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0 곽도규 · 4 유지성 · 10 유승철 · 11 조상우 13 윤영철 · 17 임기영 · 19 윤중현 · 20 이준영 21 김사윤 · 24 김승현 · 28 김민재 · 31 박준표 32 김현수 · 33 이형범 · 36 강이준 · 39 최지민 40 네일 · 41 황동하 · 43 김건국 · 45 김민주 46 장민기 · 48 이의리 · 51 전상현 · 53 김기훈 54 양현종 · 60 김도현 · 62 정해영 · 63 이송찬 65 장재혁 · 67 조대현 · 69 김대유 · 03 박건우 014 이승재 · 015 이도현 · 021 홍원빈 · 022 오규석 033 김태윤 · 034 강동훈 · 035 최지웅 · 039 성영탁 # 김태형 · # 이호민 · # 양수호 · # 김정엽 # 최건희 · # 나연우 · # 임다온 · # 이성원 # 올러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김승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2번 | ||||
윤대경 (2015) | → |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김승현 (2016) | → | 정병곤 (2023~)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0번 | |||||
윤대경 (2016) | → | 김승현 (2017~2019) | → | 봉민호 (2020)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8번 | |||||
문용익 (2021~2021.5.19.) | → | 김승현 (2021.7.7.~2021) | → | 이현준 (2024~)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8번 | |||||
김동엽 (2019~2021) | → | 김승현 (2022) | → | 김동엽 (2023~2024) | |
질롱 코리아 등번호 99번 | |||||
박주홍 (2019-20) | → | 김승현 (2022-23) | → | 팀 해체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24번 | |||||
김정빈 (2022.5.9.~2022) | → | 김승현 (2023~) | → | 현역 |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24 | |
김승현 金昇賢 | Kim Seung-Hyeon | |
출생 | 1992년 7월 9일 ([age(1992-07-09)]세) |
강원도 강릉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노암초[1] - 경포중 - 강릉고 - 건국대 |
신체 | 180cm, 115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6년 2차 1라운드 (전체 10번,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16~2022) KIA 타이거즈 (2023~) |
질롱 코리아 (2022/23) |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9년 12월 23일~2021년 7월 6일) |
연봉 | 2024년 / 4,1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완 정통파 투수.2. 선수 경력
자세한 내용은 김승현(1992)/선수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와일드씽 유형 투수로, 평균 150km/h, 최고 150km/h 중후반대에 달하는 매우 강한 직구를 던진다. 상무 시절에는 평균 구속이 150km/h 중반대이고 최고 구속은 158km/h까지 나오기도 했다. 또한 직구가 자연적으로 커터처럼 살짝 휘는 특성도 갖고 있다.# 그러나 공을 존 안에 집어넣지 못해 자멸하는 전형적인 제구 안 되는 강속구 유망주의 모습이다.4. 연도별 주요 성적
김승현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16 | 삼성 | 2 | 0 | 0 | 0 | 0 | 2 | 0.00 | 1 | 0 | 0 | 0 | 1 | 0.50 | - | 0.08 |
2017 | 41 | 0 | 3 | 0 | 0 | 43⅔ | 5.77 | 51 | 7 | 34 | 6 | 37 | 1.95 | 108.49 | 0.17 | |
2018 | 28 | 1 | 3 | 0 | 2 | 32⅓ | 4.45 | 48 | 3 | 15 | 5 | 29 | 1.95 | 79.18 | 0.37 | |
2019 | 14 | 1 | 1 | 0 | 0 | 12⅔ | 6.39 | 11 | 0 | 9 | 1 | 4 | 1.58 | 140.80 | -0.12 | |
2020 |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1 | ||||||||||||||||
2022 | 6 | 0 | 1 | 0 | 2 | 4 | 11.25 | 6 | 2 | 4 | 0 | 5 | 2.50 | 265.37 | -0.35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3 | KIA | 10 | 0 | 0 | 0 | 0 | 12⅔ | 4.26 | 11 | 1 | 10 | 1 | 7 | 1.66 | 105.49 | 0.19 |
2024 | 15 | 1 | 0 | 0 | 0 | 18 | 4.00 | 23 | 3 | 7 | 0 | 11 | 1.67 | 81.13 | 0.20 | |
KBO 통산 (7시즌) | 116 | 3 | 8 | 0 | 4 | 125⅓ | 5.17 | 151 | 16 | 79 | 13 | 94 | 1.84 | 103.24 | 0.54 |
5. 여담
- 대학 4년간 홈런을 하나도 맞지 않았는데, 졸업반이던 15년에 처음으로 홈런을 허용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선수는 2차 10번으로 마지막 순번에 삼성의 지명을 받아 입단한 최승민.
- 대학 입학 때 85kg이던 몸무게가 3학년 때 109kg까지 올랐다가 팔꿈치 수술 이후 115kg까지 올랐다. 프로 입단 후에는 햄버거나 탄산음료를 끊고 체중 조절을 했다. 2016년에는 95kg까지 뺐다가 2017년 들어서는 100kg 전후로 유지한다고.
- 2군으로 내려가 있던 2017년 8월 26일과 27일 경기가 방송 중계되는 와중에 경기 내내 큰 목소리로 파이팅을 불어넣으며 이틀 연속 중계진으로부터 주목받았다. 보통 덕아웃에서 야수가 응원을 주도하고 투수는 소극적인 경우가 많은데다, 27일 경기의 경우 8회까지는 팀이 뒤지고 있는 상황이었는데도 여전히 큰 목소리로 응원하면서 다른 선수들과 대비됐다. 또한 김승현은 8회말에 등판했는데, 9회 초에 팀이 역전한 후 9회 말에는 투수가 바뀌었는데도 등판 때 신었던 스파이크도 갈아신지 않고 여전히 응원에 매진하다 경기가 거의 종료되기 직전에서야 스파이크를 갈아신었다.
- KIA 입단 후에는 패전조로는 나름 쓸 만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KIA에 그 동안 없던 뚱뚱한 체형의 투수라서 투대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장태수 | 구영석(1) | 김운영(1) | 미지명 | 강대호(1) |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
이현택 | 고장량(1) | 박용준 | 김우현 | 윤용하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동봉철 | 박충식 | 김한수 | 김영진 | 박태순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
변대수 | 김수관 | 권오준 | 김주찬 | 김덕윤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조동찬 | 강명구 | 윤성환 | 오승환 | 차우찬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백정현 | 최원제 | 박민규 | 임진우 | 심창민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이현동 | 정현 | 안규현 | 장필준 | 김승현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최지광 | 양창섭 | 이학주 | 허윤동 | 이재희 | |
2022년 | |||||
김영웅 | 이호성 | 육선엽 | 배찬승 | ||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1164d> | 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 |
포수 |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 ||
내야수 |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 ||
외야수 |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 ||
투타겸업 | 16 장재영# | ||
''' 이병규 · 손정욱 윤진호 · 윤수강''' | |||
# 중도 귀국 선수 | }}}}}}}}} |
[1] 강릉초에서 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