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7:36

분할

집합의 분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에서는 집합을 분할하는 경우의 수 및 자연수를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다룹니다. 집합론에서 다루는 분할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동치관계 문서
4.1번 문단을
부분을
, 초등교육에서의 분할에 대한 내용은 가르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론
<colbgcolor=#3CC> 기본 대상 수학기초론(수리논리학 · 집합론) · 수열 · 조합 · 알고리즘 · 확률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열 등차수열(뛰어 세기) · 등비수열 · 계차수열 · 조화수열 · 귀납적 정의(점화식) · 급수 · 규칙과 대응 · 규칙 찾기 · 피보나치 수열 · 읽고 말하기 수열 · 생성함수
조합 경우의 수(/공식) · 순열(완전 순열 · 염주 순열) · 치환 · 분할(분할수) · 최단거리 · 제1종 스털링 수 · 제2종 스털링 수 · 카탈랑 수 · 벨 수 · 라흐 수 · 포함·배제의 원리 · 더블 카운팅 · 조합론
그래프 수형도(트리) · 인접행렬 · 마방진 · 마법진 · 한붓그리기(해밀턴 회로)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기타 P-NP 문제미해결 · 4색정리 · 이항정리(파스칼의 삼각형) · 이산 푸리에 변환 · 비둘기 집의 원리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 · 투표의 역설 · 에르고딕 가설미해결 · 콜라츠 추측미해결 · 시행착오 (예상과 확인) · 불 논리 · 브라에스 역설
관련 문서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컴퓨터 관련 정보 · 틀:수학기초론 · 틀:통계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1. 개요2. 종류
2.1. 자연수의 분할
2.1.1. 성질2.1.2. 분할수2.1.3. 켤레 분할
2.2. 집합의 분할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조합과 관련된 내용이다. 분할에는 자연수의 분할과 집합의 분할이 있다. 한마디로 자연수와 집합을 조합을 이용해 나누는 방법.

2. 종류

2.1. 자연수의 분할

자연수 [math(n)]을 [math(r)]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가짓수를 [math(p\left(n,\ r\right))]로 표기한다. 단, [math(1 \le r \le n)]이다. [1] 이때 순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ath(5)]를 [math(3)]개의 자연수로 나누면 [math(5=3+1+1=2+2+1)] 이므로 [math(p\left(5,\ 3\right)=2)] 이다.
모든 경우를 다 합친 것은 [math(\displaystyle \sum_{k=1}^n p\left(n,\ k \right) = p_n)]으로 표기하는데, 이를 분할수라고 부른다.

2.1.1. 성질

[math(p\left(n,\ 2 \right) = \biggl\lfloor \dfrac n2 \biggr\rfloor)], [math(p\left(n,\ 3 \right) = {\rm round}\left( \dfrac{n^2}{12} \right))]

단, 여기서 [math(\lfloor x \rfloor)]는 [math(x)]를 넘지 않는 최대정수이고 [math({\rm round}(x))]는 [math(x)]를 반올림[2]한 것이다.

2.1.2. 분할수

자연수 [math(n)]을 분할하는 방법의 수를 분할수라고 한다. 따라서 분할수는 [math(p\left(n,\ k\right))]들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할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켤레 분할

[math((3,\ 2,\ 2))], [math((3,\ 3,\ 1))]과 같이 서로가 서로의 '[math(k)] 이상의 자연수 개수'를 나타내는 두 분할의 관계를 켤레 분할(conjugate partition) 또는 공액 분할이라고 한다. 즉 [math((3,\ 2,\ 2))]에서는 [math(1)] 이상인 자연수의 개수가 [math(3)]개, [math(2)] 이상인 자연수의 개수가 [math(3)]개, [math(3)] 이상인 자연수의 개수가 [math(1)]개이므로 [math((3,\ 2,\ 2))]의 켤레 분할이 [math((3,\ 3,\ 1))]이 되고, 같은 방법으로 따지면 그 반대 관계도 성립한다. 이는 분할의 개수대로 가로로 블록을 쌓고 세로로 블록 수를 세어서 새로운 분할을 얻는 것과 같으므로, 켤레 분할은 일대일 대응이다.

2.2. 집합의 분할

제2종 스털링 수 (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

원소가 [math(n)]개인 집합을 [math(r)]개의 공집합이 아니면서 서로소인 부분집합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내는 가짓수를 [math(S\left(n,\ r\right))]로 표기한다.[3] 예를 들어 [math(\left\{1,\ 2,\ 3\right\})]을 [math(2)]개의 부분집합들로 나누면 [math(\left\{1,\ 2\right\}\cup\left\{3\right\}=\left\{1,\ 3\right\}\cup\left\{2\right\}=\left\{2,\ 3\right\}\cup\left\{1\right\})]이므로 [math(S\left(3,\ 2\right)=3)] 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종 스털링 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1. 성질

2.2.2. 벨 수

원소의 개수가 [math(n)]인 집합을 분할하는 방법의 수를 벨 수라고 한다. 따라서 벨 수는 [math(S\left(n,\ k\right))]들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벨 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여담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대문자로 나타내기도 한다. [math(P\left(n,\ r\right))][2] 언뜻 반올림한 값이 참이라는 데에 의문이 들 수 있다.[3] 집합론으로 정의하면 [math(1 \le r \le n)]이지만 대수적으로도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math(r)], [math(n)]은 정수이기만 하면 된다. 물론 [math(n<r)]이면 [math(S \left( n,\ r \right) = 0)]이다.[4] [math( \displaystyle \binom{n}{2})]는 조합 기호로, 고교 과정에서는 [math({}_n\mathrm C_2)]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