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암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동생에 대한 내용은 제레미 지암비 문서 참고하십시오.제이슨 지암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00 | 2001 | 2002 | |
2003 | 2004 |
200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이반 로드리게스 (텍사스 레인저스) | → | 제이슨 지암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스즈키 이치로 (시애틀 매리너스) |
2001년 ~ 200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1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카를로스 델가도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제이슨 지암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뉴욕 양키스) | → | 카를로스 델가도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02년 메이저 리그 올스타 게임 홈런 더비 우승자 | ||||
루이스 곤잘레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 제이슨 지암비 (뉴욕 양키스) | → | 개럿 앤더슨 (애너하임 에인절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3831> | 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8년 헌액된 인물 | |||
<rowcolor=#003831>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43 | 데니스 에커슬리 | 투수 | 1987~1995 | |
32,38, 34 | 롤리 핑거스 | 투수 | 1968~1976 | |
39, 35, 22, 24 | 리키 헨더슨 | 좌익수 | 1979~1984 1989~1993 1994~1995 1998 | |
27 | 캣피시 헌터 | 투수 | 1965~1974 | |
9, 44 | 레지 잭슨 | 우익수 | 1967~1975 1987 | |
34, 35 | 데이브 스튜어트 | 투수 | 1986~1992 1995 | |
- | 찰리 핀리 | 구단주 단장 | 1960~1981 | |
2019년 헌액된 인물 | ||||
<rowcolor=#003831>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10, 11, 22, 29, 42 | 토니 라 루사 | 내야수 감독 | 1963 1968~1971 1986~1995 | |
14, 17, 21, 28, 35 | 바이다 블루 | 투수 | 1969~1977 | |
19 | 버트 캄파네리스 | 유격수 | 1964~1976 | |
25 | 마크 맥과이어 | 1루수 | 1986~1997 | |
- | 월터 A. 하스 주니어 | 구단주 | 1981~1995 | |
2021년 헌액된 인물 | ||||
<rowcolor=#003831>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 | 코니 맥 | 감독 구단주 | 1901~1950 1901~1954 | |
- | 에디 콜린스 | 2루수 | 1906~1914 1927~1930 | |
- | 홈런 베이커 | 3루수 | 1908~1914 | |
- | 치프 벤더 | 투수 | 1903~1914 | |
2 | 미키 코크런 | 포수 | 1925~1933 | |
2, 3 | 지미 폭스 | 1루수 | 1925~1935 | |
10 | 레프티 그로브 | 투수 | 1925~1933 | |
- | 에디 플랭크 | 투수 | 1901~1914 | |
6, 7, 28, 32 | 알 시몬스 | 좌익수 코치 | 1924~1932 1940~1941, 1944 1940~1945 | |
- | 루브 워델 | 투수 | 1902~1907 | |
2022년 헌액된 인물 | ||||
<rowcolor=#003831>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30, 3 | 에릭 차베스 | 3루수 | 1998~2010 | |
6 | 살 반도 | 3루수 | 1966~1976 | |
15, 45, 8, 36, 26 | 조 루디 | 좌익수 1루수 | 1967~1976 1982 | |
10 | 레이 포시 | 포수 해설자 | 1973~1975 1986~2021 | |
- | 키스 리프먼 | 팜 디렉터 | 1971~ | |
- | 스티브 부치니크 | 클럽하우스 매니저 | 1966~ | |
2023년 헌액된 인물 | ||||
<rowcolor=#003831>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16 | 제이슨 지암비 | 좌익수 1루수 | 1995~2001 2009 | |
26, 7, 4 | 밥 존슨 | 좌익수 | 1933~1942 | |
5, 4 | 카니 랜스포드 | 3루수 | 1983~1992 | |
24, 38, 18 | 진 테니스 | 포수 1루수 | 1969~1976 | |
- | 로이 스틸 | 퍼블릭 어드레스 아나운서 | 1968~2005 2007~2008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6번 | ||||
트로이 닐 (1993~1994) | → | <colbgcolor=#efb21e> 제이슨 지암비 (1995~2001) | → | 리치 하든 (2003) |
뉴욕 양키스 등번호 25번 | ||||
랜디 벨라르데 (2001) | → | 제이슨 지암비 (2002~2008) | → | 마크 테세이라 (2009~2016)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6번 | ||||
제이 페이튼 (2005~2006) | → | 제이슨 지암비 (2009) | → | 조시 윌링햄 (2011)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23번 | ||||
라이언 스파이어 (2005~2008) | → | <colcolor=#ffffff> 제이슨 지암비 (2009~2012) | → | 찰리 컬버슨 (2013~2014)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25번 | ||||
비니 로티노 (2012) | → | 제이슨 지암비 (2013~2014) | → | 짐 토미 (영구결번)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72번 | ||||
공석 | → | 제이슨 지암비 (2014) | → | 결번 |
제이슨 지암비 Jason Giambi | |
본명 | 제이슨 길버트 지암비 Jason Gilbert Giambi |
출생 | 1971년 1월 8일 ([age(1971-01-08)]세) |
캘리포니아 주 웨스트코비나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롱비치 캠퍼스 |
신체 | 190cm / 108kg |
포지션 | 1루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입단 | 1992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8번, OAK) |
소속팀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5~2001) 뉴욕 양키스 (2002~2008)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9) 콜로라도 로키스 (2009~201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3~2014) |
가족 | 동생 제레미 지암비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전 야구 선수.2. 선수 생활
2.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드래프트에서 밀워키 브루어스에 43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대학행을 선택했고, 롱비치주립대[1]에 입학한 후 바르셀로나 올림픽 국가대표로 뽑히는 등 가능성을 인정받았고, 결국 1992년 드래프트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2라운드 지명을 받으며 프로야구 선수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마이너 리그 베이스볼에서 3년을 보낸 뒤 1995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해 54경기에 뛰었고, 이듬해인 1996시즌부터 풀타임 메이저리거로 활약하게 된다.
1996년과 1997년 2년 연속으로 20개의 홈런을 때려냈는데 특히 1997 시즌 중반 팀의 간판타자였던 마크 맥과이어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떠나면서 차기 클럽하우스 리더로 지암비를 지목하면서 팀내에서 그의 위치는 더욱 확고해졌다.
그리고 1998 시즌에는 0.295 27홈런 110타점, 1999 시즌에는 0.315 33홈런 123타점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하다가, 이듬해인 2000 시즌, 0.333 43홈런 137타점의 엄청난 활약로 프랭크 토마스를 제치고 아메리칸리그 MVP에 오른다.
2001 시즌에도 0.342 38홈런 120타점의 흠잡을 데 없는 성적을 기록하는데, 일본에서 갓 건너와 매리너스를 MLB 역대 최다승 타이인 116승으로 이끌며 일약 센세이션을 일으킨 스즈키 이치로에 밀려 2년 연속 MVP 수상에는 실패했고 실버 슬러거 수상에 만족해야 했다.
시즌 후 지암비는 FA자격을 얻었는데, 메이저리그 최고의 타자 반열에 오른 그의 가치는 그야말로 하늘을 찌를 듯 했다. 월터 하스 구단주의 사망 이후 가난하기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구단이 된 오클랜드에서 그를 더 이상 붙잡을 방법은 없었고, 결국 7년 1억 2,000만 달러의 블록버스터급 계약을 맺으며 뉴욕 양키스로 이적하게 된다.
2.2. 뉴욕 양키스
이적 첫 해인 2002 시즌, 양키스 팬들은 지암비가 지난 시즌까지 뛰었던 티노 마르티네스가 이적했기 때문에 그의 대체자로 활약해주기를 바랬다. 시즌 시작 후 오클랜드 시절만큼의 활약을 펼치더니 시즌 최종성적은 .314 .435 .598 41홈런 122타점으로 팀의 기대치를 만족시켰고 전설 베이브 루스의 별명 밤비노(BAMBINO)에서 따온 지암비노(GIAMBINO)라는 별명을 얻었다.하지만 이듬해인 2003 시즌, 지암비의 타율은 0.250으로 곤두박질치는데, 리그 1위인 140개의 삼진을 당하는 등 이전의 정교함이 실종된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41홈런과 107타점을 기록하며 체면치레는 했고, 출루율은 그 와중에도 4할을 찍는 등 9할대의 OPS로 여전히 수준급의 생산력은 유지하고 있었다. [2]
그리고 보스턴 레드삭스와 벌인 2003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7차전에서 페드로 마르티네스를 상대로 두 개의 홈런을 쏘아올리며 팀을 2003년 월드 시리즈에 올려놓는 데 큰 공헌을 한다.
그리고 지난 시즌 아쉬움을 만회하기 위한 2004년, 뇌하수체 종양과 기생충 감염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리다가 결국 시즌 총 80경기에서 .208 .342 .379 12홈런 40타점이라는 커리어 최악의 성적을 기록한다.
그리고 2004년 12월, 그가 과거 배리 본즈가 중심이 되어 불거졌던 BALCO 스캔들 당시 연방대배심에서 동생인 제레미 지암비와 함께 그동안 스테로이드를 복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는 더 이상 메이저리그 최고의 스타가 아니라, 비겁한 약쟁이로 낙인찍히게 된다.
이듬해인 2005년, 계륵으로 전락한 지암비는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이대로 끝나나 싶었지만 그 해 7월 한 달 동안 미키 맨틀과 더불어 양키스 한 달 최다홈런 타이기록인 14개의 홈런을 쏘아올리며 극적으로 부활하는 데 성공한다. 2005시즌 최종성적은 0.271 32홈런 87타점인데, 특히 0.440의 출루율은 리그 1위였다. 이 같은 활약으로 아메리칸 리그 올해의 재기선수상까지 수상했다. 역시 약이 좋긴 좋나보다.
2006 시즌에도 .253 .413 .558 37홈런 113타점으로 전성기 시절에 비해선 아쉽지만 괜찮은 활약을 했으나, 2007시즌에는 부상에 시달리다가 83경기 .236 .356 .433 14홈런에 그쳤다. 그리고 시즌 후 공개된 미첼 리포트에서 그의 이름이 올라오면서 다시 한번 고개를 숙인다.
계약 마지막 해인 2008 시즌에는 0.247 32홈런 96타점을 기록했는데, 양키스는 마크 테세이라를 잡기 위해 지암비와의 재계약을 포기하게 된다.
2.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기
1년 350만 달러의 계약으로 친정팀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유니폼을 입는다. 나이를 먹긴 했지만 여전히 뛰어난 장타력과 귀신 같은 출루능력을 보유한 그였고 팬들 사이에서도 '환영한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83경기에서 0.193 11홈런 40타점으로 그야말로 폭망했다. 물론 특유의 타율 대비 출루율은 귀신같아서 0.332를 찍었던 것을 감안하면 타율만 대충 5푼 정도 높았어도 살아남을수도 있었을테지만 시즌 중 방출되었다.
2.4. 콜로라도 로키스
그렇게 시즌 중 쓸쓸하게 방출된 그를 와일드카드 레이스를 벌이던 콜로라도 로키스가 주워갔는데, 토드 헬튼이 있어서 주전은 아니고 주로 대타로 들어서며 2홈런 11타점의 괜찮은 활약을 하며 재계약하게 된다.
2010 시즌에는 대타와 백업 1루수를 오가며 0.244 6홈런 35타점을 기록했고, 2011 시즌에는 초반 3연타석 홈런, 쿠어스 필드에서의 시즌 첫 끝내기 홈런이 된 쓰리런을 쏘아올리는 등 노익장을 과시하며 0.260 13홈런 32타점의 좋은 활약을 했다. 시즌 중 지명타자를 구하는 AL 팀들이 트레이드를 끊임없이 문의할 정도였으며, 인터리그 뉴욕 원정에서는 오랜만에 선발로 나와 A.J. 버넷을 두들겨 홈런을 날리며 양키 팬들에게 기립박수를 받기도 했다.
시즌 후 상호 옵션을 실행하면서 2012 시즌에도 내셔널리그에 남게 되었다. 덴버에서의 생활에 아주 만족한다고 한다. 그러나 2012 시즌엔 .225 .372 .303 1홈런 8타점에 그쳤다.
2.5.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2 시즌 종료 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으며 2013년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살아남아 액티브 로스터에 합류했다.2013 시즌 때는 수비를 보지 않고 순수하게 지명타자로만 출장한다. 비율 스탯은 .194/.301/.411으로 좋지 않으나 필요할 때마다 장타를 때려주고 있다.
7월 2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홈 경기에서 9회말 끝내기 홈런을 치면서 행크 애런이 보유하고 있던 끝내기 홈런을 친 가장 나이많은 선수 기록을 갱신하게 되었다. 9월 24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홈 경기에서 또 다시 9회말 끝내기 투런 홈런을 치며 자신의 기록을 다시 갱신했다.
2015년 2월 16일, 결국 은퇴 선언을 하였다.
3. 이모저모
- 동생인 제레미 지암비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에서 메이저리거로 활약했었는데, 형제가 사이좋게 약을 복용했다. 지암비가 약을 복용하게된 에피소드가 흥미롭다. 약본즈의 엄청난 활약을 지켜본 지암비는 배리 본즈의 개인 트레이너이던 그렉 앤더슨에게 본즈의 활약 비법을 계속 캐물었다. 그러자 앤더슨은 '크림과 클리어'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와 주사용 스테로이드, 주사기를 보내왔다. 크림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고 클리어는 에피테스토스테론인데 메이저리그 약물 검사는 두 물질 비율을 따져 도핑 선수를 적발하기 때문에 두 수치를 한꺼번에 높이면 걸리지 않는다는 설명을 앤더슨에게서 들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배리 본즈의 트레이너와 접촉하기 전에도 이미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트레이너와 접촉한 이유는 더 좋은 약물을 구하기 위함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애초에 약물은 언제부터 했는지 확인하기가 사실상 힘들다. 이미 메이저리그 입성 전부터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을지도 모르며 보통 약쟁이들의 커리어 전체가 부정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동생인 제레미 지암비는 2022년 2월 9일 캘리포니아 부모님 집에서 향년 47세의 나이에 숨을 거두었다. 사인은 총상이고 자살로 추정된다.
- 영화 머니볼에서도 잠깐 언급되는데, 메이저리그에서 최악의 1루 수비로 악명이 높았다. 론 워싱턴 수비코치(前 텍사스 레인저스 감독)와 빌리 빈 등이 갈길이 멀어보이는 스캇 해티버그의 1루수 훈련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지암비도 1루 봤는데 해티 정도는 할 수 있지 않갓어?라는 식의 말을 했을 정도. 뉴욕 양키스가 지암비를 내보낸 뒤 데려온 마크 테세이라는 1루 수비가 현역 중 최고로 꼽히는 선수다 보니 더욱 극명하게 대조되었다.
- 사우스파크 시즌 8 에피소드 3 Up the down steroid 에서 '모든 기록에서 제 이름을 없애주세요. 왜냐하면 전 존나 비열한 계집애 새끼이며, 스테로이드나 복용하는 병신이니까'라고 까였다.
- 명예의 전당은 약쟁이로 찍힌 데다가 누적 성적이 부족한 편이라 언감생심이었고 실제로 2020년 입후보 첫해에 6표만 받고 바로 탈락했다.
4. 연도별 기록
제이슨 지암비의 역대 MLB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1995 | OAK | 54 | 210 | 45 | 7 | 0 | 6 | 27 | 25 | 2 | 28 | 31 | .256 | .364 | .398 | .761 | 0.7 | 0.9 |
1996 | 140 | 598 | 156 | 40 | 1 | 20 | 84 | 79 | 0 | 51 | 95 | .291 | .355 | .481 | .836 | 1.2 | 1.1 | |
1997 | 142 | 588 | 152 | 41 | 1 | 20 | 66 | 81 | 0 | 55 | 89 | .293 | .362 | .495 | .847 | 1.7 | 1.8 | |
1998 | 153 | 657 | 166 | 28 | 0 | 27 | 92 | 110 | 2 | 81 | 102 | .295 | .384 | .489 | .873 | 2.6 | 2.6 | |
1999 | 158 | 695 | 181 | 36 | 0 | 33 | 115 | 123 | 1 | 105 | 106 | .315 | .422 | .553 | .975 | 5.2 | 5.9 | |
2000 | 152 | 664 | 170 | 29 | 1 | 43 | 108 | 137 | 2 | 137 | 96 | .333 | .476 | .647 | 1.123 | 7.7 | 7.8 | |
2001 | 154 | 671 | 178 | 47 | 2 | 38 | 109 | 120 | 2 | 129 | 83 | .342 | .477 | .660 | 1.137 | 9.2 | 9.2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02 | NYY | 155 | 689 | 176 | 34 | 1 | 41 | 120 | 122 | 2 | 109 | 112 | .314 | .435 | .598 | 1.034 | 6.6 | 7.1 |
2003 | 156 | 690 | 134 | 25 | 0 | 41 | 97 | 107 | 2 | 129 | 140 | .250 | .412 | .527 | .939 | 5.0 | 4.8 | |
2004 | 80 | 322 | 55 | 9 | 0 | 12 | 33 | 40 | 0 | 47 | 62 | .208 | .342 | .379 | .720 | 0.0 | -0.1 | |
2005 | 139 | 545 | 113 | 14 | 0 | 32 | 74 | 87 | 0 | 108 | 109 | .271 | .440 | .535 | .975 | 4.2 | 4.6 | |
2006 | 139 | 579 | 113 | 25 | 0 | 37 | 92 | 113 | 2 | 110 | 106 | .253 | .413 | .558 | .971 | 3.0 | 2.9 | |
2007 | 83 | 303 | 60 | 8 | 0 | 14 | 31 | 39 | 1 | 40 | 66 | .236 | .356 | .433 | .790 | 0.7 | 0.9 | |
2008 | 145 | 565 | 113 | 19 | 1 | 32 | 68 | 96 | 2 | 76 | 111 | .247 | .373 | .502 | .876 | 2.4 | 1.9 | |
<rowcolor=#c4ced4>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09 | OAK/COL | 102 | 359 | 59 | 14 | 0 | 13 | 43 | 51 | 0 | 57 | 80 | .201 | .343 | .382 | .725 | -0.1 | -0.1 |
2010 | COL | 87 | 222 | 43 | 9 | 0 | 6 | 17 | 35 | 2 | 35 | 47 | .244 | .378 | .398 | .776 | -0.1 | -0.2 |
2011 | 64 | 152 | 34 | 6 | 0 | 13 | 20 | 32 | 0 | 17 | 45 | .260 | .355 | .603 | .958 | 1.2 | 1.1 | |
2012 | 60 | 113 | 20 | 4 | 0 | 1 | 7 | 8 | 0 | 20 | 24 | .225 | .372 | .303 | .675 | -0.3 | -0.2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13 | CLE | 71 | 216 | 34 | 8 | 1 | 9 | 21 | 31 | 0 | 23 | 56 | .183 | .282 | .371 | .653 | -0.7 | -0.6 |
2014 | 26 | 70 | 8 | 2 | 0 | 2 | 3 | 5 | 0 | 9 | 12 | .133 | .257 | .267 | .524 | -0.5 | -0.6 | |
MLB 통산 (20시즌) | 2260 | 8908 | 2010 | 405 | 9 | 440 | 1227 | 1441 | 20 | 1366 | 1572 | .277 | .399 | .516 | .916 | 49.8 | 50.5 |
[1] 역대 롱비치 출신 중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내고 있는 선수에 속한다. 이외에도 제러드 위버, 트로이 툴로위츠키, 에반 롱고리아 등 여러 거물들이 롱비치에서 활약했다.[2] Plate Discipline - 지암비의 2002년 스윙 비율은 무지무지 낮았다. 리그 최다 삼진과 리그 최다 볼넷을 동시에 기록할 정도로 애덤 던 부럽지 않은 변태적인 눈야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