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20:02:53

장재영(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b146>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5 시즌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ab146><colcolor=#000> 코칭스태프 '''71 김진형 · 73 김승준 · 74 박치왕 [[감독#s-1.1|
]] · 79 이대환 · 82 박준영 · 86 이정식 · 87 민창호 · 88 지재옥 · 89 강진구'''
투수 0 이기순SSG · 4 전미르롯데 · 6 김정운KT · 7 김재웅키움 · 8 이진하롯데 · 13 송명기NC · 14 이원재두산 · 18 한승주KT · 19 이태연롯데
· 24 진승현롯데 · 29 이용준NC · 30 김민재KIA · 33 신헌민SSG · 41 홍승원삼성 · 44 양경모한화 · 45 이종민키움 · 48 김영현두산 · 49 김동혁키움
· 50 김동주두산 · 51 강효종KIA · 60 김규연한화 · 99 정지헌LG
포수 1 신용석NC · 11 윤준호두산 · 26 김시앙키움
내야수 2 김두현KIA · 9 강성우롯데 · 12 김재상삼성 · 15 정대선롯데 · 16 김호진삼성 · 20 정은원한화 · 21 류현인KT · 22 이승원키움 · 25 한동희롯데 · 47 전의산SSG
외야수 3 박한결NC · 10 박찬혁키움 · 17 정현승SSG · 23 장재영키움 · 27 김현준삼성 · 52 이재원LG · 53 정준영KT · 57 류승민삼성
위첨자 - 해당 선수의 원소속 구단 }}}}}}}}}
파일:2025 장재영.jpg
<colbgcolor=#eab146><colcolor=#2c292a> 상무 피닉스 야구단 No. 23
장재영
張裁榮 | Jang Jaeyoung
출생 2002년 6월 20일 ([age(2002-06-20)]세)[1]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갈산초 - 신월중 - 덕수고
신체 188cm | 83kg | O형
포지션 투수외야수(중견수)[2]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1년 1차 지명 (키움)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1~)
질롱 코리아 (2022/23)
연봉 2025 / 4,6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5년 5월 12일~2026년 11월 11일)
등장곡 원필 - 〈행운을 빌어 줘〉 (2024~)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구단 자작곡[가사][4]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ab146><colcolor=#2c292a> 가족 아버지 장정석(1973년생), 어머니 유승아(1972년생)
누나 장재희(2001년생), 남동생 장재혁(2008년생)
MBTI ESFP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후원사 나이키
}}}}}}}}} ||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투우타 외야수.

투수로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받아 무려 9억원의 계약금을[5] 받고 입단해 수 년간 투수로 활약했으나, 잠재력을 끌어내지 못하고 팔꿈치 부상으로 2024 시즌에 타자로 전향하였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장재영(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군 복무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svg
2019년 (U-18)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재영(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재영(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재영(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군 입대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70514><colcolor=#fff> 투수 김재웅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이명종 · 김준형 · 김동욱 · 주승빈 · 김동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이종민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박범준
포수 김시앙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내야수 이승원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외야수 박찬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장재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 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강윤구 임병욱 최원태 주효상 이정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안우진 박주성 박주홍 장재영 주승우
1차 지명 폐지
(1)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포수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내야수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외야수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투타겸업 16 장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병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강'''
# 중도 귀국 선수 }}}}}}}}}
장재영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svg
{{{#FFFFFF 2020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s-4|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강태경
(배명고등학교)
장재영
(덕수고등학교)
권우재
(마산고등학교)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59번
신효승
(2019~2020)
<colbgcolor=#B07F4A><colcolor=#FFFFFF> 장재영
(2021~2022. 4. 4.)
주효상
(2022. 10. 7.~2022)
질롱 코리아 등번호 16번
김주형
(2019-20)
장재영
(2022-23)
팀 해체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61번
양기현
(2022~2022. 4. 4.)
장재영
(2022. 4. 5.~2025)
결번
}}} ||
[1] 음력으로 5월 10일 네이버 프로필에도 2021년 3월 30일 본인 참여로 출생일이 음력 5월 10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양력 5월 10일을 생일로 생각하는 것 같다. 2021년 5월 9일에 인스타로 생일 카운트다운을 하고 5월 10일에 생일 케이크를 들고 찍은 스토리가 올라왔기 때문이다.[2] 투수 시절 구속은 상당했지만, 제구와 관련된 문제로 타자로 전향했다. 원래는 내야수를 원했으나 결국 외야수를 선택한다.[가사] 오 히어로 장재영 오 히어로 장재영 오 승리를 위하여 날아올라라 히어로 장~재영 히어로 장~ 재영 히어로는 바로 너! 장재영~ (장재영!) (x2회 반복)[4] 박명수바다의 왕자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다.[5] 신인 계약금 역대 2위. 1위는 아직도 깨지지 않은 10억의 한기주이다.[6] 야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장정석 前 키움 히어로즈 감독의 별명 '바지'를 귀여운 애칭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은데, 사실은 바지사장, 즉 조롱의 의미가 담긴 별명이다. 물론 장정석이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조롱의 의미는 어느 정도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