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3:44:22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파일:에픽세븐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영웅
파일:에픽 전사.png 파일:에픽 기사.png 파일:에픽 도적.png 파일:에픽 사수.png 파일:에픽 마도사.png 파일:에픽 정령사.png
전사 기사 도적 사수 마도사 정령사
아티팩트
파일:에픽 전사.png 파일:에픽 기사.png 파일:에픽 도적.png 파일:에픽 사수.png 파일:에픽 마도사.png 파일:에픽 정령사.png
전사 5성 기사 5성 도적 5성 사수 5성 마도사 5성 정령사 5성
공용 5성 전용 4성 공용 4성 3성 1~2성
스토리
메인스토리 서브스토리
월광 극장 평판 스토리 세계관 설정
게임 요소
시스템 이벤트 장비
재화 성역 업적
신수
전투
기사단 출정 시련의 전당 미궁
오토마톤 타워 토벌&제단 원정대
기타
평가 및 문제점 사건 사고 템플릿(영웅 | 아티팩트)
}}}}}}}}} ||

파일:에픽 전사.png
에픽세븐 전사 영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5 영웅
파일:epic7_라비_ptr.png파일:epic7_화란의_라비_ptr.png파일:epic7_라이아_ptr.png파일:epic7_레테_ptr.png파일:epic7_렘_ptr.png파일:epic7_루나_ptr.png파일:epic7_리무루_ptr.png파일:epic7_릴리벳_ptr.png
라비화란의 라비라이아레테루나리무루릴리벳
파일:epic7_디자이너_릴리벳_ptr.png파일:epic7_뮤이_ptr.png파일:epic7_베니마루_ptr.png파일:epic7_불사형 오공_ptr.png파일:epic7_샤르티아_ptr.png파일:epic7_세크레트_ptr.png파일:epic7_솔_ptr.png파일:epic7_슈_ptr.png
디자이너 릴리벳뮤이베니마루불사형 오공샤르티아세크레트
파일:epic7_도시의 그림자 슈_ptr.png파일:epic7_스트라제스_ptr.png파일:epic7_심판자_키세_ptr.png파일:epic7_아룬카_ptr.png파일:epic7_아비게일_ptr.png파일:epic7_알렌시아_ptr.png파일:epic7_어둠의_코르부스_ptr.png파일:epic7_어린_여왕_샬롯_ptr.png
도시의 그림자 슈스트라제스심판자 키세아룬카아비게일알렌시아어둠의 코르부스어린 여왕 샬롯
파일:epic7_에드워드_엘릭_ptr.png파일:epic7_유피네_ptr.png파일:epic7_바캉스_유피네_ptr.png파일:epic7_일편고월 벨로나_ptr.png파일:epic7_자하크_ptr.png파일:epic7_잭_오_ptr.png파일:epic7_조율자_카웨릭_ptr.png파일:epic7_지배자_릴리아스_ptr.png
에드워드 엘릭유피네바캉스 유피네일편고월 벨로나자하크잭 오조율자 카웨릭지배자 릴리아스
파일:epic7_체르미아_ptr.png파일:epic7_사자왕_체르미아_ptr.png파일:epic7_케인_ptr.png파일:epic7_켄_ptr.png파일:epic7_무투가_켄_ptr.png파일:epic7_클로에_ptr.png파일:epic7_태유_ptr.png파일:epic7_화영_ptr.png
체르미아사자왕 체르미아케인무투가 켄클로에태유화영
파일:epic7_고독한 늑대 페이라_ptr.png파일:epic7_방관자 화영_ptr.png
고독한 늑대 페이라방관자 화영
★4 영웅
파일:epic7_대족장_카와나_ptr.png파일:epic7_딩고_ptr.png파일:epic7_배드캣_아밍_ptr.png파일:epic7_여일의_디에리아_ptr.png파일:epic7_카르투하_ptr.png파일:epic7_암살자_카르투하_ptr.png파일:epic7_카와주_ptr.png파일:epic7_광염의_카와주_ptr.png
대족장 카와나딩고배드캣 아밍여일의 디에리아카르투하암살자 카르투하카와주광염의 카와주
파일:epic7_코르부스_ptr.png파일:epic7_클라릿사_ptr.png파일:epic7_고양이_클라릿사_ptr.png파일:epic7_퍼지스_ptr.png파일:epic7_대장_퍼지스_ptr.png
코르부스클라릿사고양이 클라릿사퍼지스대장 퍼지스
★3 영웅
파일:epic7_군터_ptr.png파일:epic7_디에리아_ptr.png파일:epic7_레나_ptr.png파일:epic7_로리나_ptr.png파일:epic7_리코리스_ptr.png파일:epic7_멜라니_ptr.png파일:epic7_무카차_ptr.png파일:epic7_바터스_ptr.png
군터디에리아레나로리나리코리스멜라니무카차바터스
파일:epic7_아미키_ptr.png파일:epic7_아젤리아_ptr.png파일:epic7_에노트_ptr.png파일:epic7_에인즈_ptr.png파일:epic7_일리오스교_도끼병_ptr.png파일:epic7_자누타_ptr.png파일:epic7_쥬니_ptr.png파일:epic7_카밀라_ptr.png
아미키아젤리아에노트에인즈일리오스교 도끼병자누타쥬니카밀라
파일:epic7_타라노르_근위부대원_ptr.png파일:epic7_탈라즈_ptr.png파일:epic7_페닐라_ptr.png파일:epic7_헬가_ptr.png
타라노르 근위부대원탈라즈페닐라헬가
전직 영웅
파일:epic7_선봉대장_리코리스_ptr.png파일:epic7_자유로운_용병_헬가_ptr.png파일:epic7_전승의 아미키_ptr.webp파일:epic7_지휘관_로리나_ptr.png파일:epic7_카오스교_도끼_대장군_ptr.png
선봉대장 리코리스자유로운 용병 헬가전승의 아미키지휘관 로리나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 ||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Chaos Sect Axe
カオス教団重斧総長
混沌教巨斧大將軍/混沌教巨斧大将军
파일:에픽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고화질.png
영웅 소개

카오스의 부름을 받고 성전을 시작한 도끼 대장군

속성 파일:에픽 어둠속성.png
암속성
직업 파일:에픽 전사.png
전사
별자리 파일:에픽 사자궁.png
사자궁
파일:에픽 지휘.png
지휘
25 파일:에픽 매력.png
매력
7 파일:에픽 정치.png
정치
14
정보
태생 등급 ☆3 본명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소속 카오스 교단 설정분류 [전직]
카오스 교단
C.V. 오인성(한)/사쿠라이 토오루(일)/Elijah Nelson(영)
출시 형식 전직 출시일 2018/12/20
각인해방 파일:각인해방-전체.png 각인집중 파일:각인집중.png
생명력 증가 공격력 증가
각인 공유 영웅
- 파일:에픽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포트레이트.png 파일:에픽 일리오스교 도끼병 포트레이트.png -
-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일리오스교 도끼병 -
성약 전직 월광 이벤트
특기
어떤 교리
처절한 고통 끝에서 그들이 선택한 것은 이단의 교리였습니다.
적용 유형 임무속성 [불가능한 임무] 특기 효과 보상 보너스 +10%
프로필
마신 전쟁 후, 교단이 몰락하면서 일리오스교 도끼병은 힘든 방황의 시기를 겪는다. 하지만 우연히 카오스 신의 목소리를 듣게 되는 신비한 체험을 하고 나서, 신흥 종교 카오스교를 만들고 자신의 도끼 아래 세상을 정복할 계획을 세운다.
영웅 관계도
기본
클라릿사 파일:에픽 관계도 적대.png 카오스 교단과 가장 먼저 대립한 푸른 성십자회의 난폭한 전투수녀.
코르부스 파일:에픽 관계도 적대.png 파르스 반경과 그 주위까지 교세를 확장 하려면, 저 정신나간 과격한 전도사와 충돌은 불가피하다.
라스 파일:에픽 관계도 적대.png 성약의 계승자 라스는, 카오스교가 세계를 정복하기 위해 반드시 제거 해야하는 존재.
안젤리카 파일:에픽 관계도 적대.png 카오스교의 세계 정복을 방해하는 푸른 성십자회는 반드시 제거할 것이다.
능력치
<colbgcolor=#c3e1e6,#19373c> 레벨 Lv.13성0각성 Lv.505성5각성 Lv.60 6성6각성
전투력 1379 14513 18308
공격력 74 878 1144
생명력 237 3899 4895
속도 101
방어력 60 438 543
치명확률 15.0% 23.0%
치명피해 150.0%
협공확률 3.0%
효과적중 0%
효과저항 0%

1. 개요2. 전직
2.1. 전직 퀘스트2.2. 룬 효과
3. 스킬
3.1. 갈라내기3.2. 연쇄 공격3.3. 혈기의 일격
4. 게임 내 성능
4.1. 시너지 영웅4.2. 카운터 영웅
5. 추천 아티팩트6. 상하향 내역7. 기타

[clearfix]

1. 개요

카오스가 다스리는 세상이 올 것이다!
모바일 게임 에픽세븐의 3성 전사 영웅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 작중 행적 #==

===# 대사 #===
일반
전투 준비

패배

획득

레벨 업

승리

전투
연쇄 공격 시전시

혈기의 일격 시전시

협공 요청

협공 반응

2. 전직

2.1. 전직 퀘스트

2.2. 룬 효과

3. 스킬

3.1. 갈라내기

파일:에픽 전직 갈라내기.png 쿨타임 - 소울 획득 1 소울번 X
스킬 설명 도끼로 적을 공격하여 75% 확률로 1턴간 도발을 발생시킵니다.
자신의 최대 생명력에 비례해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계수 공격력*0.8075(1.090125) + 생명력*0.038(0.0513)
스킬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피해량 10% 증가
+4 피해량 15% 증가
룬 효과 1 갈라내기로 광속성 대상 공격 시 도발의 효과 발생 확률이 25% 증가합니다.

3.2. 연쇄 공격

파일:에픽 전직 연쇄 공격.png 쿨타임 3턴 소울 획득 2 소울번 O
스킬 설명 충격파를 발생시켜 적 전체를 공격한 후,
자신에게 1턴 간 면역을 발생시킵니다.
각성 후 충격파를 발생시켜 적 전체를 공격한 후,
자신에게 1턴 간 면역을 발생시킵니다.
자신의 최대 생명력에 비례해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계수 공격력*0.7125(0.961875) + 생명력*0.0475(0.064125)
스킬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피해량 10% 증가
+4 피해량 15% 증가
소울번 해당 스킬 쿨타임이 2턴 감소합니다. 소울 소모 10
룬 효과 1 연쇄 공격 사용 후 50% 확률로 자신의 면역 효과를 1턴 연장시킵니다.
룬 효과 2 연쇄 공격 사용 시 대상에게 상처를 발생시킵니다.
상처는 피해량에 비례해 증가하며 스킬 1회당대상 최대 생명력의 10%까지 적용됩니다.

3.3. 혈기의 일격

파일:에픽 혈기의 일격 움짤.gif
파일:에픽 혈기의 일격.png 쿨타임 3턴 소울 획득 1 소울번 X
스킬 설명 대상을 후려쳐 공격하고,
80%(100%) 확률로 2턴 간 방어력 감소를 발생시킨 후 자신의 최대 생명력의 20%를 회복합니다.
자신의 최대 생명력에 비례해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계수 공격력*1.08(1.512) + 생명력*0.09(0.126)
스킬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피해량 5% 증가
+4 효과 발생 확률 10% 증가
+5 효과 발생 확률 10% 증가
+6 피해량 10% 증가
+7 피해량 15% 증가
룬 효과 1 혈기의 일격으로 광속성 대상 공격 시 방어력을 40% 관통합니다.

4. 게임 내 성능

설계만 보자면 대 광속성 결전병기. 딜로 암속을 썰어버리는 월샬과 다르게 유틸로 광속을 압박한다.
광속 상대로 달린 유틸만 보자면 팀전체 피격시 15퍼로 광역 반격을 통한 도발+상처+면역, 피격시 효적버프+대퍼효과, 3스킬의 방관이라는 다재다능한 스킬셋을 가지고있다. 하지만 광속이 아닌 상대라면 2스를 통한 상처누적 외에 무능하며 3성이라는 스탯한계와 템세팅의 부담[1]탓에 조커픽의 수준을 못벗어 나는 중이다.

사전에 탈3성급이던 도끼병이 하향된 이유는 로리나처럼 전직시 오버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로 추측되었으며, 특히 변경대상인 3스킬의 성능이 무지막지했기 때문. 그러나 전직 스킬의 추가효과가 하향 전 상대의 잃은 생명력 비례 계수 대신 뜬금없이 자신의 최대 생명력 비례로 바뀌었으며, 자신 회복 효과가 추가되었다.
유사한 위치던 로리나(암속성 사자궁 전사)와 차별화하기 위함으로 보이지만 사자궁 별자리 특성상 높은 공격력 + 낮은 생명력을 가진 도끼병에게 생명력 관련 패치는 딱히 평가가 좋지 않다. 룬 강화에 생명력이 무려 20% 증가가 붙었지만 그래봤자 디에리아 수준밖에 안돼 딜탱으로 쓰기도 좋지 않다.
기존 컨셉과 맞지 않는 스킬 패치로 인해 1스킬은 출혈, 2스킬은 상대 잃피증, 3스킬은 자신 생명력 영향이 되었다. 전직 추가 및 하향 전의 정체성을 상실한 댓가로 다방면에서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긴 한다. 무조건 주력으로 삼기엔 애매하지만, 각 컨텐츠에 맞는 고성능 영웅, 특히 루나와 같은 방깎딜러가 없다면 키워볼만하다.

2021년 5월 13일, 컨셉이 불확실했던 기존 효과를 완전히 바꿔(리메이크) 전직 전부터 모든 스킬의 위력이 자신의 최대 생명력 비례 피해량이 증가하고, 딜탱에 맞게 효과가 변경되기로 했다. 하지만 사전 안내글에 적혀있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효과와 조건이 까다롭고 과도하게 많은 능력치를 필요로 하여 활용하기 쉽지 않은 영웅이라며 리메이크 이유를 적어놨음에도, 패치 후 이런 요소는 오히려 달라지지 않고 오히려 더욱 더 심해졌다.

가장 큰 문제는 3스킬의 계수 변경(사전 안내와 패치노트엔 전혀 언급이 없다)인데, 공격력 계수는 1/3이 감소하고 생명력 계수는 기존 룬효과만큼 기본 수치에 합산되었다. 대신 광속성 대상 방관 40%라는 효과가 추가되었으나, 이것만으로는 광속성을 저지할만한 효과는 전혀 볼 수 없다. 암속 한정 1.8 공격력 + 50% 방관이라는 파격적인 수치가 붙은 어린 여왕 샬롯의 경우에도 광역피해가 추가되기 전까지는 웃음벨 취급 받았다. 그래도 어린 여왕 샬롯은 예나 지금이나 다른 속성 대상으로도 강력한 한방을 보여줄 수 있음에 비해 도끼 대장군은 아예 광속성이 대상이 아니면 큰 피해를 기대할 수 없는 수준으로 바꿔버렸다. 사실 광속성조차도 비슷한 스펙의 어린 여왕 샬롯과 위력 차이가 없다. 아무리 광속성 방관 40% 수치가 추가되었다고는 하나, 이정도의 위력 변경이 티어권 캐릭터 혹은 5성 캐릭터에게 있었으면 상당한 논란이 되었을 것이다. 1스킬과 2스킬은 큰 의미없던 대상의 잃은 생명력 비례가 자신의 생명력 비례로 변경되어 기존보다 위력이 올라갔지만, 1스킬의 출혈 유발이 삭제되어 위력이 감소된 부분도 존재한다.

또, 2스킬의 경우 기존 룬효과인 50% 확률로 1턴간 공격력 감소 발생 효과를 상처 발생으로 변경했는데, 상처 효과가 추가된 모르트 출시 이후부터 쭉 상처 자체가 실레나에서 대놓고 드러눕는 조합을 하지 않는 이상 효율이 0에 가깝다는게 문제.
또 자신이 피격시 30% 확률로 1턴간 공격력 증가 버프를 얻던 효과가 피격 후 공격력이 6% 증가하는 효과(최대 5중첩, 30%)로 변경되었는데 최대 5번 피격이라는 것부터가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이다. 그 외 광속성 대상으로 발생하는 효과(1스킬의 도발 확률 25% 증가, 광속성 대상에게 피격 후 아군 전체 행게 10% 증가)까지 포함하면 변경된 수치 이상으로 까다로운 조건의 효과가 붙어버렸다.

물론, 실레나에서 장기전으로 이어진다면 소울번 2스킬을 연사하여 상대의 유지력을 대폭 감소시켜줄 수 있겠지만 생존에 도움되는 패시브 효과따위 전무하기 때문에 3스킬의 회복만 믿고 장기전으로 끌고가기도 힘들다. 리메이크 후 전 스킬에 생명력 비례 계수가 추가되었으나 계수가 대폭 감소한 3스킬조차도 공격력 계수 비율이 훨씬 높기 때문에 생존력을 챙길수록 위력이 약해져 한계가 크다. 그렇다면 결국 일반적인 세팅을 넘어선 스텟치가 요구된다. 리메이크의 목적을 전혀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리메이크 전에는 평범한 딜러 캐릭터가 무리하여 딜탱으로 변경되어 문제였다면, 리메이크 후에는 단순 수치 조정으로도 충분히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래도 추가 상향이 이루어진다면 고성능의 딜탱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후 한번더 버프되어 공계수를 깎고 생계수가 증가, 기억각인이 치확으로 변경됐으며 쓸모없던 피격시 공증이 광속에게 피격시 엘브리스의 보검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반격으로 변경되어 벨리안을 필두로한 광역형 광속 상대로는 충분히 뽑을만 해졌으나 여전히 빛딘, 월샬같은 광속캐에겐 체급이 못비비다보니 확실한 광속 카운터가 못되는건 여전하다.

4.1. 시너지 영웅

4.2. 카운터 영웅

5. 추천 아티팩트

6. 상하향 내역

7. 기타



[1] 생퍼달린 치관+@라는 마이너한 템을 도끼병 하나를 위해 파밍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