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47:23

중앙대학교/학부/창의ICT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중앙대학교/학부|중앙대학교/학부]]

파일:중앙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재단 교통 축제 홍보 대사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학내 언론
기숙사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운동부
농구부 축구부 야구부 블루 드래곤스
부속 병원
파일:중앙대학교병원 심볼.svg 중앙대학교의료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부속 학교
부속유치원 부속중학교
}}}}}}}}}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의 단과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교양대학
가상융합대학 혁신융합공과대학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교 · 조선이공대학교 }}}}}}}}}



1. 개요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College of ICT Engineering
파일:external/news.cau.ac.kr/yMpFwYA2pTS8ty1JVS25NqlJKnXAnWzP.jpg
의혈중앙 통일공대
전자전기공학부 융합공학부
중앙대학교의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은 2014년에 기존 공과대학에서 전자전기공학부, 컴퓨터공학부[1], 융합공학부가 분리되어 신설된 단과대학이다. 2014년 11월에 출범식을 가졌다.

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과 마찬가지로 창의ICT공과대학에 입학하면 Placement Test를 치르는데,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기초미분적분학, 기초물리학 수강 대상이 된다.

2. 학부

2.1. 전자전기공학부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홈페이지
1968중앙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1970중앙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1989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1996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제어공학부
1997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2014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파일:첨단전전.jpg
의혈중앙 첨단전전

2.2. 융합공학부

School of Integrative Engineering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홈페이지
2011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융합공학부
2014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융합공학부
창조융합

융합공학부는 타 학부처럼 봅스트홀, 제2공학관을 쓰지 않고 독자 건물로 전산정보관(202관)을 사용한다.

2.2.1. 나노소재공학전공

Nanomaterials Engineering Major

2.2.2.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Biomedical Engineering Major

3. 졸업

2011학년도 이후 창의ICT공과대학 입학자는 반드시 영어 능력과 한자 능력을 공인 어학 성적을 통해 인증해야 한다. 2014년도 이후 순수 외국인 전형 입학자는 한국어 능력을 추가적으로 인증해야 한다.


[1]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