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단일 쟁점 성향 창당준비위원회 | ||||
(설립) | → | 직접민주지역자치당 (창당준비위원회) | → | (해산 후 재등록) |
직접민주지역자치당 | |
등록 약칭 | <colbgcolor=#fff,#191919>지역자치당 |
등록일 | 2024년 2월 27일 |
해산일 | 2024년 8월 28일[기한만료] |
재등록일 | 2024년 12월 2일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46가길 19, 504호(자양동, 자양오피스텔)[2] |
창당준비위원장 | 안현식[3] |
당 색 | 초록색 (#05A891) |
정치적 스펙트럼 | 단일쟁점(지역정당운동)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창당준비위원회.지역정당 설립과 운영을 법으로 허용하여 지역 정치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분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풀뿌리 지역 시민운동가들이 모여 결성하였다. 다만 현행 정당법상 지역정당 설립은 불가능하므로, 각 시·도당을 해당 시·도 내에서만 활동하는 별개의 지역정당처럼 운영하되 전국 단위로 연합하여 형식상 하나의 당처럼 활동하는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2. 상세
직접민주지역자치당 창당발기인대회 |
2024년 2월 고도의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지역정당 설립 허용 등을 주장해온 시민단체 '직접민주지역당연합[4]', '지방분권연합[5]', '지역정치연합[6]' 3곳이 모여 창당 추진을 의결하면서 결성하였다.# 2월 17일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역 대회의실에서 창당발기인대회를 열고 당명 및 규약, 발기취지문 등을 채택하며 출범을 알렸다.# 이틀 뒤인 2월 19일 국회에서 창당을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후 2월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식으로 창당준비위원회를 등록하였다.
현행 정당법이 정당의 설립 요건을 과하게 설정하여 지역정당의 출현 자체를 봉쇄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각 광역자치단체 또는 기초자치단체에서만 활동하는 지역정당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주의 성향을 띠지만 이는 호남과 영남, 충청 등 특정 지역의 몰표를 받는다는 의미의 지역주의가 아니며, 지방분권론에 가깝다. 지역정당의 설립과 활동을 보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각 지역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게 하자는 것.
다만 현행법상 지역정당 형태로 창당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에, 각 광역자치단체에 정당 조직을 자율적으로 설립한 뒤 이들 5곳 이상의 조직이 연합하여 하나의 정당처럼 창당하는 형태를 표방하고 있다. 따라서 명목상 하나의 당이지만 실제로 중앙당의 힘은 그리 세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느슨한 결속 하에 각 지역당이 사실상 각자의 지역에서 지역정당처럼 활동하는 방식으로 유지될 듯하다.
2024년 8월 27일 창당준비위원회 활동 기한이 만료되면서 창당에 이르지 못하고 해산되었다.
2024년 11월 29일 다시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12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재등록하면서 두 번째 창당 시도에 돌입했다.
3. 지도부
3.1. 1차 창당
- 공동창당준비위원장
3.2. 2차 창당
- 창당준비위원장
- 안현식 동명대학교 교수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창당준비위원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명칭 | 대표자 | 등록연월일 | 활동기간만료일 |
직접민주지역자치당 | 안현식 | 2024년 12월 2일 | 2025년 6월 2일 | |
핵나라당 | 정희원 | 2024년 12월 16일 | 2025년 6월 16일 | |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 창당준비위) | }}}}}}}}} |
[기한만료] 창당준비위원회의 활동 기한(등록일로부터 6개월) 만료로 인해 정식 창당에 이르지 못하고 자동해산.[2] 최초 등록 당시 기재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45길2 동아빌딩 401호'에서 변경되었다.[3] 최초 등록 당시 창당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양홍관, 이민원, 서원모, 안현식, 주현립, 임형택, 조규호 7인이었다.[4] 정의당으로부터 선거연합정당 참여를 공식적으로 제안받은 바 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5] 20여 년간 지방분권운동을 전개해온 시민단체 '지방분권전국회의' 산하 지역정당특별위원회가 독립하여 결성했다.[6] '부산경남사립대교수회연합회' 등 교수단체와 NGO 그룹이 주축이 되어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