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7:34:58

짐 스나이퍼 II/모형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짐 스나이퍼 II
1. 개요2. 건프라
2.1. HG
2.1.1. 짐 스나이퍼 II2.1.2.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기2.1.3. 리드 울프 기
2.2. MG
2.2.1. 짐 스나이퍼 II
2.2.1.1. 짐 스나이퍼 II 한정판
2.2.2.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기2.2.3. 리드 울프 기
3. 완성품
3.1. 액션 피규어3.2. 식완

1. 개요

짐 스나이퍼 II의 모형화를 정리한 문서.

2. 건프라

2.1. HG

2.1.1. 짐 스나이퍼 II

파일:HGUC 짐 스나이퍼 2 박스아트.jpg
<colbgcolor=#9bbfd9><colcolor=#353535>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2년 9월 15일
가격 1,5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9bbfd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2012년 하반기에 출시. 드디어 0080 HGUC 라인에 종지부를 찍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특이하게 호일 씰이 아닌 테트론 씰이 색분할 보조용으로 들어가 있으며, 스칼렛 대 전용 씰이 같이 들어있다.

구성면에서 호평을 줄 만한데, 편손, 라이플(손), 저격소총, 방패 그리고 소형 워커머신 RH-35E 드라켄E이 서비스로 포함되어 있다. 다만 크기가 작은 서비스 킷 특성상 색분할도 안 되어있는 통짜라 도색이 필요하다.

가동성은 매우 평범한 축에 속한다.
하반신의 경우 무릎 관절의 가동성은 종아리에 대형 스러스터가 붙어 있다는 디자인적 한계를 고려하고 본다면 상당히 뛰어난 축에 속하지만, 고관절 구동, 긴 정강이와 짧은 허벅지 때문에 무릎쏴 자세를 취하기에 다소 난도가 있다.

상반신의 경우 전반적으로 준수한 수준으로 가동된다.
팔꿈치는 90도 정도로 움직이며 어깨 관절은 장갑의 두툼한 형상에 걸려 동작에 제한이 있는 편이다.[1]
그래도 조금만 만져주면 저격 자세를 취하기 어렵지 않다.

다만 고정성 면에서는 좋은 점수를 주기 어렵다. 손목과 방패가 걸쳐놓는 수준으로 불안정하며, 전체적인 관절이 건들거리는 감이 있다. 순접보강등이 필수적이다.

이렇듯 포징이나 고정성에 애로사항이 있지만, 이즈부치 선생의 세련된 디자인이 잘 녹아들었고 가성비도 훌룡하기에 구매가치는 충분히 있다. HGUC 캠퍼가 그러했듯이 발매 시기가 타 킷에 비해 늦었던 게 오히려 이점이 되었다.


이후 이 킷의 금형을 활용한 짐 스나이퍼 K9이 발매되었다.

2.1.2.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기

파일:HGUC 짐 스나이퍼 II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 박스아트.jpg
<colbgcolor=#f6fafe><colcolor=#2b3297>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2년 9월
가격 1,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f6fafe>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발매 소식이 전해지자 원작 팬 및 HGUC 모델러들이 열광하는 반응을 보였다. 일반판과 달리 드라켄E가 빠지고 호버트럭이 추가로 부속되었다. 호버 트럭은 기존의 육전형 건담 지상전 세트에 부속된 런너를 컬러링만 변경 및 사출했다. 그러다보니, 호버트럭 외에도 일부 파츠도 같이 부속되었는데, 관절 파츠, HGUC 육전형 짐 헤드 등이 추가로 부속되었다.

특히 화이트 딩고 사양은 라이플만 4개, 레일 캐논까지 있어서 무기만 5종류다. 거기에 여분의 짐 헤드와 블루 데스티니 사양 관절 부품이 있어서... 다만 레일 캐논은 정식 무기가 아니라 런너를 재활용하다보니 딸려온 덤일뿐 공식 무장은 아니다.게다가 레일캐논은 육전형 건담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서도 없고 짐스나의 손과 잘 맞질 않는다. 다만 레일 캐논을 장비할 때 쓰는 손 부품이 같은 런너에 들어있어 활용은 가능하다. 라이플의 경우에는 공식무장으로 짐스나의 기본 손 부품에 대응된다. 재탕으로 남은 정크에 가깝긴 하나 온전히 조립도 되는 풍부한 무장인 건 변하지 않아 가성비는 꽤 좋다.

참고로 화이트 딩고 대 사양의 박스는 일반판보다 약 20% 정도 커졌는데, 이 부피와 추가된 런너, 부품을 고려했을 때 300엔 정도 가격이 올라간 것은 저렴한 축에 속한다. 실제로 비교하면 크기 차이가 상당하다.
MG는 최근에 재판됐지만 이쪽은 재판을 하지 않아 구하기 힘들다.

2.1.3. 리드 울프 기

파일:HGUC 짐 스나이퍼 II (리드 울프 기) 패키지.jpg
<colbgcolor=#353535><colcolor=#FFFFFF>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6년 9월
가격 1,5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35353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일반판에서 컬러링이 변경되고, 전용 마킹 씰이 부속되었다. 기본적인 특징은 일반판과 동일하다.

특유의 색 조합을 재현하기 위해 중복 런너가 2장 들어갔지만 드라켄 E가 빠진것 때문인지 가격에 차이는 없다.

2.2. MG

2.2.1. 짐 스나이퍼 II

파일:MG 짐 스나이퍼 2 박스아트.jpg
<colbgcolor=#9bbfd9><colcolor=#353535> 브랜드 Master Grade
스케일 1/100
발매 2017년 1월 21일
가격 3,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9bbfd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
다른 건 모르겠는데 킷 이름만큼 스나이퍼 자세만큼은 제대로 구현해보겠다!는 개발자의 불타는 의지가 느껴지는 킷이라서 만드는 과정이 즐거웠습니다.
달롱넷

"가동률, 관절 강도를 잡았죠."
건담홀릭의 제룡, 리뷰 서론중

파일:external/i3.ruliweb.com/15754638ebf120f32.jpg

2017년에 발매된 첫 MG. 프레임 런너는 MG 퍼스트 건담 Ver.2.0의 것을 기반으로 신규 파츠가 약간씩 추가된 형태다. 이는 Ver.2.0 이후로 (웹 한정) 짐 캐논, 짐 II 등에 계속 쓰이는 방식. 퍼스트 건담 Ver.2.0의 프레임 파츠를 기존과 다른 최신 재질로 찍어내어 파손 및 관절 헐거워짐을 방지하고 있다.[2] 또한, 명품 프레임이라는 평을 받았던 건담 Ver.2.0 프레임에 어울리게 가동성은 물론이거니와 머리를 포함한 내부 프레임 디테일은 그야말로 일품이다. 손은 MG AGE시리즈에 쓰이는 교체식 손[3]을 사용하고 있으며, 설정색 구현을 위해 부품의 색 분할에도 공을 들여 씰이 필요한 부분은 조준경 파츠 정도이다.

발매 전 공개된 박스 아트도 역대급이라 불릴 정도로 매우 간지나게 나왔다는 호평을 듣고 있다.

처음 공개 당시에는 다리 측면의 구멍이 뚫려있지 않고 몰드로 재현되어 있어 비판을 받았지만, 이츠부치 유타카의 원 설정화를 보면 원래부터 막혀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이 비판은 사그라들었다. 게다가 지금까지 모형화된 짐 스나이퍼 2 중에 구멍이 뚫려있는 제품은 없다. 실 제품은 구멍 대신 다른 형태의 몰드가 성형되어 있다.

HG가 두툼한 어깨 때문에 저격 포즈를 잡기 힘들었던 것을 고려하여, 프로포션을 최신식으로 리파인하였다. 가동성 또한 저격자세에 특화된 완전한 가동률을 보이며, 특히 목이 빠져 나올 수 있게 설계해 자세가 더욱 잘 잡힌다.

다만 스나이퍼 라이플이 약간 아쉽다. 일단 HG처럼 좌우결합식으로 조립하고 그것 뿐만 아니라 조준경에 스티거를 붙일 뿐더러 MG퍼스트 오리진 처럼 클리어로 표현하는 것도 없다. 또한, 스나이퍼 라이플의 앙각대는 길이가 다소 짧아 엎드려쏴 자세에서도 지면에 거치하기 힘든 편이다. MG 퍼스트 건담 2.0이 프로포션이 호불호가 갈리긴 하지만 라이플을 슬라이드 사출과 세세한 부품 분할로 구현한 것에 반하여, 짐 스나이퍼 2의 스나이퍼는 주무장인데도 약간 퀄리티가 아쉽다. 그래도 양각대가 움직인다는 점, 스나이퍼 포즈잡기 좋은 프로포션, 그리고 좋은 무장 고정성이 호평을 받고 있다. 그리고 실드의 경우에는 안쪽 면에 라이플 탄창 및 빔 사벨을 수납하는 기믹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부분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실드 조인트의 고정성은 그리 좋지 않은 편인데, 연결부위가 작아서 손잡이까지 쥐어주지 않으면 팔에서 쉽게 빠진다.

특이한 점으로, 가슴 및 스커트를 포함한 일부 부품의 형태가 이후 바리에이션을 염두에 둔 설계로 추측되었으며 같은 G형 계열기인 짐 커맨드 콜로니형과 우주형, 그리고 짐 스나이퍼 커스텀[4]등이 짐 스나이퍼 II의 프레임을 유용하여 발매되었다. 또한 RE/100 개발 리스트에서도 짐 스나이퍼 2가 올라왔는데 리백이 아닌 MG로 나와 고품질을 보장하는 명품 킷으로 나온 반다이의 신의 한 수.

전반적으로 가동률과 내구도에 고정성까지 잘 잡았으면서 디테일도 훌륭한 편인데다 가격도 적당하고 조립도 쉬운 편이라 입문용 건프라로 자주 추천받는 킷이다.
2.2.1.1. 짐 스나이퍼 II 한정판

2.2.2.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기

파일:MG 짐 스나이퍼 II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기) 패키지.jpg
<colbgcolor=#f6fafe><colcolor=#2b3297>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Master Grade
스케일 1/100
발매 2017년 3월
가격 3,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f6fafe>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3

흰색&파란색 조합의 컬러가 돋보이는 화이트 딩고 부대 버전의 짐 스나이퍼 II다. 가격이 일반판과 동일하면서도 더 풍부한 무장 구성 때문에 한정판 쪽이 압도적으로 메리트가 크며,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는 손이 기본으로 부속되는 것 외에도 전지가동식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MG 뉴 건담 Ver.Ka에 처음 부속된 그 손으로, 양산형 기체에 전지가동식 손이 쓰인건 제스타 이후로 처음이다.

MG 육전형 짐, Ez8 등에 부속된 기존의 롱 레인지 라이플, 빔 라이플과 머신 건 및 로켓 런처[5]가 추가되었고 발칸 포드와 실드는 신규 조형이다. 롱 레인지 라이플의 조준경 쥬얼 스티커도 동일하다. 당연히 인기가 대단하여 국내 클럽G의 경우 1차 예약은 오픈 5~10분만에 품절, 2차 예약도 반나절이 안되어 재고가 바닥났다.

그러나 발매 후엔 재평가를 받아 가치가 떨어진 한정판이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앞서 언급된 풍부한 무장 구성을 잘 따져봤을 때 아쉬운 부분 투성이라는 건데, 특히 신규 조형이 아닌 오래 전에 나온 킷의 무기들을 우려 먹어서 그렇다. 주 무장인 롱 레인지 라이플의 경우 2006년에 발매된 MG 짐 스나이퍼의 것과 동일한데 설정 상 흰색이여야 되는 총열 몸통&개머리판 부분이 진한 회색 그대로 나왔고, 따로 스티커 같은 것도 동봉되어 있지 않아 이질감이 심해 설정에 맞추려면 무조건 도색 필수. 여기에 빔 라이플 몸통 흰색도 재현 안 되어 있다.

게다가 무기에 고정용 돌기가 없어 전지가동손에 사실상 걸쳐 놓은 정도가 최선이고 악력도 별로라 롱 레인지 라이플과 바주카를 이용한 안정적인 포징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빔 라이플/머신건/ 빔샤벨은 그나마 손에 쥐어주는 건 가능한데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건 매한가지. 즉, 전지가동손의 장단점을 생각하지 않고 개발비 아끼기 위해 구형 무장들을 최소한의 금형 수정없이 재탕해서 써먹으려다 발생한 문제로 당연히 구매자들에게 좋은 소리는 못 듣고 있다. 참고로 해당 킷과 부품을 공유하는 일반판과 짐 커맨드의 고정손과 무장을 가져다 쓰는 대안이 제시되긴 했는데 완벽한 해결방법은 아니다.[6]

정리하자면 추가된 무장 구성이 겉보기에만 풍성하고 정작 소체에는 제대로 적용할 수 없는 데다 색분할도 설정과 맞지 않는 하자가 많이 아쉽긴 하지만, 이를 제외하면 좋은 킷. 특히 신규 조형 방패&발칸 포트와 화이트 딩고 부대 특유의 흰색 컬러는 일반판과 확실히 차별화 되는 부분이다. 덕분에 2024년 7월 즈음에 아주 오랜만에 재판 되었을 때 반다이몰 서버가 터졌을 정도로 인기를 자랑했다.

2.2.3. 리드 울프 기

파일:MG 짐 스나이퍼 II 리드 울프기 박스아트.jpg
<colbgcolor=#353535><colcolor=#FFFFFF>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Master Grade
스케일 1/100
발매 2019년 7월
가격 3,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35353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설정 상 짐 스나이퍼 2를 조종하고 다녔다는 지구연방군의 에이스 파일럿 리드 울프 전용 컬러로 나온 킷. 컬러링이 검은색 위주로 변경되고 전용 습식 데칼이 들어간 것 외엔 일반판과 100% 동일한 컬러 베리에이션이다.

3. 완성품

3.1. 액션 피규어

3.1.1. 로봇혼

로봇혼 짐 스나이퍼 II는 0080 사양과 화이트 딩고 부대 사양, 0080 사양의 ver. A.N.I.M.E.로 총 3종이 발매되었다.

3.2. 식완



[1] 특히 저격 포즈를 취할 때 두툼한 어깨가 장애물이 된다. 무장을 양손으로 잡는 동작을 취하기 편하도록 관절 블록 자체가 앞으로 쑥 나오는 기믹이 적용되었지만, 어깨뽕 탓에 별 효력이 없다.[2] 직전에 발매된 사이코 자쿠 버카도 자쿠 2.0의 프레임을 같은 방식을 통해 강화해 사용했다.[3] 엄지만 가동하고 나머지는 전부 교체식[4] 기본적으론 GM Ver.2.0 프레임이지만 허리구조가 짐 스나이퍼 II 구조이다.[5] 육전형 짐의 다연장 미사일 런처는 동봉되어있지 않고. Ez8의 바주카가 들어있다.[6] 자체 조립은 불가능해서 무조건 일반판 짐 스나이퍼 II가 필요하다. 해당 부품이 손만 있고 손등덮개 부품이 없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