼국유사가 최초로, 단정적으로 당시 고조선의 군주가 단군을 군주의 호칭으로 사용했다고 보는 것은 추정상 무리가 많다. 당대의 사서가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다는게 크지만[3] 해당 시기 요동반도 동부는 래이라고 칭해지는 이민족들이 남아있었고, 요녕지방과의 교역도 이들을 통해서 해야했다.[4] 청동기는 다수 나와도 국가 형성의 단계라고 확정지을만한 도시 유적이나 왕궁 유적이 요동~한반도 서북부 평안도 지방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는다.[5] 후대의 숭조작업으로 왜곡되어진 것으로 현재 사학계에서는 역사적으로 가치를 두지 않는다.[6] 고조선 군주가 처음 칭왕한것은 300년 뒤의 기원전 4세기의 조선후때부터 이기에 기원전 7세기의 고조선 군주가 왕을 칭했을리는 전무하다.[7] 속기자지와 청주한씨 족보에 따르면 효종왕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675년~기원전 658년으로 제환공의 재위 기간에 전부 포함되며 효종왕의 제나라 관련 기록으로 보아 제나라,노나라와 교역했다는 선대 군주인 정경왕(貞敬王) 궐(闕)과 함께 기원전 7세기 발조선이 제나라와 교역했다는 관자의 기록이 투영되어진 것으로 추측된다.[8] 대표적으로 1906년 발행된 중등 역사 교과서인 동국사략과 독립운동가 황의돈이 저술한 대동청사가 있다.[9] 효종왕(孝宗王) 존(存)은 선우익(鮮于益)을 제나라에 보내어, 환공(桓公) 강소백(姜小白)의 정치를 관찰하여 범장률(犯贓律)을 제정하였다. 제나라에서 보낸 사신 공손각(公孫恪)을 후하게 예우하였고, 선비(鮮卑) 서백리(西伯里)의 추장, 길리도두(吉利都頭)에게 상을 주었다.[10] 1906년 출간된 역사 교과서인 동국사략에 수록된 효장왕의 기록으로 기원전 7세기 고조선이 제나라와 교역했다는 기록을 과장시킨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