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23:39:24

하재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4 시즌 외야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3 하재훈 · 17 추신수 [[주장|
C
]] · 27 에레디아 · 35 한유섬
· 37 오태곤 · 54 최지훈'''
2군
9 박세직 · 23 최상민 · 31 이정범파일:부상 아이콘.svg · 49 강진성
· 58 박정빈 · 60 채현우 · 63 류효승 · 64 김창평
· 65 김정민 · 69 최민창 · 96 정현승 · 97 이승민
· 01 백준서
2024년 4월 19일 경기 기준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
하재훈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포수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내야수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외야수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투타겸업 16 장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병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강'''
# 중도 귀국 선수 }}}}}}}}}

하재훈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2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9 프리미어 12
은메달
2019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9 KBO 리그 세이브왕

보유 기록
데뷔 시즌 최다 세이브 36세이브
}}} ||
하재훈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18-19 2019-20 2022-23
이용욱 허일 장진혁[1]
하재훈[2]
[1] 6라운드 종료 후 복귀.
[2] 8라운드 종료 후 복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등번호 00번
가와시마 케이조
(2008~2014)
<colcolor=#000> 하재훈
(2016)
오쿠무라 노부유키
(2019~2023)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등번호 13번
조용호
(2017~2018)
하재훈
(2019~)
현역
질롱 코리아 등번호 13번
결번 하재훈
(2022-23)
팀 해체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9 프리미어 12
김경문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1 조상우 · 19 고우석 · 21 하재훈 · 23 차우찬
29 김광현 · 33 이승호 · 35 문경찬
41 이영하 · 45 이용찬 · 46 원종현
50 박종훈 · 54 양현종 · 61 함덕주
포수 10 박세혁 · 25 양의지
내야수 2 박민우 · 7 김상수 · 12 황재균 · 13 허경민
14 최정 · 16 김하성 · 52 박병호
외야수 3 민병헌 · 17 강백호 · 22 김현수
32 김재환 · 37 박건우 · 5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6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종국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이종열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최원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No.13
하재훈
河載勳 | Ha Jaehoon | ハ・ジェフン
출생 1990년 10월 29일 ([age(1990-10-29)]세)
경상남도 진주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양덕초 - 마산동중 - 용마고
신체 183cm | 87kg | A형
포지션 외야수투수외야수 [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HC)
2019년 2차 2라운드 (전체 16번, SK)
소속팀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2009~2015)
[ 펼치기 · 접기 ]
보이시 호크스 (2009) / A-
피오리아 치프스 (2010) / A
데이토나 컵스 (2011) / A+
테네시 스모키스 (2011~2014) / AA
아이오와 컵스 (2013~2014) / AAA
유진 에메랄즈 (2015) / A-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2016)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16)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2017~2018)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19~)
질롱 코리아 (2022/23)
국가대표 WBSC 프리미어 12 1회 (2019)
병역 병역면제[2]
연봉 1억 원 (81.8%↑, 2024년)
등장곡 드렁큰 타이거 - 《Monster》 (2023~)
[ 이전 등장곡 보기 ]
투수 시절
Skillet - 《The Resistance》 (2019~2021)
응원가 구단 자작곡 (2022~)[3][4]
소속사 스포츠 인텔리전스
가족 아내 이소영[5], 슬하 2남
MBTI ESFP[6]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투수3.2. 타자
4. 별명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 KBO 리그 뿐만 아니라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IBLJ, 일본프로야구, ABL 등 여러 리그에서 뛴 경험이 있다.

메이저리그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리그에서 뛰었는데, 낮은 기대치를 받고 입단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중견수 수비 능력에 있어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손목 부상의 여파로 타자를 포기하고 투수로 전향해 낮은 레벨부터 다시 시작하는 등 굴곡진 시간을 보냈다. 이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일본 독립리그를 거쳐 2019년 SK 와이번스에 지명되어 투수로 전향했다.
KBO 데뷔 시즌이던 2019년 곧바로 세이브왕을 차지하며 강력한 인상을 남겼고 이를 토대로 생애 첫 국가대표까지 발탁되었으나 이후 어깨 부상을 당하며 좋았을 때의 구위를 찾지 못했고, 2022 시즌 이후로는 다시 야수로 전향[7]해 활동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하재훈/선수 경력
파일:MILB 심볼(2008~2021).svg
CHC 산하 마이너 시절
파일:NPB 로고.svg
2016년
파일: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로고.svg
2016년 2017년 2018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9년

3. 플레이 스타일

3.1. 투수

파일:하재훈 투구.gif
147km/h 포심 패스트볼
2019 프리미어 12 야구대표팀 평가전 2차전 (푸에르토리코)

최고 구속 150kmh대 초반의 빠른 구속과 높은 회전수를 겸비한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강속구 투수다. 특히나 포심 패스트볼이 최대 RPM을 2800 가까이 찍은 적 있고, 평균 2534RPM을 기록할 정도로 공의 회전수가 엄청나기 때문에 상대 타자 입장에서는 질 좋은 타구를 생산해내기가 정말 어렵다. 또한 위기 상황에서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19시즌 포심 평균구속이 146km 이상으로 공의 힘만큼은 아니어도 뛰어난 속구 스피드를 보여줬다. 구위와 구속, 자신의 배짱까지 합쳐서 속구 일변도의 파워피처다. 속구가 72.4%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2,3구종은 10~15%씩 차지하는 슬라이더와 커브인데, 불안정해서 얼마 쓰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성능은 괜찮다.

단점은 살짝 아쉬운 제구. 스트라이크는 잘 던지나 종종 볼넷을 내주는 편. 하지만 볼넷으로 나간 주자를 불러들이지 못하게 꽁꽁 막아준다. 다른 단점이 있다면 투수로 보직을 변경한 지 얼마 안 되어서 아직 변화구가 완성도가 높은 편이 아니고 투구폼이 딱딱한 느낌을 준다는 것. 투구할 때 느낌이 투구한다기 보다는 포수에게 송구한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투구폼은 타자로 다시 전향할 때까지 계속 바꿨다고 한다.[8]

그러나 20시즌 이후 어깨 부상을 당한 이후 구속이 140km/h 전후로 형성되며 제구력도 나빠졌다. 악력이 워낙 뛰어난 지라 줄어든 구속에 비해 구위는 비교적 나쁘지 않았으나, 결국 다시 타자로 전향하게 되었다.

3.2. 타자

파일:하재훈 스윙.gif
하재훈의 타격폼
vs 삼성 라이온즈 허윤동 (2022. 07. 08.)

3할의 타율로 안타를 생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뛰어난 장타력으로 두자릿수 홈런을 노릴 수 있는 OPS 히터 유형의 타자이다. 존안에 들어오는 직구에 대처 능력이 뛰어나다.

미국 시절 뛰어난 수비와 강한 어깨를 이용한 송구만큼은 당장 메이저에서도 써먹을 수 있을 정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타자로서의 능력 역시 좋은 선구안과 평균 이상의 주력에 파워, 준수한 컨택 등을 두루 갖추고 있는 툴가이였으나 문제는 이게 터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당장 일본에서 투수로 전향한 이유도 끝끝내 타격이 안 터졌기 때문이다.

2022 시즌부터 다시 타자로 나서게 되며 드러난 장점은 좌완 투수를 상대로 매우 강하다는 것이다. KBO에서의 첫 타자 데뷔전인 두산전에서는 좌완 최승용을 상대로 첫 안타와 첫 타점을 신고했고, 롯데와의 경기에선 에이스 투수인 찰리 반즈를 상대로 홈런을 쏘아 올리며 KBO리그의 첫번째 홈런을 장식했으며, 3일 뒤 KIA와의 경기에선 최근까지 같은 팀 동료였던 김정빈을 상대로 좌측 펜스를 상단을 때리는 큼지막한 1타점 3루타를 기록하며 첫 3루타까지 만들어냈다. 다만 반대로 우완 투수를 상대로는 상당히 약한 편이라 보통 플래툰, 좌투 상대 대타로 주로 나온다. 종종 우투 상대로도 대타로 나오지만 이럴 때는 대부분이 삼진이라 왜 하재훈을 냈냐는 말만 빗발치게 된다.[9]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2023 준플레이오프 9회말 홈런
vs NC 다이노스 이용찬 (2023. 10. 22.)
하지만 2023시즌 야수로 전향한 본격적인 한해를 시작하며 221타석에 출장해 61안타를 쳐내고 7개의 홈런을 쳐내 타출장 .303/.374/.468 WRC+ 135.2를 기록하여 타격마저 눈 뜬 그야말로 야잘잘의 표본이 되었으며, 심지어 우투 상대로 140타수 45안타를 기록, 3할 2푼의 타율을 기록하여 우투 상대 약점 또한 극복하였다.

애초에 체격이 매우 잘 잡혀있는 몸인데다 투수 출신이라 전체적인 밸런스가 굉장히 좋다. 위에 보이는 2023 준플레이오프 1차전 9회말에 나온 홈런을 보면 변화구가 들어와 타이밍이 뺏겼지만, 무릎을 굽혀주면서도 허리가 빨리 열리지 않아 홈런을 만들어낼 정도로 하체 밸런스가 뛰어나다. 단순히 상체만 휘둘러서는 아무리 문학이라도 홈런을 만들어내기 힘들다.[10]

약점으로는 기복과 부상이력, 나이가 꼽힌다. 하재훈은 이미 부상으로 선수 커리어가 두번이나 꺾였고[11], 야수로 본격적으로 전향한 2023년엔 시범경기부터 부상을 당해 5월이 되서야 경기에 출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KBO리그에 정착한지는 2024년 기준으로 5년차이지만 이미 나이가 33살이다. 많은 부상을 끌어안고 출전하긴 점점 힘들어 질것이다.

직구 대처능력에 비해 변화구 대처 능력이 안좋다. 특히 바깥쪽으로 떨어지는 변화구에 배트가 쉽게 나가며, 포크볼은 쥐약 수준이다. 또한 타율이 높은 타자치곤 기복이 있는편이다. 몰아칠때는 무섭게 몰아치지만, 타격감이 떨어졌을땐 변화구 대처 능력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수싸움에서도 말려들어간다.

득점권 타율도 매우 안좋다. 2024년 4월 11일 기준 득점권 타율이 .176을 보여주는데,[12] 한유섬이 1할대 타율로 6번까지 내려간 상황인데[13] 득점권 타율이 낮은건 팀적으로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파일:하남자송구.gif
하재훈의 송구
vs 두산 베어스 (2022. 05. 19.)
파일:하재훈 kia전 호수비.gif
최형우의 타구를 잡아내는 호수비
vs KIA 타이거즈 (2023. 06. 06.)

투수 출신이라 어깨가 매우 강하다.[14] 하재훈 본인도 2019 드래프트때 송구가 장점이라고 말하기도 한 부분. 타격만 어느 정도 해준다면 그동안 정의윤, 김동엽, 고종욱 등 수비가 단점인 좌익수들을 거친 SSG에 큰 희망이 될 수 있다.

야신야덕에 출연한 김강민이 팀 내 최고 강견 야수 3명으로 김성현, 최지훈, 하재훈을 꼽기도 했다.

4. 별명

SK 입단 1년만에 리그 탑급 마무리 투수로 성장했고, 경기나 구단 유튜브에서 재미있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어서 다양한 별명들이 생겨났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실제로는 포수 → 외야수 → 투수 → 투타겸업 → 투수 → 외야수(...)인 식으로 자주 포지션 변경을 했다.[2] 근육이 경직되는 병 때문에 면제를 받았다.[3] (하~재~훈~) 랜더스의 하재훈 안타 워어어어어~ 하재훈 안타 랜더스의 하재훈 안타 승리를 위해 하재훈 안타 *2[4] 처음 응원가가 나왔을 때 본인 스스로 응원가가 마음에 안들었다고 한다.[5] 2013년 미스코리아 대구 선 출신이며, 2014년에 결혼했다.[6] 같은 팀 박성한과 똑같다.[7] 사실 귀국 후 투수로 활동하던 기간에도 타자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서 단체훈련 시간전에 혼자 일찍 나와서 티배팅 같은 타자훈련을 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방송제작진들에게 발견되어 종종 중계방송에서 캐스터나 해설자들에게 언급된 적이 많았었다. 주로 파워배팅이 뛰어나다는 평가였다.[8] 뻣뻣해보이는 이러한 투구폼이 대충 던져서 승리를 지키겠다는 것처럼 보여서 오히려 멋지다는 팬들도 많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이 투구폼이 부상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9] 2022년 좌투 상대로는 OPS .980이지만 우투 상대로는 OPS .450가 간신히 된다. 그리고 우투 상대로 나올 때는 들어선 타석의 40% 가량이 삼진이다.[10] 애초에 하체가 받쳐주지 못하면 절대 바깥쪽 공이나 변화구를 공략할 수 없다.[11] 2013년 손목 부상으로 인해 트리플A에서 루키까지 강등됐고, 2020년엔 어깨 극상근 손상으로 투수 커리어를 마감해야 했다.[12] 반면에 주자가 없을때 타율은 .480이다[13] 반면 한유섬은 득점권 타율이 .308로 클러치 능력만큼은 하재훈보다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14] 추신수, 나성범, 김강민 등 어깨가 강해 보살을 1년에 몇 번씩 해내는 강견 외야수들은 공통적으로 투수로 뛰어본 경험이 있다.[15] 김강민을 상남자라고 표현했는데 본인은 하남자라고 표현했다. 영상 5분 59초부터.[16] 약 3년 뒤 주호민에 의해 하남자라는 표현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본의 아니게 하남자의 원조가 되었다.[17] 두산의 이영하가 비시즌에 내년에 18승하겠다는 말을 하고 17승을 거둔 것과 거의 같은 상황이다![18] 최후의 한국인 투수는 이대은. 왜 이대은과 달리 하재훈에게 토종이란 말이 붙냐면 2020년까지 야쿠르트에서 외야수로 뛰었던 우에다 츠요시가 한국 국적의 재일교포 4세이기 때문이다. 현재 대놓고 자신이 한국 국적의 재일이라고 밝힌 선수가 없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일본프로야구 최후의 한국인 타자/한국인 선수가 우에다가 된다. 다만 2021년 오릭스에 입단한 겐 켄다이가 2021 시즌 중 한국에서 일본으로 귀화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한국 국적의 선수가 2021년 개막전 기준으로는 NPB에 있었다는 것이다.[19] 그동안 KBO 리그에는 전준호, 권준헌, 임준혁처럼 타자로 입단했으나 어깨가 워낙 강해 투수로 전향한 선수, 반대로 김응국, 이승엽, 이대호처럼 투수로 입단했다가 타자로 전향한 선수는 꽤 많다. 그러나 KBO 리그에서 하재훈 이전에 타자→투수→타자의 커리어를 가진 선수는 심재학 정도 뿐이다. 반대로 투수로 입단한 후 타자로 전향했다가 다시 투수로 돌아온 케이스도 있기는 하다. 대표적으로 김대우하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