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1:20:00

헥터 노에시

헥터 노에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3)(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파일:미국 국기.svg
뉴선(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091231>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3)(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091231>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1e376d>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06141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4)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82 1983 1984 1985 1986
방수원 주동식 이상윤 김용남 강만식
<rowcolor=#000> 1987 1988~1992 1993 1994 1995
김정수 선동열 김정수 이강철 조계현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김정수 이강철 이대진 곽채진 최상덕
<rowcolor=#fff> 2003~2005 2006 2007 2008 2009
리오스 김진우 윤석민 리마 윤석민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로페즈 윤석민 서재응 소사 홀튼
<rowcolor=#fff> 2015~2016 2017~2018 2019~2020 2021 2022
양현종 헥터 양현종 브룩스 양현종
<rowcolor=#fff> 2023 2024
앤더슨 크로우
}}}}}}}}} ||

헥터 노에시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1.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2017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다승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24승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30승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7승
김시진·김일융
삼성 라이온즈 / 25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4승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3승
윤학길
롯데 자이언츠 / 18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승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송진우
빙그레 / 19승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7승
이상훈
LG 트윈스 / 18승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8승
이상훈
LG 트윈스 / 20승
구대성
한화 이글스 / 18승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18승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20승
김용수
LG 트윈스 / 18승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20승
김수경·임선동·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8승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5승
신윤호
LG 트윈스 / 15승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키퍼
KIA 타이거즈 / 18승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7승
레스
두산 베어스 / 17승
리오스
KIA 타이거즈 / 17승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7승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8승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승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22승
김광현
SK 와이번스 / 16승
로페즈
KIA 타이거즈 / 14승
윤성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조정훈
롯데 자이언츠 / 14승
김광현
SK 와이번스 / 17승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승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 17승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세든
SK 와이번스 / 14승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 20승
해커
NC 다이노스 / 19승
니퍼트
두산 베어스 / 22승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헥터
KIA 타이거즈 / 20승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18승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20승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20승
뷰캐넌
삼성 라이온즈 / 16승
요키시
키움 히어로즈 / 16승
<rowcolor=#fff> 2022 2023
켈리
LG 트윈스 / 16승
페디
NC 다이노스 / 20승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승률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0.857
이길환
MBC 청룡 / 0.682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0.833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환
OB 베어스 / 0.833
최일언
OB 베어스 / 0.82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윤석환
OB 베어스 / 0.813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6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26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0.813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 0.800
이상훈
LG 트윈스 / 0.800
구대성
한화 이글스 / 0.857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0.909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0.750
김용수
LG 트윈스 / 0.750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 0.810
송진우
한화 이글스 / 0.867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 0.714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0.714
신윤호
LG 트윈스 / 0.714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0.895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0.895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0.909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0.778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0.815
채병용
SK 와이번스 / 0.815
김광현
SK 와이번스 / 0.857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민
KIA 타이거즈 / 0.77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 0.824
류제국
LG 트윈스 / 0.857
소사
넥센 히어로즈 / 0.833
해커
NC 다이노스 / 0.792
니퍼트
두산 베어스 / 0.880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헥터
KIA 타이거즈 / 0.800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0.857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0.870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0.909
수아레즈
LG 트윈스 / 0.833
<rowcolor=#fff> 2022 2023
엄상백
kt wiz / 0.846
쿠에바스
kt wiz / 1.000
}}}}}}}}}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62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72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류현진
(2006~)
2024년 / 102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양현종
(2007~)
2024년 / 2000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45번
세르지오 미트레
(2009~2010)
<colbgcolor=#c4ced4> 헥터 노에시
(2011)
케빈 웰란
(2011)
뉴욕 양키스 등번호 64번
로물로 산체스
(2010)
헥터 노에시
(2011)
세자르 카브랄
(2013~201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5번
에릭 베다르
(2008~2011)
헥터 노에시
(2012~2014)
트렌트 제웻
(2015)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19번
세스 로진
(2014)
헥터 노에시
(2014)
대니얼 로버트슨
(2014)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48번
브라이언 오모그로소
(2012~2013)
헥터 노에시
(2014~2015)
토미 케인리
(2016~2017)
KIA 타이거즈 등번호 43번
문경찬
(2015)
헥터
(2016~2018)
홍원빈
(2019~2021.8.1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48번
크리스토퍼 보스틱
(2018)
헥터 노에시
(2019)
마이크 모린
(2020)
}}} ||
}}} ||
파일:헥터노에시.jpg
헥터 노에시
Héctor Noesí
출생 1987년 1월 26일 ([age(1987-01-26)]세)
발베르데 주 에스페란자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92cm, 93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NYY)
소속팀 뉴욕 양키스 (2011)
시애틀 매리너스 (2012~2014)
텍사스 레인저스 (2014)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4~2015)
KIA 타이거즈 (2016~2018)
마이애미 말린스 (2019)
푸방 가디언스 (2021)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전 KIA 타이거즈 소속 외국인 투수

2. 선수 경력

헥터 노에시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헥터 노에시/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 파일:MILB 심볼(2008~2021).svg
2019년 2020년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6년 2017년 2018년
파일:CPBL 로고.svg
2021년
}}}}}}}}} ||

3. 플레이 스타일

파일:헥터 투구.gif

포심 구속이 빠르며 수평 무브먼트가 뛰어나다. 그 예로 2016년 3월 12일 시범경기에 등판했을 때 헥터는 포심 33개와 커브 7개를 던졌다고 하였으나 기록에는 슬라이더를 2개 던졌다고 기록될 만큼, 포심의 무브먼트가 뛰어나다. 이 경기에서 속구의 구속을 141km/h에서 149km/h까지 조절하며 완급 조절도 할 수 있는 투수임을 보여주었다.

KBO 기준 헥터는 피홈런 억제에 엄청난 장점이 있는 투수이다. 빠른 구속에 비해 기교파에 가깝다. 2016년 6월 26일까지 6.13/2.93/0.28의 9이닝당 삼/볼/홈의 기록을 보여줬다. 미국 시절 피홈런이 많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1] 하지만, 2년차인 2017년에 피홈런 갯수가 3배로 대폭 증가해버렸다. 포심,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섞어서 카운트를 잡거나 타자의 시선을 교란시키며, 결정구는 바깥쪽 포심과 떨어지는 체인지업이다. 정작 포심도 결정구로 많이 던지다보니 투구수가 늘어나기도 한다.

수비 시 움직임이 둔해 기습 번트 등에 취약하다. 다만 슬라이드 스텝 자체는 제법 괜찮은 편이다.

4. 여담

5.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1 NYY 30 56⅓ 2 2 0 4 4.47 63 6 22 6 45 1.51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2 SEA 22 106⅔ 2 12 0 0 5.82 107 21 39 3 68 1.37
2013 12 27⅓ 0 1 0 0 6.59 42 3 12 5 21 1.9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4 SEA/TEX/CWS 33 172⅓ 8 12 0 0 4.75 180 28 56 3 123 1.37
2015 CWS 10 32⅔ 0 4 0 0 6.89 41 7 17 2 22 1.7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9 MIA 12 27⅔ 0 3 0 0 8.46 30 26 14 1 24 1.59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6 KIA 31 206⅔
(1위)
15
(3위)
5 0 0 3.40
(3위)
211 7 51 6 139 1.27
(4위)
2017 30 201⅔
(1위)
20
(1위)
5 0 0 3.48 221 21 45 5 149 1.32
2018 29 174 11 10 0 0 4.60 209
(2위)
25 36 4 137 1.41
<colbgcolor=#ffff88> MLB 통산
(6시즌)
119 423 12 34 0 1 5.51 463 259 160 20 303 1.47
KBO 통산
(3시즌)
90 582⅓ 46 20 0 0 3.79 641 53 132 15 425 1.33
완투, 완봉기록
연도 완투 완봉
2016년 3완투
(1위)
1완봉
(1위)
2017년 1완투 0완봉
KBO 리그 통산
(2시즌)
4완투 1완봉

6. 관련 문서


[1] 마이너에서도 피홈런이 많았음을 감안하면 의외의 모습이다. 다만 비슷한 유형의 투수인 데이비드 허프 역시 피홈런이 미국 시절보다 대폭 준 것을 보면 그 이유가 투구이닝이 적어 생긴 행운 덕이라고만 보긴 어렵다. 오히려 코너를 찌르는 커맨드와 완성도 있는 체인지업을 끼고 들어오는 140중반-150초반 빠른 공을 홈런으로 만들기엔 KBO 타자들의 수준이 부족하다는 설명이 더 그럴싸하다.[2] 아킬리노 로페즈 본인 또한 래리 서튼의 추천으로 온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