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1:28:38

충주시장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제천 청주 충주 괴산
김창규 이범석 조길형 송인헌
단양 보은 영동 옥천
김문근 최재형 정영철 황규철
음성 증평 진천
조병옥 이재영 송기섭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충주시 CI.svg
충청북도 충주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2대
박승두
제3대
엄재형
제4대
지정환
제5대
남상득
제6대
유재성
제7대
이상태
제8대
박영순
제9대
김중한
제10대
한상욱
제11대
최태하
제12대
안영국
제13대
권기상
제14대
이상용
제15대
권순탁
제16대
김태수
제17대
홍순기
제18대
이승우
제19대
유정열
제20대
석영철
제21대
오병하
제22대
이시종
제23대
오병하
제24대
김중구
제25대
정원영
제26대
김광홍
제27대
이석의
제28-30대
이시종
제31-32대
한창희
제33대
김호복
제34대
우건도
제35대
이종배
제36-38대
조길형
파일:충주시 브랜드.svg }}}}}}}}}
<colcolor=#ffffff> 파일:충주시 CI_White.svg
'''충청북도 충주시장
忠淸北道 忠州市長
Mayor of Chungju City
'''
파일:36~38대 충주시장 조길형.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조길형 / 제36-38대 (민선 6-8기)
취임일 2014년 7월 1일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홈페이지 충주시청 열린시장실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충주시장충청북도 충주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으뜸로 21(금릉동 700번지)에 있는 충주시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명단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2.1. 관선 단체장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재임 기간 정부 비고
관선(임명직) 충청북도 충주군수
초대 안대윤 1948년 6월 8일 ~ 1949년 6월 13일 미군정
2대 장응두 1949년 6월 14일 ~ 1950년 3월 17일 이승만 정부
3대 이수원 1950년 3월 18일 ~ 1952년 11월 17일
4대 정희택 1952년 11월 18일 ~ 1953년 12월 30일
5대 김용은 1953년 12월 31일 ~ 1956년 3월 26일
6대 윤갑 1956년 3월 27일 ~ 1956년 10월 31일
관선(임명직) 충청북도 충주시장
초대 박승두 1956년 7월 8일 ~ 1956년 7월 11일 이승만 정부
2대 1956년 8월 8일 ~ 1960년 5월 23일
3대 엄재형 1960년 6월 2일 ~ 1960년 9월 22일 허정 내각
4대 지정환 1960년 10월 31일 ~ 1960년 12월 16일 장면 내각
5대 남상득 1960년 12월 27일 ~ 1961년 6월 8일
직무대리 임익재 1961년 6월 9일 ~ 1961년 8월 30일 국가재건최고회의
6대 유재성 1961년 8월 30일 ~ 1962년 7월 4일
직무대리 조정규 1962년 7월 4일 ~ 1962년 9월 12일
7대 이상태 1962년 9월 12일 ~ 1964년 4월 28일
8대 박영순 1964년 4월 28일 ~ 1966년 5월 23일 박정희 정부
9대 김증한 1966년 5월 23일 ~ 1968년 5월 30일
10대 한상욱 1968년 5월 30일 ~ 1971년 8월 21일
11대 최태하 1971년 8월 21일 ~ 1973년 8월 13일
12대 안영국 1973년 8월 13일 ~ 1976년 4월 22일
13대 권기상 1976년 4월 22일 ~ 1977년 2월 15일
14대 이상용 1977년 2월 15일 ~ 1978년 8월 1일
15대 권희탁 1978년 8월 2일 ~ 1980년 7월 31일
16대 김태수 1980년 8월 1일 ~ 1982년 7월 19일 최규하 정부
17대 홍순기 1982년 7월 20일 ~ 1985년 3월 10일 전두환 정부
18대 이승우 1985년 3월 11일 ~ 1986년 3월 7일
19대 유정열 1986년 3월 8일 ~ 1986년 12월 23일
20대 석영철 1986년 12월 24일 ~ 1988년 6월 10일
21대 오병하 1988년 6월 11일 ~ 1988년 12월 23일 노태우 정부
22대 이시종[1] 1989년 1월 1일 ~ 1990년 12월 31일
23대 오병하 1991년 1월 10일 ~ 1993년 3월 28일
24대 김중구 1993년 3월 29일 ~ 1993년 5월 22일 김영삼 정부
25대 정원영 1993년 5월 25일 ~ 1994년 1월 2일
26대 김광홍 1994년 1월 3일 ~ 1994년 10월 5일
27대 이석의[2] 1994년 10월 6일 ~ 1995년 4월 28일
<rowcolor=white> 관선(임명직) 충청북도 중원군수
<rowcolor=#fff> 대수 이름 재임 기간 정부 비고
초대 김상현 1957년 1월 1일 ~ 1958년 11월 23일 이승만 정부
2대 서기환 1958년 11월 24일 ~ 1960년 5월 28일
3대 라교도 1908년 5월 29일 ~ 1960년 12월 27일 허정 내각
4대 이중부 1960년 12월 28일 ~ 1961년 6월 30일 장면 내각
5대 홍성표 1961년 7월 21일 ~ 1961년 9월 8일 국가재건최고회의
6대 이준영 1961년 11월 23일 ~ 1964년 4월 28일
7대 이상태 1964년 4월 28일 ~ 1965년 6월 18일 박정희 정부
8대 김중한 1965년 6월 18일 ~ 1966년 5월 23일
9대 임혁재 1966년 5월 23일 ~ 1967년 10월 23일
10대 정범구 1967년 10월 24일 ~ 1968년 12월 4일
11대 이상용 1968년 12월 4일 ~ 1971년 8월 20일
12대 김종진 1971년 8월 21일 ~ 1973년 8월 12일
13대 김종웅 1973년 8월 13일 ~ 1974년 11월 23일
14대 김윤회 1974년 11월 23일 ~ 1976년 4월 22일
15대 김덕영 1976년 4월 23일 ~ 1978년 2월 27일
16대 홍순기 1978년 2월 28일 ~ 1980년 8월 18일
17대 남기정 1980년 8월 18일 ~ 1982년 9월 18일 박충훈 권한대행 체제
18대 이상범 1982년 9월 18일 ~ 1985년 3월 11일 전두환 정부
19대 김지동 1985년 3월 11일 ~ 1988년 6월 11일
20대 이기영 1988년 6월 11일 ~ 1989년 8월 31일 노태우 정부
21대 이석의 1989년 9월 1일 ~ 1991년 1월 13일
22대 조영창 1991년 1월 14일 ~ 1992년 7월 3일
23대 이선기 1992년 7월 4일 ~ 1994년 1월 2일
24대 이재충 1994년 1월 3일 ~ 1994년 5월 8일 김영삼 정부
25대 유병현 1994년 5월 9일 ~ 1994년 12월 31일

2.2. 민선 단체장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재임기간 당적[3] 비고 전직
충청북도 충주시장
28대 이시종 (李始鍾)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2대 충주시장
29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대 2002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7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
31대 한창희 (韓昌熙)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농어촌공사 상임감사
32대 2006년 7울 1일 ~ 2006년 9월 28일 [5]
33대 김호복 (金浩福) 2006년 10월 26일 ~ 2010년 6월 30일 대전지방국세청장
34대 우건도 (禹健都) 2010년 7월 1일 ~ 2011년 7월 28일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6] 충주시 부시장

[[권한대행|
권한대행
]]
김재갑 2011년 7월 29일 ~ 2011년 10월 26일 부시장
35대 이종배 (李鍾培)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3월 31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 행정안전부 제2차관

[[권한대행|
권한대행
]]
이우종 2014년 4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부시장
35대 조길형 (趙吉衡)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중앙경찰학교장
36대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대 2022년 7월 1일 ~ 현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 역대 선거 결과

3.1.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종배(李鍾培) 34,899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31% 당선
2 박상규(朴尙奎) 16,492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3.77% 낙선
8 김호복(金浩福) 8,999 4위


[[미래연합|
파일:미래연합 글자.svg
]]
12.82% 낙선
9 한창희(韓昌熙) 9,07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07% 낙선
선거인 수 165,016 득표율
42.19%
투표 수 69,624
무효표 수 262
미래연합과 당시 한나라당계 무소속이였던 한창희가 무려 25%를 잠식하고도 이종배 후보가 더블 스코어 차이로 이겼다. 이는 당시 민주당의 조직력이 약했다는 걸 보여주는 증거가 되었다.

여담으로 이 때 무소속이었던 한창희 후보는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을 거쳐서 2025년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고,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박상규 후보는 2025년 현재 무소속이다. 결과적으로 보자면 민주당 후보는 중도 정당으로, 보수계 무소속 후보는 민주당으로 간 것이다.

3.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길형(趙吉衡) 49,66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82% 당선
2 한창희(韓昌熙) 41,230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3.02% 낙선
4 최영일(崔榮一) 4,94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5% 낙선
선거인 수 169,145 투표율
57.88%
투표 수 97,905
무효표 수 2,071

3.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우건도(禹健都) 49,94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33% 낙선
2 조길형(趙吉衡) 51,282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0.66% 당선
선거인 수 175,414 투표율
59.06%
투표 수 103,605
무효표 수 2,381

3.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우건도(禹健都) 33,957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76% 낙선
2 조길형(趙吉衡) 50,830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8.02% 당선
4 강문성(康文成) 1,32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1% 낙선
5 최영일(崔榮一) 1,48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9% 낙선
선거인 수 181,044 투표율
49.56%
투표 수 89,734
무효표 수 2,134
보수세가 강한 충주시답게 현직 조길형 시장이 우건도 전 시장을 누르고 이변없이 여유롭게 3선에 성공했다.

3.5.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0

파일:zsdkl3gasdg.svg
00.00%
2 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4. 역대 시정 목표

<rowcolor=#fff> 기초자치단체장 시정 목표
이시종 (민선 1-3기) 일하는 공무원 움직이는 충주
21C 한반도의 중심도시
한창희 (민선 3-4기) 활기찬 도시 행복한 충주
김호복 (민선 4기) 활기찬 경제 역동하는 충주
우건도 (민선 5기) 잘 사는 시민 참 좋은 충주
이종배 (민선 5기) 새로운 희망 일등 충주
조길형 (민선 6-8기) 충주의 번영과 시민의 행복
더 가까이, 충주

5. 관련 문서


[1] 훗날 민선에서도 선출되어 3선을 역임했고, 충청북도지사에 선출되어 3선을 역임하게 되었다.[2] 1989년부터 1991년 1월까지 중원군수를 역임했던 인물로, 관선 마지막 충주시장을 역임했다가, 1996년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3] 선거 당시 당적.[4] 2004년 1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 열린우리당 입당.[5]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6]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7] 2014년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8] 조길형 충주시장의 지시로 만들어졌으며, 조길형 시장이 충주시 유튜브 채널의 명목상 주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