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8:49:29

김진우(1983)

김진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김용만(2) 장진범
조종규
(4명)
강정남
김윤환
조도연
문희수
(7명)
김기철
김태업
선동열
신태순
이순철
최상주
허세환(1)
(10명)
강상진
김경호
김대현
김정수
김평호
백재우(1)
신동수
이건열
장채근
차동철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백인호
박철우
김만후
송영복(1)
조계현
한경수(1)
이광우
이강철
장호익
정회열
이호성
오희주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박재홍 이종범 최재영 김동호 김종국
(고졸)
김상훈
김상진
서재응(1)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오철민
(고졸)
김병현(1)
김원(1)
김준희(1)
최희섭(1)
(고졸)
강철민
김정진(1)
이현곤
정성훈
(고졸)
류찬
김성호 정원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김진우 고우석 김주형 곽정철 한기주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정영일(1)
오준형
전태현 정성철 심동섭(2) 한승혁(2)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박지훈(2) 손동욱(2) 차명진 이민우 김현준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유승철 한준수 김기훈 정해영 이의리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김도영 윤영철(2) 조대현(2) 김태형(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연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82 1983 1984 1985 1986
방수원 주동식 이상윤 김용남 강만식
<rowcolor=#000> 1987 1988~1992 1993 1994 1995
김정수 선동열 김정수 이강철 조계현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김정수 이강철 이대진 곽채진 최상덕
<rowcolor=#fff> 2003~2005 2006 2007 2008 2009
리오스 김진우 윤석민 리마 윤석민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로페즈 윤석민 서재응 소사 홀튼
<rowcolor=#fff> 2015~2016 2017~2018 2019~2020 2021 2022
양현종 헥터 양현종 브룩스 양현종
<rowcolor=#fff> 2023 2024
앤더슨 크로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11 권휘 · 15 구대성 · 17 길나온 · 19 강화영
21 박지웅 · 22 이상학 · 28 배진선 · 37 허건엽
39 장진용 · 46 김진우 · 50 이재곤 · 52 류기훈
93 김병근
포수 23 한성구 · 26 신승원 · 44 임태준
내야수 '''1 박휘연 · 5 국대건 · 7 이주호
10 이용욱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16 조한결 · 24 임종혁
25 최준석 · 62 김승훈 · 86 유용목'''
외야수 2 우동균 · 8 노학준 · 9 장민도
34 서지호 · 47 권광민 · 51 최윤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용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상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재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병수'''
}}}}}}}}} ||

김진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퐁황.jpg 2000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파일:대통령배고교야구심볼.png
2001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s-2|{{{#a7832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추신수
(부산고등학교)
김진우
(진흥고등학교)
김대우
(광주제일고등학교)


파일: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02 부산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0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탈삼진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노상수
롯데 자이언츠 / 141K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23K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1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4K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163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8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89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0K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155K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170K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96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63K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221K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60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83K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184K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174K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 215K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진우
KIA 타이거즈 / 177K
이승호
LG 트윈스 / 157K
박명환
두산 베어스 / 162K
리오스
두산 베어스 / 147K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7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04K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78K
김광현
SK 와이번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7K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8K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10K
리즈
LG 트윈스 / 188K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180K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194K
보우덴
두산 베어스 / 160K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켈리
SK 와이번스 / 189K
샘슨
한화 이글스 / 195K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189K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 205K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25K
<rowcolor=#fff> 2022 2023 2024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24K
페디
NC 다이노스 / 209K
하트
NC 다이노스 / 182K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1번
이윤학
(2001)
김진우
(2002)
박창열
(2003)
KIA 타이거즈 등번호 55번
장일현
(2001.8.1.~2002)
김진우
(2003~2005)
장일현
(2006)
KIA 타이거즈 등번호 34번
최상덕
(1996~2005)
김진우
(2006~2007)
임기준
(2010~2012)
KIA 타이거즈 등번호 49번
박성호
(2010.6.8.~2010)
김진우
(2011~2014)
박성호
(2015~2015.5.5.)
KIA 타이거즈 등번호 94번
조경환
(2014)
김진우
(2015~2016)
정상옥
(2017~2019)
KIA 타이거즈 등번호 11번
유창식
(2016)
김진우
(2017)
박정수
(2019)
KIA 타이거즈 등번호 022번
이정현
(2015~2016)
김진우
(2018)
오규석
(2020~2021)
질롱 코리아 등번호 46번
팀 창단 김진우
(2018-19)
결번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2 아시안 게임
김인식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8 노장진 · 20 이승호 · 21 송진우
27 박명환 · 37 임창용 · 41 김진우
47 이상훈 · 51 조용준 · 55 정재복
포수 22 홍성흔 · 44 김상훈
내야수 1 장성호 · 3 박진만 · 5 김한수 · 10 김동주
14 김민재 · 16 김종국 · 36 이승엽
외야수 7 이종범 · 9 이병규
34 이영우 · 62 박재홍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김인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김재박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김성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3 야구선수권 대회
김재박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1 조규제 · 17 조웅천 · 19 이강철
20 정민태 · 37 임창용 · 41 김진웅
47 이승호 · 51 조용준 · 55 김진우
포수 12 진갑용 · 44 조인성
내야수 1 장성호 · 3 박진만 · 5 정성훈 · 14 김민재
16 김종국 · 18 김동주 · 27 이승엽
외야수 7 이종범 · 33 박한이
35 이진영 · 62 박재홍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김재박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김성한
투수·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조범현
수비·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정진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⁵.jpg
김진우
金鎭尤 | Kim Jin-woo
출생 1983년 3월 7일 ([age(1983-03-07)]세)
강원도 춘천시[1]
등록기준지 강원도 양구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서석초 - 광주진흥중 - 광주진흥고
신체 193cm, 117kg, O형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2년 1차 지명 (해태)[2]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02~2007, 2011~2018)[3]
서울 해치 (2010)
질롱 코리아 (2018/19)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2019)
지도자 나주광남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병역 예술체육요원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응원가 FTISLAND - 사랑앓이[4]
SKY - 반전[5][6]
가족 아내 김혜경(1984년생), 장남[7], 차남 김찬영
종교 불교

1. 개요2. 선수 경력3. 선수 은퇴 후4. 피칭 스타일5. 여담6. 연도별 주요 성적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투수이자 現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

아마 시절 최대어로 평가 받으며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였고 빠른 시일에 팀의 간판 투수로 자리 매김 했지만, 방황의 시기를 겪으며 프랜차이즈 스타에서 풍운아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근 4년만에 팀에 복귀하고 좋은 성적을 내어 재기에 성공하기도 한다.

2. 선수 경력

김진우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김진우(1983)/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02~2007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파일:ABL 로고.svg
2018-19년
파일:LMB 로고.svg
멕시코 시절
아마추어 경력
진흥고등학교 시절
}}}}}}}}} ||

3. 선수 은퇴 후

KIA팜인 나주광남고 야구부 코치를 잠깐 하다가 고향인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에서 『JB 트레이닝 센터』라는 야구 아카데미를 열어 후배들을 양성하고 있다.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로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 것으로, 진흥고 후배인 신명승이 그의 가르침을 받고 2022년 2차 9라운드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는 등 야구 지도자로서 성과도 내고 있다. 이외에 시간이 나면 다른 야구 레슨장, 사회인 야구단, 시도대항 야구대회 등지에 나가서 아마추어 야구인과 함께하는 듯.

2020년 중순에 대선배인 박명환이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 박명환야구TV에 게스트로 출연해 이런저런 썰을 풀었다.

2020년 9월 말 프동야에 출연하여 박명환과 투수대결을 성사하기로 했다.

4. 피칭 스타일

파일:attachment/김진우/1344404672.gif

파일:김진우파와컵.gif

전매특허 폭포수커브. 다른 건 몰라도 이 커브 하나만큼은 국내에서 독보적인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가 메이저리그 스카우터에게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건 150km에 육박하는 빠른 포심 패스트볼과 130km 중반까지 찍히는 파워 커브를 가졌기 때문이다.[8] 김진우의 커브는 윤성환의 커브와 함께 2000년대~2010년대 리그 최고 수준으로 꼽히는데, 윤성환의 커브가 큰 낙폭과 정교한 제구력을 자랑한다면 김진우의 커브는 빠른 속도로 떨어지며 상대방을 위협하는 타입이다.[9] 이러한 투구 스타일은 메이저리그의 전통적인 파워 피쳐의 조건에 완벽하게 부합한다. 여기에 위에서 언급했던 사기적인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다. 과장 좀 보태면 피지컬 만을 놓고 보면 박찬호가 부럽지 않을 정도다. 여기에 2012년 새롭게 장착한 구종인 싱킹 패스트볼[10][11]이 적절하게 쓰이면서 위력적인 투구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이다.

실로 데뷔 첫해부터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국가대표에 발탁되었고, 이듬해엔 이를 뛰어넘는 활약을 보였으며, 임의탈퇴 이전까지 팀의 간판 투수이자 리그를 대표하는 투수 중 한명으로 활약하며 수준급의 모습을 보였다.

2011년 복귀한 이후로 제구력의 경우 다소 애를 먹고 있지만 패스트볼은 140중반을 팍팍 찍고, 커브는 팍팍 떨어지면서 130km이 찍히는 걸 봐서는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충분히 리바운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12년에 재기에 충분히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었다.[12]

다만 아쉬운 점은 1군 풀타임을 8시즌 밖에 뛰지 못했다는 점이다.

불운한 가정사 문제도 있긴 하나, 무지막지한 덩치에 걸맞지 않게 멘탈이 예민한 편이다. 옆에서 중심을 잡아줄 멘토가 필요한 타입인데, 스스로 책임을 가지고 움직여야 할 프로 세계에서는 마이너스가 될 수 있는 부분.[13]

5. 여담

파일:풍운아.jpg

6.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KIA 33 188
(5위)
12 11 0 0 4.07 201 78 177
(1위)
2003 24 169⅓
(5위)
11 5 0 0 3.45
(4위)
150 75 146
(2위)
2004 19 63 7 2 1 0 2.86 49 36 57
2005 31 145 6 10 1 0 3.51 126 73 123
(4위)
2006 20 117 10 4 0 0 2.69 94 63 65
2007 5 18⅓ 1 2 0 0 8.35 14 29 17
2008 1군 기록 없음(임의탈퇴)
2009
2010
2011 10 8⅔ 0 1 2 0 5.19 6 8 12
2012 24 133⅔ 10 5 0 0 2.90 110 60 101
2013 24 126⅓ 9 10 1 0 4.99 147 62 130
2014 28 90⅔ 3 4 1 1 5.96 100 68 85
2015 4 13 1 0 0 1 3.46 12 10 12
2016 11 15 2 1 0 2 4.80 16 7 10
2017 14 36⅓ 2 6 0 0 7.93 52 30 21
2018 1군 기록 없음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8-19 질롱 코리아 10 41⅓ 1 8 0 0 9.36 59 22 51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9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6 25 1 1 0 0 6.12 28 21 14
<colbgcolor=#ffff88> KBO 통산(13시즌) 247 1124⅓ 74 61 6 4 4.07 1077 599 956
ABL 통산(1시즌) 10 41⅓ 1 8 0 0 9.36 59 22 51
LMB 통산(1시즌) 6 25 1 1 0 0 6.12 28 21 14
완투, 완봉 기록
연도 완투 완봉
2002년 4완투
(2위)
1완봉
(4위)
2003년 4완투
(2위)
2완봉
(1위)
2005년 6완투
(1위)
1완봉
(2위)
2012년 2완투 1완봉
통산 16완투 5완봉

7. 관련 문서



[1] 광주광역시 토박이로 아는 팬들이 많은데 실은 춘천 출신이고 본적은 강원도 양구군이다. 2세인 1985년에 광주 남구로 이주해 지금까지 쭉 살고 있다고 한다.[2] 2002년 신인 지명은 2001년 6월에 열렸는데 이때는 아직 팀명이 해태 타이거즈였고 팀이 해태에서 KIA 타이거즈로 이름이 바뀐 건 당년 8월 1일부터라 해태의 지명을 받은 게 맞다. 광주진흥고 출신 최후의 타이거즈 1차 지명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공식적인 타이거즈의 마지막 광주진흥고 출신 1차 지명 선수는 정영일이지만 입단은 하지 않았기 때문에 김진우를 실질적인 광주진흥고의 마지막 타이거즈 1차 지명자 선수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참고로 광주진흥고의 마지막 1차 지명자는 2022년 신인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지명 받은 문동주다.[3] 2007년 8월 1일~2011년 4월 30일 임의 탈퇴 신분[4] 워워워~ KIA의 김진우 워워워~ KIA의 김진우 마운드를 지배하라 타이거즈 김진우 (x2)[5] KIA의 김진우 워워워~ 마운드의 지배자 김진우~ KIA 타이거즈의 승리를 위해~ 워~KIA의 김진우 워워워~ 마운드의 지배자 김진우~ KIA 타이거즈의 승리를 위해~[6] kt wiz이해창도 사용했다.[7] 전처 소생[8] 2007년 무단이탈 직전에 등판한 삼성 라이온즈 전에서 김진우는 속구를 포함한 모든 공의 제구가 엉망이 되자 커브만 던졌음에도 삼성 타선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 외에도 한창 전성기를 달리던 2002년~2003년에 6이닝 동안 커브만 던져서 당시 이승엽-마해영-양준혁-틸슨 브리또가 건재하던 삼성 타선을 잡아버린 적도 있을 정도로 김진우의 커브는 위력이 뛰어났었다.[9] 유튜브 프로동네야구 PDB에 출연하여 자신의 커브 그립을 보여주었는데 일반적으로 통용된 실밥 하나의 선을 중지와 검지를 붙여 잡는 그립이 아닌 투심과 스플리터 중간 크기로 벌린 검지와 중지로 양측 실밥을 잡는 특이한 그립을 보여주었다.[10] 이 구종을 전수한 사람은 진흥고 선배인 송유석. 그런데 본디 새로운 구종을 잘 안 받아들이는 타입인 김진우는 2012년에 이 구종을 빠르게 습득하였고 이를 적절하게 쓰면서 큰 재미를 보았다. 4년 공백기에도 불구하고 위력적인 투구내용을 보여준다는 것과 배운지 얼마 되지 않은 구종을 제대로 습득하여 요긴하게 쓰는 것을 보면서 일부는 김진우의 몸은 축복받은 몸이라고 평할 정도.[11] MBC SPORTS+ 스프링캠프 특집 인터뷰에서 싱커를 어떻게 그리 빠르게 습득했냐는 질문에 자신은 직구를 던질때 팔이 나가면서 손목이 동시에 돌아가는 스타일이라 원래 직구가 안으로 살짝 밀리는 경향이 있었는데 싱커그립으로 잡고 직구 던지듯이 던지니까 공이 더 잘 떨어지게 됐다고 답했다. 자신의 피칭스타일에 적합한 구종을 찾은 것.[12] 삼성 라이온즈배영수와 함께 2012시즌 가장 재기에 성공한 선수로 평가받았다.[13] 비슷한 유형의 선수로 노경은이 있다. 파워 피처로서의 자질은 뛰어나지만 새가슴이고, 옆에서 격려해주는 멘토가 있을 때 제 실력을 발휘하는 것까지 공통점이 많다.[14]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이 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언급했는데, 싸인을 부탁하자 손으로 밀치며 재빨리 떠났고, 그 선수가 해태 투수였다는 부분까지 공개했다.[15] 삼성 시절엔 앉은 자리에서 라지 피자 두판을 먹었다고 한다. 그래서 해태 실무진이 임창용을 트레이드할 때 이름이 기억이 안 나서 밥 잘 먹는 투수로 기억을 했다고.[16] 삼성 관계자가 이름을 몰라 그 밥 잘먹는 투수라니 이야기가 나왔고, 바로 현대 유니콘스 후배인 조용훈 말로는 그냥 엄청 많이 먹는다! 라고 한 마디로 설명했다.[17] 박명환야구TV에서 상세하게 썰을 풀었는데, 혼자 먹은 건 아니고 동료들 10여 명과 문희수 코치의 가족들과 같이 먹었는데 60만원 어치를 먹게 된 거라고 한다.[18] 참고로 코치진 묵인 하에 일어난 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