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 SSG 랜더스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23 최상민 · 35 한유섬 · 37 오태곤 · 47 정현승 · 54 최지훈 | |
2군 | |
9 이승민 · 13 하재훈 · 15 채현우 · 27 에레디아 · 31 이정범 · 45 류효승 · 53 최민창 · 58 박정빈 · 64 김창평 · 68 임근우 · 69 백준서 · 93 이원준 | |
최종 편집: 2025년 4월 11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최상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K 와이번스 등번호 02번 | ||||
정영광 (2017) | → | <colbgcolor=#f47725><colcolor=#fff> 최상민 (2018) | → | 전진우 (2019) | |
SK 와이번스 등번호 95번 | |||||
이동근 (2018) | → | 최상민 (2019) | → | 이재성 (2020) | |
SSG 랜더스 등번호 93번 | |||||
길지석 (2020) | → | 최상민 (2021) | → | 김민준 (2023) | |
SSG 랜더스 등번호 8번 | |||||
이재록 (2021) | → | 최상민 (2022~2023) | → | 현원회 (2024~) | |
SSG 랜더스 등번호 23번 | |||||
강매성 (2023) | → | 최상민 (2024~) | → | 현역 |
| |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No.23 | |
최상민 崔相珉 | Choi Sangmin | |
출생 | 1999년 8월 20일 ([age(1999-08-20)]세) |
충청북도 청주시 | |
국적 |
|
학력 | 석교초 - 청주중 - 북일고 |
신체 | 178cm | 75kg | A형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8년 육성선수 (SK) |
소속팀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18~) |
병역 | 현역 (2019~2021) |
연봉 | 2025 / 3,2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등장곡 | 에일리 - 〈Higher〉 |
|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좌투좌타 외야수.2. 선수 경력
최상민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최상민/선수 경력 | |||
| |||
2018년 | 2019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아마 시절엔 수비에 강점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준수한 주력을 가지고 있어 주로 경기 후반 대주자로 투입되고 있다. 다만 주루 센스는 부족한 탓인지 프로 통산 7 도루, 5 도루실패로 도루 성공률 58.3%을 기록하고 있다. 심지어 주루 센스는 둘째 치고 플라이 볼에 베이스 리터치도 하지 않고 주루하여 아웃당하는 아마추어에서도 나오지 않을 실수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과거 정진기와 유사하게 실제 경기에서 보여주는 모습에 비해 현장에서의 평가는 좋은 편인데[1] 조동화 코치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수비만 놓고보면 같은 나이대의 김강민보다 낫다, 기본적인 수비력이 좋고, 외야에서의 송구 정확도는 최지훈보다도 낫다라며 극찬을 했고 이진영 코치는 이대형 SPOTV 해설위원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팀 내에서 주력이 가장 빠른 선수다, 어깨도 가장 좋다라고 평가했다. 김원형 감독 또한 "팀 내 대체 선수 1순위"로 꼽으며 1군에서의 기회를 주기 시작했고 이숭용 감독은 대주자, 대수비에 적합하다고 판단해 경기 후반에 자주 기용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코칭스태프의 호평과는 달리 실전에서는 크고 작은 실수가 빈번하게 나오고 있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WAR* |
2018 | SK-SSG | 1군 기록 없음 | ||||||||||||||||
2019 | ||||||||||||||||||
2020 | 군 복무 | |||||||||||||||||
2021 | 1군 기록 없음 | |||||||||||||||||
2022 | 27 | 18 | 1 | 0 | 0 | 0 | 3 | 1 | 3 | 3 | 4 | .071 | .235 | .071 | .307 | -2.0 | -0.07 | |
2023 | 51 | 41 | 8 | 0 | 0 | 0 | 5 | 3 | 2 | 4 | 7 | .235 | .308 | .235 | .543 | 51.3 | 0.16 | |
2024 | 43 | 13 | 2 | 2 | 0 | 0 | 9 | 1 | 2 | 0 | 5 | .167 | .231 | .333 | .564 | 42.6 | 0.12 | |
KBO 통산 (3시즌) | 121 | 72 | 11 | 2 | 0 | 0 | 17 | 5 | 7 | 7 | 16 | .183 | .275 | .217 | .492 | 59.5 | 0.21 |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SSG 랜더스 2군 구타 및 가혹행위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SG 랜더스 2군 구타 및 가혹행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SG 랜더스 2군 구타 및 가혹행위 사건#|]][[SSG 랜더스 2군 구타 및 가혹행위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3년 7월 19일, KBO 상벌위원회에서 30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내렸다.
6. 여담
- 입단식에서 밝힌 목표가 누군가의 롤모델되기이다.
- SK 시절에는 박재상, 조동화, 이대수 코치에게 모두 세대교체 자원으로 뽑혔다. 구단에서 기대가 큰듯. 특히 조동화 코치는 인터뷰를 통해 여러 차례 최상민을 극찬한 바 있다.[2]
- SSG 랜더스의 전신인 SK 와이번스 시절에 입단 테스트 없이 육성선수로 입단했다.[3]
7. 관련 문서
[1] 다만 정진기의 경우 한 시즌 두자릿수 홈런을 때려내는 등 잠시나마 포텐셜을 보여주기는 했다.[2] 조동화는 최상민을 "공격, 수비 모든 부분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선수" 라고 설명했으며 특히 자신의 선수 시절 주특기였던 번트에 관해서는 조 코치가 가지고 있는 모든 비법을 전수해 줄 만큼 최상민을 아꼈다.[3] 통상적으로 육성선수는 구단 자체 테스트를 통해 선발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SK는 이미 실력으로 인정을 받은 최상민이기 때문에, 바로 입단을 할 수 있게 마련해주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육성선수 신분으로 구단에 입단하지만, 입단식 행사에 최상민의 이름을 올려준다는 것이었다. 육성선수는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은 선수들과 달리 별다른 입단식을 진행하지 않는데, SK 구단이 최상민을 생각하여 입단식에 참여하게 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