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남 나폴레옹 ナポレオン -獅子の時代- | |
<nopad> | |
장르 | 역사 |
작가 | 하세가와 테츠야 |
출판사 | 영킹 코믹스 북박스 |
단행본 권수 | 15권 (2011. 2. 完)[1] 3권 (발매 중단) |
1. 개요
일본의 역사만화. 하세가와 테츠야 作. 번역자 김완.프랑스의 유명한 황제 나폴레옹의 일대기를 다룬 만화로, 원제는 《나폴레옹 -사자의 시대-》이다. 어째서인지 진정남이라는 수식어를 달아놓은 번역명이 더 박진감 넘친다는 평이다.
2. 발매 현황
일본에서는 나폴레옹-사자의 시대는 2011년 2월 15권으로 완결. 사자의 시대는 나폴레옹이 1799년 프랑스 제1공화국의 제1통령이 되는 시점에서 끝났다.2011년 3월부터는 나폴레옹-패도진격이라는 제목으로 연재 중이다. 2018년 2월 기준으로 단행본으로 14권까지 나왔고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철수까지 진행되었다. 2022년 2월 28일 22권이 출판되었다.
한국 출판사가 하필이면 북박스라 3권까지만 나오고 절판당했다. 나온 지 좀 된 탓도 있어서 중고 물량도 동이 났다.
3. 특징
그림체 때문에 황당한 만화로 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역사만화. 내용 자체는 고증에 충실하게 묘사하고 있다.[2] 단지 분위기와 그림체가 북두의 권스러울 뿐. 만화적인 과장이 들어갔고 세세한 부분에서 어느 정도 각색이 있기는 하나, 시대물이 으레 그렇듯 역사를 소재로 한 픽션 작품으로 본다면 크게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다.작가 나름대로의 재해석도 있는데, 프랑스 혁명을 무조건 자유, 평등, 박애를 외치며 일어난 낭만적인 시민 혁명으로 묘사하는 기존의 작품과 달리 이 작품에서는 프랑스 혁명을 그저 의미도 목적도 없는 소란스러운 공포와 광기의 도가니로 묘사했다.[3][4] 이게 어느 정도 먹히는 주장인 이유가 프랑스 혁명의 의의 자체는 인정한다 치더라도 안죽어도 될 사람들이 너무 많이 죽어나갔기 때문이다. 게다가 혁명 주동자 중 하나인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역시 혁명 자체의 존엄한 뜻보다는 살육에 더 비중을 둔 탓에 하악이 잘리는 비참한 몰골로 체포되어 그가 그동안 처단해온 무리들과 똑같은 최후를 맞이했다. 혁명 후기로 갈수록 자유와 평등은 그렇다 쳐도 박애는 어디 엿이라도 바꿔먹은 듯한 양상을 보였다.[5]
다만 마냥 혁명가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지는 않는데, 혁명의 혼란을 제대로 묘사함에도 불구하고 로베스피에르를 비롯한 대부분의 혁명가들도 잔혹한 학살자처럼 등장하기보다는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며[6] 이들도 나라를 바로세우려는 의식은 제대로 갖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니 혁명의 부정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나라를 바로 세우려 하지만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모를 정도로 혼란한 시대상을 그린다고 보면 될 듯.
북두의 권이 연상되는 특유의 극화체는 전쟁이나 격투 묘사에 좋긴 하지만 나폴레옹을 보면서 왠지 모르게 자꾸 켄시로를 떠올리게 된다. 특히 러시아군은 북두의 권에 나오는 모히칸들을 연상케 하고… 조아킴 뮈라는 레이와 라오우를 섞은 것 같은 면상에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는 완전히 한이다. 그 외에 1권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다부의 제로거리 대포 사격 등도 볼만할 부분.
4. 미디어 믹스
미디어 믹스는 토요마루 산업에서 'CR 나폴레옹 -사자의 시대-'란 이름으로 빠칭코 기기를 발매한 것 이외에는 없는 수준. 나폴레옹은 스기타 토모카즈가 맡았다.5. 여담
* 선글라스를 쓴 로베스피에르의 압박적인 '사형' 판결 장면도 유명하다. 짤방으로 쓰일 정도.
선글라스를 낀 것도 작품의 각색이 아니라 현실 고증이다. 실제로도 로베스피에르는 도수가 들어간 초록색 선글라스를 썼던 것으로 당대 기록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멋으로 썼던 것은 아니고, 시력이 나쁘기도 했던 데다 눈이 빛에 예민했기 때문에 눈 보호 차원에서 선글라스를 썼다고 한다. 프랑스 혁명을 다룬 영상 매체에서도 로베스피에르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나오기도 한다.
- 한국인이 작가에게 팬레터를 보낸 적이 있었는데, 답장 중에는 "전쟁은 만화만 좋습니다^^"이라는 답장이 있었다고 한다.
- 이 작가는 문명 5이 나오자 나폴레옹을 주인공으로 하는 문명 만화를 그린 적이 있다.[7]
- 그림 그리는 방식이 좀 특이한데, 이쑤시개에 잉크를 묻혀서 그리고 있다고 한다.[8] 여러 가지 해봤는데 자기는 그게 가장 잘 맞는다나. 자세한 것은 여기 참조
[1] 20○○. ○○. ○○. (다음 권의 숫자)권 발매 예정[2] 1권에서 나폴레옹이 어머니에게 쓸 편지를 대필하는 장면을 보면 중간에 '어머니께서 황제라는 말만 들으면 기분 나빠하시더라, 황제라는 단어 빼.'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로 그의 어머니는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는 것을 반대한 유일한 가족이었다고 한다.[3] 대표적으로 루이 16세의 처형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는데, 루이 16세가 목이 잘려야 할 사악한 왕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사람이 좋게 묘사된다. 로베스피에르 역시 어렸을 때 그 인자한 모습을 잊을 수 없다고 했을 정도로 사람이 좋다는 것은 인정했으나 혁명이 일어난 이상 왕이라는 이유만으로 처형당해야 한다고 주장해야 했을 정도. '그렇게 인자한 루이 16세를 어떻게 할거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바로 저 사형 짤방이다. 사형이라 외치는 짤만 퍼져서 로베스가 닥치고 사형이라 단언한 것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저 대사를 말하기 직전에 앉고 있던 의자의 손잡이를 꾹 움켜쥐고 있었다. 즉, 본인도 그를 죽이는게 내키지는 않았다는 얘기. 물론 루이 16세가 처형당한 이유는 인간성과는 별개로 처가인 오스트리아와 내통해서 혁명정부를 전복시키려다가 발각되어 반역혐의를 받았기 때문이다.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는 개인적인 성품은 나무랄 데 없었지만 통치자로서의 덕목, 특히 혁명과 같은 위기를 관리하고 극복할 능력은 갖추지 못했다.[4] 혁명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단두대를 성적인 유흥용으로 쓰는 장면마저 있다. 덜컹거리는 마차에서 여자를 단두대에 매달아놓고 언제 칼날이 떨어질지 모른다는 공포를 줘서 그 긴장된 상태의 질압을 즐기려는 용도로 썼던 것...사실 이 단두대는 칼날이 내려오고 말 것도 없는 고정형이었고 이 뻥카가 들통나자 단두대 주인은 여자에게 사정없이 등짝 스매싱을 당한다(...).[5] 사실 '박애'라는 표현은 오역에 가깝다. 실제 원뜻에 관한 내용은 자유, 평등, 우애 항목 참고.[6] 로베스피에르의 경우에는 사형간지씬이 너무나 인상깊어서 그렇지 부정적으로 묘사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나폴레옹이 로베스피에르의 영향을 받아 그의 선글라스를 계속 쓰고다닐 정도.[7] 나폴레옹이 구석기 시대부터 문명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가 적이 쳐들어왔는데 그 적이 바로 엘리자베스 1세가 지휘하는 대영제국이다. 이에 나폴레옹은 엘리자베스 1세의 장궁병을 상대로 대포를 얹은 강철마차로 전부 조지고 있다.[8] 재미있게도, 한국에서도 비슷한 방법으로 만화를 그리는 만화가가 있다. 박수동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