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17:03:35

커먼스먼트 베이급 호위항공모함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아이스크림 바지선(BRL)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항공모함의 목록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2px"
정규항공모함
CV-1
랭글리
CV-2
렉싱턴
CV-3
새러토가
CV-4
레인저
CV-5
요크타운
CV-6
엔터프라이즈
CV-7
와스프
CV-8
호넷
CV-9
에식스
CV-10
요크타운
CV-11
인트레피드
CV-12
호넷
CV-13
프랭클린
CV-14
타이콘데로가
CV-15
랜돌프
CV-16
렉싱턴
CV-17
벙커힐
CV-18
와스프
CV-19
핸콕
CV-20
베닝턴
CV-21
복서
CVL-22
인디펜던스
CVL-23
프린스턴
CVL-24
벨로 우드
CVL-25
카우펜스
CVL-26
몬테레이
CVL-27
랭글리
CVL-28
카봇
CVL-29
바탄
CVL-30
샌 재신토
CV-31
본험 리처드
CV-32
레이테
CV-33
키어사지
CV-34
오리스카니
CV-35
리프라이절
CV-36
앤티텀
CV-37
프린스턴
CV-38
샹그릴라
CV-39
레이크 쳄벨린
CV-40
타라와
CV-41
미드웨이
CV-42
프랭클린 D. 루즈벨트
CV-43
코럴 시
CV-44
아메리카
CV-45
벨리 포지
CV-46
이오지마
CV-47
필리핀 씨
CVL-48
사이판
CVL-49
라이트
CV-50 CV-51 CV-52
CV-53 CV-54 CV-55 CV-56
CV-57 CVA-58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CV-59
포레스탈
CV-60
새러토가
CV-61
레인저
CV-62
인디펜던스
CV-63
키티호크
CV-64
컨스텔레이션
CVN-65
엔터프라이즈
CV-66
아메리카
CV-67
존 F. 케네디
CVN-68
니미츠
CVN-69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CVN-70
칼 빈슨
CVN-71
시어도어 루스벨트
CVN-72
에이브러햄 링컨
CVN-73
조지 워싱턴
CVN-74
존 C. 스테니스
CVN-75
해리 S. 트루먼
CVN-76
로널드 레이건
CVN-77
조지 H. W. 부시
CVN-78
제럴드 R. 포드
CVN-79
존 F. 케네디
진수
CVN-80
엔터프라이즈
건조중
CVN-81
도리스 밀러
건조예정
CVN-82
윌리엄 J. 클린턴
건조예정
CVN-83
조지 W. 부시
건조예정
CVN-84
건조예정
CVN-85
건조예정
호위항공모함
CVE-1
롱 아일랜드
CVE-2
아처
CVE-3
어벤저
CVE-4
바이터
CVE-5
대셔
CVE-6
알타마하
CVE-7
바니스
CVE-8
블록 아일랜드
CVE-9
보그
CVE-10
브르타뉴어

CVE-11
카드
CVE-12
커파히
CVE-13
코어
CVE-14
크로애이턴
CVE-15
해밀린
CVE-16
나사우
CVE-17
세인트 조지
CVE-18
알타마하
CVE-19
프린스 윌리엄
CVE-20
바니스
CVE-21
블록 아일랜드
CVE-22
서처
CVE-23
브레턴
CVE-24
래배이저
CVE-25
크로애이턴
BACV-6
모르맥 메일
CVE-26
생가몬
CVE-27
스와니
CVE-28
체난고
CVE-29
산티
CVE-30
차져
CVE-31
프린스 윌리엄
CVE-32
채텀
CVE-33
글레이셔
CVE-34
파이버스
CVE-35
배핀스
CVE-36
볼리나스
CVE-37
바스티안
CVE-38
카네기
CVE-39
코르도바
CVE-40
델가다
CVE-41
에디스토
CVE-42
에스테로
CVE-43
자메이카
CVE-44
키위노
CVE-45
프린스
CVE-46
나이앤틱
CVE-47
페르디노
CVE-48
선세드
CVE-49
세인트 앤드류스
CVE-50
세인트 조셉
CVE-51
세인트 사이먼
CVE-52
버밀리언
CVE-53
윌라파
CVE-54
윈자
CVE-55
카사블랑카
CVE-56
리스컴 베이
CVE-57
안치오
CVE-58
코레히도르
CVE-59
미시온 베이
CVE-60
과달카날
CVE-61
마닐라 베이
CVE-62
나토마 베이
CVE-63
세인트 로
CVE-64
트리폴리
CVE-65
웨이크 아일랜드
CVE-66
화이트 플레인스
CVE-67
솔로몬
CVE-68
칼리닌 베이
CVE-69
카잔 베이
CVE-70
팬샤우 베이
CVE-71
킷쿤 베이
CVE-72
툴라기
CVE-73
갬비어 베이
CVE-74
네헨타 베이
CVE-75
호거트 베이
CVE-76
카다샨 베이
CVE-77
마커스 아일랜드
CVE-78
사보 아일랜드
CVE-79
오매니 베이
CVE-80
페트로프 베이
CVE-81
러디어드 베이
CVE-82
사지노 베이
CVE-83
사전트 베이
CVE-84
섐록 베이
CVE-85
쉬플레이 베이
CVE-86
시트코 베이
CVE-87
스티머 베이
CVE-88
케이프 에스퍼런스
CVE-89
타카니스 베이
CVE-90
테티스 베이
CVE-91
마카사르 스트릭스
CVE-92
윈덤 베이
CVE-93
마킨아일랜드
CVE-94
룬가포인트
CVE-95
비스마르크 시
CVE-96
살라마우아
CVE-97
홀란디아
CVE-98
콰잘레인
CVE-99
애드미럴티 폴리시
CVE-100
부겐빌
CVE-101
마타니카우
CVE-102
애투
CVE-103
로이
CVE-104
문다
CVE-105
커먼스먼트 베이
CVE-106
블록아일랜드
CVE-107
길버트 폴리시
CVE-108
쿨라 베이
CVE-109
케이프 글로스터
CVE-110
살레르노 베이
CVE-111
벨라 베이
CVE-112
시보니
CVE-113
퓨젯 사운드
CVE-114
렌도바
CVE-115
바이로코
CVE-116
바도엥 스트릭스
CVE-117
사이도르
CVE-118
시칠리아
CVE-119
포인트 크루즈
CVE-120
민도로
CVE-121
라바울
CVE-122
팔라우
CVE-123
타이니안
CVE-124
바스토뉴
CVE-125
에니웨톡
CVE-126
링가옌
CVE-127
오키나와
CVE-128 CVE-129 CVE-130 CVE-131
CVE-132 CVE-133 CVE-134 CVE-135
CVE-136 CVE-137 CVE-138 CVE-139
파일:미국 국기.svg 미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잠 | 함대공 미사일
}}}}}}}}}


파일:external/6a9f20a272a01a72bab14f4c345009589e96a67e7f0d3993679082a5b25f905c.jpg

T3급 유조선의 선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호위항공모함으로, 생가몬급과 달리 처음부터 호위항공모함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는 카사블랑카급과 통하는 점이 있다. 맨 마지막에 나온 호위항공모함답게, 미국 호위항공모함 중 단연 최강으로 속력이 좀 느린 것을 제외하면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수준의 체급과 성능을 가지고 있다. 생가몬급 호위항공모함과 마찬가지로 유조선을 기반으로 만들었는데, 내부에 대형 연료탱크가 있어서 급유함 역할도 병행 할 수 있다. 1번함 커먼스먼트 베이가 1944년 5월 9일에 취역했을을 생각해보면 여러므로 미국에게 원거리 항해를 해야 할 경우가 많으니 커먼스먼트 베이급의 양산은 적절했다.

전장 170m, 전폭 23m[1], 기준배수량 11,100톤, 만재배수량 24,500톤, 함재기 탑재수 34기, 증기 캐터펄트 2대, 그리고 엘리베이터 2기까지 갖추고 있지만 어쨌든 호위항공모함이다. 정규항공모함 같은데? 다만 속력은 19노트로 호위항공모함답게 확실히 느리다. 미 해군은 이 배를 35척 건조하려고 했지만, 일본군이 재빨리 항복하는 바람에 9척밖에 실전에 참가하지 못했고 16척의 주문이 취소되었다. 헐 넘버는 CVE-105에서 CVE-139까지지만 CVE-123 타이니안(Tinian)까지 취역했으며 CVE-124~127까지는 이름만 붙였으며 그 이후번호는 함명도 정해지지 않은 채로 취소되었다.

한국 전쟁인디펜던스급에식스급과 함께 참전했다. 전후 제트기의 시대가 되면서 헬리콥터 모함이나 대잠함으로 잠시 운용되다가 1957년까지 모든 함선이 퇴역, 예비함으로 보관되었으나 70년대에 들어서서 모두 폐선되었다.

자체무장은 호휘항공모함 답게 주로 기관포 위주로 보포스 40mm 포 36문에 20mm 오리콘 기관포 20문으로 무장한 반면 5인치 양용포는 2문밖에 없다.

더티 해리 2편 매그넘 포스 최후반부 전투 무대로 3척이 등장한다. 스크랩 업자에 팔려 스크랩 대기 중이던 것.
[1] 비행갑판기준으로는 32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