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2:26:31

천하이분지계

天下二分之計
1. 개요2. 삼국시대 주유의 천하이분지계3. 유사 사례
3.1. 남조와 오나라의 비교
4. 관련 문서

1. 개요

천하를 북쪽의 조조군, 남쪽의 손권군으로 이등분하자는 계책. 손권군에서 감녕, 노숙, 주유를 거치며 구체화되었다.

2. 삼국시대 주유의 천하이분지계

〈감녕전〉에서 감녕손권에게 등용되고 나서 전략을 설파한다. 기회를 틈타 황조를 격파한 이후 파촉까지 진군해 조조에 대항하자는 내용이다.

〈노숙전〉에서 노숙이 손권에게 등용되면서 손권에게 형주 점령책을 진언한다. 몇몇 역사학자들은 이걸 천하삼분지계로 보고, 노숙이 제갈량보다 먼저 삼분지계를 논했다고 보기도 한다.[1]

손권이 노숙을 초빙하였을 때 진언한 계책과, 유표 사망 이후에 이를 구체화하여 설파한 계책이 있다. 노숙의 계책은 제3의 세력(초기에는 유표, 유표가 죽은 후에는 유비로 전환)을 변수에 넣고 서로 협력하면서 조조의 군세를 분산시켰다가 나중에 기회를 봐서 북방에 변란이 생길 경우 장강(양쯔강) 유역을 완전히 장악하고, 남북조 구도를 형성한 후에 중원을 도모한다는 계책이다. 다만 손권이 "이라면 모를까 나에게는 그런 장대한 계획을 실천할 만한 능력이 없다"라고 답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한계점이 있었는데, 노숙의 두 번째 진언의 시점인 208년을 기준으로 잡아도, 노숙의 안엔 형주 세력인 유종과 유비만이 있을 뿐이며 형주를 제외한 지역엔 별다른 고려가 없기 때문. 예를 들어, 제갈량의 계책엔 '유장을 잡고(익주 평정), 장로를 잡고(한중 평정), 서융을 위무해(마초, 한수 등 관서 군벌) 어찌어찌 한다'와 같은, 당대에 건재하던 군벌들에 대한 대책이 있는데, 노숙의 계책은 이런 부분이 없다. 노숙의 구도는 손권 vs. 조조뿐이다. 유비를 손권의 말로 형주에 박아둔다한들, 나머지 드넓은 익주와 한중, 서량주의 군벌들은 또 어떻게 할 것인가. 아마도 노숙이 진언한 계책은 당대에 존재하던 형주 군벌에 대한 전략이라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며[2] 실제로 계책 내부의 대상도 시간 흐름에 따라 유표→유종→유비로 바뀌고 있다.

주유와 노숙의 전략은 입장이 좀 달랐다. 주유가 좀 더 강경파, 노숙은 온건파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노숙의 전략도 어디까지나 중요한 동맹 후보인 유비에 비해 손권의 세력이 우위에 있고, 상황 변화에 따라서 흡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는 세력 기반이 미약하던 유비에 비해 탄탄한 세력 기반을 갖춘 손권의 우위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입장이라 봐야 할 것이다.

천하이분지계는 주유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주유전에 그 내용이 나온다. 주유도 형주를 점령해서 세력을 굳힌다는 이야기를 하며 주유는 잔챙이들 다 쓸어버리고 남북조 구도를 형성하는 천하이분지계에 가장 가까웠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손유와 주유가 군사를 이끌고 서천을 점령한 후 한중의 장로를 병합한다. 한중에는 손유가 머물며 마초와 동맹을 맺는다. 마지막으로 촉에서 돌아온 주유가 손권과 북상하여 양양을 친다. 그러나 이 전략 자체가 군사적인 공략을 말하고 있을 뿐 서촉을 점령한 후 행정적인 배려와 내정을 다진다는 구체적인 사항은 아니었고 더군다나 이를 말할 당시엔 유감스럽게도 주유는 남군공방전에 입은 치명적인 부상으로 이미 깊은 병에 걸려 있었고 얼마 안 가 주유의 요절로 실행되지 못했다.

적벽대전이 끝난 후 주유가 요절하고 그 후임으로 노숙이 임명되자 노숙은 자신의 계책을 설파하고 형주를 유비에게 일시적으로 양보하여 조조와 손권 세력권 사이에 완충 지대로 두었다. 우선 당시 유비와 동맹을 해서 강릉 일대를 손에 넣긴 했지만, 형주지방 관민들은 손권을 따르지 않았다고 노숙이 지적하고 따라서 그걸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이 요지였다. 한편 이 사이 유비는 유기를 형주목으로 지목하고 사실상 형주의 인심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노숙은 유비를 방패로 활용하여 이 지역을 수비케하여 조조에게 맞서게 하자는 의견이었다. 당시 유비는 강하와 형남 4군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세력권이 없었고 남군공방전 직후 주유가 남군 일대 일부를 분할하여 유비에게 나누어준 정도였는데, 이 덕분에 유비는 강릉을 비롯한 다른 남군의 주요 지대에 대한 권리까지 양보받을 수 있었다. 이 권리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었는데 언제까지 이 권리가 유효한지 명시하지 않아 후일 분란의 씨앗이 된다.

노숙의 계책은 어디까지나 유비가 자신들이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수준에서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세워진 것이지만, 유비가 서촉을 점령하고 한중에서 조조와 현피를 뜨면서 사실상 오의 통제력을 벗어나 버렸기에 주유가 기획하고 노숙이 보완한 이 계획은 틀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익양대치 수준에서 형주를 분할하여 양측의 갈등은 잠시 봉합되는 듯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계획을 입안하고 추진하던 친 유비 성향이던 노숙이 요절하면서 사실상 노숙의 전략은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3. 유사 사례

차후 남북조 시대에 숱하게 전개된 분열 양태는 주로 주유의 천하이분지계와 비슷했다. 관중/하북/강남 구도가 괴철의 천하삼분지계인데, 실제로 삼국지 이후 전진-전연-동진으로 형성되었고, 이후 주유 안이라 볼 수 있는 북위- 남조 왕조들 이었다가 다시 서위(북주) - 동위(북제) - () 구도가 되었다. 수나라의 통합 이후에 이런 공식은 오랫동안 나타나지 않게 되지만, 금나라의 융성으로 송나라가 남쪽으로 밀려나자 오랜만에 다시 남북 대결 구도가 나타나다가 이후 원나라 시대 이후 장강 남쪽에서 일어난 이 천하를 통일한 이후론 중국에서 제정이 종식될때까지 유사한 사례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화민국 건국 이후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북양정부와 광저우를 중심으로 한 호법정부/국민정부 간 대립으로 오랜만에 다시 남북간의 대립이 지속되다가 장제스가 주도한 국민혁명으로 중화민국이 국민정부로 통합되며 종식되었다. 그러나 호법정부와 북벌 이전 국민정부는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한 북양정부와 체급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비교하기 애매한 감이 없지않아 있다.

국공내전기 만주를 기반으로 중국 북부를 점령하고 남하하던 중국공산당과 남부 및 나머지 지역을 장악한 중국국민당으로 나뉘어졌을 당시, 국민당의 리쭝런 총통대행이 양쯔강을 기반으로 중국을 둘로 나누자는 제의를 했으나 이미 파죽지세로 몰어붙이던 공산당은 거부했다.

3.1. 남조와 오나라의 비교

남북조시대의 남조는 마지막 왕조인 진을 제외하면 익주 일대는 물론 오가 그토록 애썼는데도 얻지 못했던 합비 일대를 디폴트로 깔아두고 있었으며, 그렇게 오나라가 얻고자 했던 회수 이남을 다 평정한 상태에서 가끔 그 이북으로도 찔러보는, 삼국지 시대의 오나라는 상상도 못했던 형태였다. 유유의 시대에는 서주와 청주, 예주, 연주를 비롯해 장안과 낙양까지 판도에 넣을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남조 국가들은 주유의 구상보다 훨씬 유리했는데도 통일은 이루지 못하고 북조에게 흡수되는 결말을 맞았다.[3]

4. 관련 문서



[1] 단 노숙이 주인을 황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힌 것일 뿐, 계책으로 보긴 조금 무리다. 구체적인 방안은 물론이거니와, 삼분의 주체도 없는 막연한 비전 제시였다.[2] 물론 그 전략의 궁극적인 목표는 손권의 천하통일이다. 형주 대책은 그 목표의 제1보.[3] 단, 주유의 구상보다 상위호환으로 점령한 시기는 동진과 유송대에 한정할 수 있을 듯 하다. 적어도 유송-남제 교체기 즈음에는 익주가 점령당했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