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6:21:02

이용욱(야구)

이용욱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11 권휘 · 15 구대성 · 17 길나온 · 19 강화영
21 박지웅 · 22 이상학 · 28 배진선 · 37 허건엽
39 장진용 · 46 김진우 · 50 이재곤 · 52 류기훈
93 김병근
포수 23 한성구 · 26 신승원 · 44 임태준
내야수 '''1 박휘연 · 5 국대건 · 7 이주호
10 이용욱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16 조한결 · 24 임종혁
25 최준석 · 62 김승훈 · 86 유용목'''
외야수 2 우동균 · 8 노학준 · 9 장민도
34 서지호 · 47 권광민 · 51 최윤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용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상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재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병수'''
}}}}}}}}} ||
이용욱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18-19 2019-20 2022-23
이용욱 허일 장진혁[1]
하재훈[2]
[1] 6라운드 종료 후 복귀.
[2] 8라운드 종료 후 복귀.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3번
김준호
(2012~2013)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용욱
(2014)
이상학
(201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2번
밴덴헐크
(2013~2014)
이용욱
(2015)
서동환
(2016)
질롱 코리아 등번호 10번
팀 창단 이용욱
(2018-19)
김태완
(2019-20)
}}} ||
}}} ||
파일:이용욱트라이아웃.jpg
이용욱
Lee Yong-Wook
출생 1988년 7월 24일 ([age(1988-07-24)]세)
경기도 수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신초 - 청주중 - 경남상고 - 세한대
신체 182cm, 80kg
포지션 외야수, 1루수[1]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4년 신고선수 (삼성)
소속팀 고양 원더스 (2013~2014)
삼성 라이온즈 (2014~2015)
질롱 코리아 (2018/19)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고양 원더스2.3. 삼성 라이온즈
2.3.1. 2014 시즌2.3.2. 2015 시즌
2.4. 질롱 코리아
2.4.1. 2018/19 시즌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질롱 코리아의 내야수이자 초대 주장.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경남상고(현 부경고)에서 세한대로 진학하여 프로 지명을 노렸으나 지명받지 못했고 해병대에 입대하였다.

2.2. 고양 원더스

파일:고양이용욱.jpg
해병대 전역 후 고양 원더스에 입단했다.

2014시즌 퓨처스리그에서 52경기에 출전해 주로 테이블 세터의 역할을 맡아 타율 0.270(174타수 47안타) 35도루 40득점을 기록하였다. 특히 6월에는 20경기에서 타율 0.329(82타수 27안타)에 도루 20개를 기록하면서 급성장한 모습을 보였다.

2.3. 삼성 라이온즈

2.3.1. 2014 시즌

6월의 성장한 모습에 힘입어 7월 2일, 삼성이 신고선수로 영입하였다.

2.3.2. 2015 시즌

평범한 성적[2]을 기록하였고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2.4. 질롱 코리아

2.4.1. 2018/19 시즌

질롱 코리아 트라이아웃에 합격하였고 이후 팀의 초대 주장을 맡게 되었다.

시드니 블루삭스와의 홈 개막전 팀 창단 첫 타점은 물론 3안타를 몰아치는 등 주장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한동안 주전으로 출장하며 3할 타율을 유지했지만 장타력 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겼다.

11월 한 달 동안은 타율 0.323를 기록하며 팀 타선의 첨병 역할을 했지만, 12월부터 타격 슬럼프에 빠지며 12월 종료 시점에는 0.238까지 타율이 추락했다. 또한 수비에서의 약점도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원래부터 타격은 좋지만 수비, 특히 송구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선수였는데[3] 1루에서 홈 송구, 외야에서 중계 플레이 도중 송구에 있어서 문제점을 드러냈고, 여기에 타격 부진과 발목 부상까지 겹치면서 선발 출장이 대폭 줄어든 상황이다.

하지만 1월부터는 대타로 출장하며 타격감을 찾기 시작했고, 시즌 마지막 5경기에서 10타수 6안타 3타점을 때려내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4] 고양 원더스 시절의 기동력이 좋고 득점을 많이 올리는 모습은 아니었지만 전반적인 컨택 능력이나 선구안은 질롱 코리아 내에서 최상위권이었다.

그러나 선술한 어깨 슬랩 부상의 여파로 시즌 종료 후 선수 본인 SNS를 통해 은퇴를 선언하였다.

3. 관련 문서


[1] 고교 시절에는 2루수와 유격수가 주 포지션이었고 세한대에 진학한 후 외야수로 전향하였다.[2] 28경기 56타석 50타수 14안타 0홈런 7타점 10득점 4도루(4도루자) 5볼넷 1사구 9삼진 타출장 .280/.357/.360[3] 허구연 해설위원이 송구에 약점이 있다고 언급하였고 이후 어깨 슬랩 부상이 있었음이 밝혀졌다.[4] 33경기 25안타 0홈런 3도루 8타점 10볼넷 타출장 .291/.37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