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중앙대학교/학부|중앙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서울캠퍼스 | 다빈치캠퍼스 | |||
학교 정보 | ||||
역사 | 상징 | 학부 | 대학원 | |
재단 | 교통 | 축제 | 홍보 대사 | |
학사 제도 | 동아리 | 총학생회 | 학내 언론 | |
기숙사 | 출신 인물 | 사건 사고 | ||
운동부 | ||||
농구부 | 축구부 | 야구부 | 블루 드래곤스 | |
부속 병원 | ||||
| 중앙대학교병원 | |||
중앙대학교광명병원 | ||||
부속 학교 | ||||
부속유치원 | 부속중학교 |
|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자연과학대학 |
생명공학대학 | 공과대학 | 창의ICT공과대학 | 소프트웨어대학 |
경영경제대학 | 의과대학 | 약학대학 | 적십자간호대학 |
예술대학 | 예술공학대학 | 체육대학 | 교양대학 |
가상융합대학 | 혁신융합공과대학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 |||||||||
대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
CAC |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 |||||||||
ETAC |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 ||||||||
더블린 |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교 · 조선이공대학교 | }}}}}}}}} |
1. 개요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College of ICT Engineering | |||
의혈중앙 통일공대 | |||
전자전기공학부 | 융합공학부 |
창의ICT공과대학은 2014년에 기존 공과대학에서 전자전기공학부, 컴퓨터공학부[1], 융합공학부가 분리되어 신설된 단과대학이다. 2014년 11월에 출범식을 가졌다.
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과 마찬가지로 창의ICT공과대학에 입학하면 Placement Test를 치르는데,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기초미분적분학, 기초물리학 수강 대상이 된다.
2. 학부
2.1. 전자전기공학부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홈페이지
1968 | 중앙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
1970 | 중앙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1972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1989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1996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제어공학부 |
1997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
2014 |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
의혈중앙 첨단전전
2.2. 융합공학부
School of Integrative Engineering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홈페이지
2011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융합공학부 |
2014 |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융합공학부 |
창조융합
융합공학부는 타 학부처럼 봅스트홀, 제2공학관을 쓰지 않고 독자 건물로 전산정보관(202관)을 사용한다.
2.2.1. 나노소재공학전공
Nanomaterials Engineering Major2.2.2.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Biomedical Engineering Major3. 졸업
2011학년도 이후 창의ICT공과대학 입학자는 반드시 영어 능력과 한자 능력을 공인 어학 성적을 통해 인증해야 한다. 2014년도 이후 순수 외국인 전형 입학자는 한국어 능력을 추가적으로 인증해야 한다.- 영어 능력의 경우, G-TELP 62점(Level 2), 84점(Level 3), TEPS 327점, TOEFL 500점(PBT), 173점(CBT), 61점(IBT), TOEIC 700점 이상을 획득하거나 G-TELP Speaking Level 5, OPIc IM, TOEIC Speaking Level 6 등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 한자 능력의 경우, 한국어문회, 대한상공회의소, YBM, 한국평생교육평가원,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한국외국어평가원, 한자교육진흥회,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한국정보관리협회 등 9개 단체가 시행하는 한자 공인 시험의 3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 한국어 능력의 경우, TOPIK 4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단,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과 기관 간의 별도 협정 또는 글로벌 트랙 입학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