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6:53:11

진홍십자군 성직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역사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사제=, 희귀=, 하수인=, 확장팩=고전,
한글명=진홍십자군 성직자, 일러명=진홍십자군 성직자, 영문명=Crimson Clergy,
비용=1, 공격력=1, 생명력=3,
효과=<b>초과 치유</b>: 카드를 뽑습니다.,
플레이버한=실수하는 법이 없습니다.,
플레이버영=He won't drop the ball.,
황금링크=?217964)]
소환: 빛이 노래하면, 불순한 자들은 쓰러지리라! (Light sings, and the impure fall.)
공격: 사라져라, 흉물아! (Be gone, abomination!)

사제고전 희귀 카드. 이름의 진홍십자군은 붉은십자군 정예부대의 이름이다. 굳이 붉은십자군을 모티브로 한 것은, 아무래도 원래 사제에게 이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가 2020년 리워크에서 추가된 붉은십자군 정복자여서 그런 듯하다. 한참 뒤에 샐리 화이트메인도 사제 영웅으로 추가된 걸 보면 붉은십자군을 사제의 컨셉에 편입한 것으로 보인다.

2. 평가

늑대의 해에서 2차 사제 리워크가 진행되며, 초과 치유 키워드를 추가하며 기존의 사제의 낡은 디자인의 카드들을 초과 치유를 기반으로 리워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 카드가 거기에 포함되었다. 그로 인해 현재와 같은 효과로 리워크되었다.

2.1. 장점

개발자 의견: 진홍십자군 성직자는 야생전에서 우리가 원치 않는 플레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콤보 덱의 핵심 카드입니다. (Dev Comment: Crimson Clergy is a key enabler in a combo deck with play patterns beyond what we want for the format.)

2.2. 단점

3. 역사

4. 기타


===# 리메이크 이전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사제=, 희귀=, 하수인=, 확장팩=고전,
한글명=진홍십자군 성직자, 일러명=Crimson Clergy-c2021, 영문명=Crimson Clergy,
비용=1, 공격력=1, 생명력=3,
효과=아군 캐릭터가 치유된 후에 공격력을 +1 얻습니다.,
황금링크=?217964)]

2021년 출시 당시에는 현재의 능력과는 아예 다른, 아군 캐릭터가 치유된 후에 공격력을 +1 얻는 카드였다.

1코스트 1/3이라는 좋은 스텟 배분에 조건부 공격력 증가 효과를 가진 효과는 진짜 어지간하면 버림받기 힘든데, 이 카드는 놀랍게도 그런 규칙을 깨부순 쓰레기 카드였다. 왜냐면 그 이전에 이미 스텟은 1/2로 조금 나쁘지만 아군-적군을 가리지 않고 공격력 상승치도 2로 높았던 중립 카드 빛의 감시자가 있었는데, 그마저도 자해 카드인 톨비르 + 검귀와 0코스트 치유의 마법진, 1코스트 하수인의 서포트 카드인 망자 브원삼디가 있던 시절에나 잠시 덱에 들어갔고, 그 이외에는 사제도 덱에 직접 넣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던 카드였다. 그 하위호환 카드를 브원삼디도 없던 시절에 핵심에 박아놓고 쓰라고 했으니 채용률이 나올 리가 없었다.

하물며 개발진은 핵심에 있는 이 카드를 망각했는지, 바로 다음 확장팩에서 템포 사제를 암흑주교 베네딕투스를 비롯해 치유 시너지가 없는 암흑 사제의 형태로 밀어주었고, 치유 시너지가 전무한 덱에서 이 카드는 당시 사제 카드였던 지친 신입생(1코 1/4 바닐라)보다 하등 나을 게 없는 카드가 되어버렸다.

결국 너무 처참한 성능 탓에 2022년이 되자마자 바로 퇴출당했고, 그 자리에는 용기병 비밀요원이 들어왔다.

그리고 2023년 핵심으로 다시 복귀 시킨 후, 지금의 효과로 리메이크 되었다.

5. 둘러보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riest_64.png
사제 고전 카드 / 모든 직업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광휘.png
파일:마음의 눈.png
파일:성스러운 일격.png
파일:신의 권능: 보호막.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광휘|
광휘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마음의 눈|
마음의 눈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성스러운 일격|
성스러운 일격
]]
[[신의 권능#신의 권능: 보호막|
신의 권능: 보호막
]]
파일:정신의 창조술사.png
파일:어둠의 권능: 고통.png
파일:어둠의 권능: 죽음.png
파일:신성한 폭발.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정신의 창조술사|
정신의 창조술사
]]
[[어둠의 권능#어둠의 권능: 고통|
어둠의 권능: 고통
]]
[[어둠의 권능#어둠의 권능: 죽음|
어둠의 권능: 죽음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신성한 폭발|
신성한 폭발
]]
파일:마력 주입.png
파일:정신 지배.png
파일:치유의 마법진.png
파일:침묵.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마력 주입|
마력 주입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정신 지배|
정신 지배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치유의 마법진|
치유의 마법진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침묵|
침묵
]]
파일:내면의 열정.png
파일:북녘골 성직자.png
파일:생각 훔치기.png
파일:정신 분열.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내면의 열정|
내면의 열정
]]
[[북녘골 성직자|
북녘골 성직자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생각 훔치기|
생각 훔치기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정신 분열|
정신 분열
]]
파일:천상의 정신.png
파일:빛의 정령.png
파일:어둠에 물든 영혼.png
파일:사원 집행자.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천상의 정신|
천상의 정신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빛의 정령|
빛의 정령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어둠에 물든 영혼|
어둠에 물든 영혼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사원 집행자|
사원 집행자
]]
파일:붉은십자군 정복자.png
파일:안두인의 선물.png
파일:진홍십자군 성직자.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붉은십자군 정복자|
붉은십자군 정복자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안두인의 선물|
안두인의 선물
]]
[[진홍십자군 성직자|
진홍십자군 성직자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집중된 의지|
집중된 의지
]]
파일:빛샘.png
파일:암흑 속에서 번창하리라.png
파일:쿨 티란 전도사.png
파일:암흑의 광기.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빛샘|
빛샘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암흑 속에서 번창하리라|
암흑 속에서 번창하리라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쿨 티란 전도사|
쿨 티란 전도사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암흑의 광기|
암흑의 광기
]]
파일:대규모 무효화.png
파일:아키나이 영혼사제.png
파일:신성한 불꽃.png
파일:어둠의 형상.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대규모 무효화|
대규모 무효화
]]
[[아키나이 영혼사제|
아키나이 영혼사제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신성한 불꽃|
신성한 불꽃
]]
[[어둠의 형상|
어둠의 형상
]]
파일:심리 조작.png
파일:어둠의 권능: 황폐.png
파일:비밀결사단 어둠사제.png
파일:나탈리 세린.png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심리 조작|
심리 조작
]]
[[어둠의 권능#어둠의 권능: 황폐|
어둠의 권능: 황폐
]]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비밀결사단 어둠사제|
비밀결사단 어둠사제
]]
[[나탈리 세린|
나탈리 세린
]]
파일:예언자 벨렌.png
[[예언자 벨렌(하스스톤)|
예언자 벨렌
]]
}}}
}}}
}}} ||
[1] 임시 금지까지 합치면 실험체를 포함해 3번째로, 사제 역시 흑마법사 못지 않게 야생의 천덕꾸러기라는 걸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