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08:57:26

우스터급 경순양함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atlanticfleetsales.smugmug.com/cl%20144%2011%2024%2054%20pb-L.jpg
Worcester-class light cruiser

1. 개요2. 제원3. 동형함 목록4. 개발5. 특징
5.1. 화력5.2. 방어력5.3. 속력
6. 시대의 변화7. 외부 링크8. 매체에서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중 계획되었으나 종전후에 완성된 미국 해군 최후의 경순양함.
디모인급 중순양함과 함께 함포 무장이 주가 된 순양함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2. 제원

이전급 파고급
표준배수량 14,936t
만재배수량 18,286t
전장 207.11m
전폭 21.3m
흘수 7.6m
최고 속력 33kn (약 61.1km/h)
승조원 1,560명
캐터펄트 2기
추진 장치 보일러 620PSI급 웨스팅하우스제 4기
증기 터빈 4기
프로펠러 4축
레이더 대함 AN/SPS-10
대공 AN/SPS-6
항법 AN/URN-3
고고도 탐지 AN/SPS-8A
무장 주포 2연장 6인치 47구경장 함포 6문
부포 2연장 3인치 50구경장 대공포 11문
단열 3인치 50구경장 대공포 2문
장갑 측면 76 ~ 127mm
갑판 최대 89mm
포탑 51 ~ 165mm
포좌 127mm
사령탑 114mm

3. 동형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퇴역 비고
CL-144 우스터
(Worcester)
1945년 1월 29일 1947년 2월 4일 1948년 6월 26일 1958년 12월 19일 1972년 7월 5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CL-145 로어노크
(Roanoke)
1945년 5월 15일 1947년 6월 16일 1949년 4월 4일 1958년 10월 31일 1972년 2월 22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CL-146 바예호
(Vallejo)
1945년 7월 16일 1945년 12월 8일 공사 취소 후 스크랩
CL-147 게리
(Gary)
1945년 8월 12일 기공 전 취소

4. 개발

전간기에 벌어진 일본 제국과 미국의 순양함 경쟁은 볼티모어급 중순양함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의 건조로 인해 미국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이들은 일본군의 동급 함선보다 우월한 무장과 강력한 장갑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공능력도 탁월했으므로 전쟁의 승리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들 신형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을 기존 순양함들과 같이 전투에 투입해본 결과, 중순양함의 경우에는 주포의 발사속도가 느려서 타사파롱가 해전처럼 의외로 야간에 돌진하는 구축함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해서 원거리에서 선제포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소어뢰공격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경순양함은 주포의 속사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했지만 그래도 구축함을 확실하게 제압하기에는 화력과 장갑 등이 부족하다는 전훈이 도출되었다.[1]

물론, 구축함같이 급수가 작은 함선을 상대하기 위해서 5인치 양용포를 많이 배치해놓았으나, 소형 어뢰정과는 달리 일본군의 대형구축함은 5인치 포탄을 몇 발 맞는 정도로는 쉽게 무력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양패구상[2]을 당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존했다. 원래 5인치 양용포는 38구경장이라는 중(中)포신을 가지고 있어서 대수상용으로는 50구경장 이상의 장(長)포신을 가진 동급 함포에 비해 화력이 열세하며, 그걸 빠른 재장전장치와 우월한 사격통제장치, 레이더로 메꾸는 상황이었으므로 대수상분야에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런 전훈을 바탕으로 해서 기존의 조약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런던 해군 군축조약이 붕괴된 것까지 감안하여 조약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성능상 최강을 추구하는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이 만들어졌는데, 그 결과가 중순양함을 속사화시킨 디모인급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을 대형화시킨 우스터급 경순양함이었다.

5. 특징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방공경순양함인 애틀랜타급 경순양함과 기존의 포격전 중심 경순양함인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이라는 경순양함 내부의 2가지 갈래를 하나로 합치는 목적도 부여받았으므로 기존의 경순양함보다 특징이 많다.

5.1. 화력

주포는 6인치 47구경장 Mk.16 양용포로, 상당히 기묘하게 생긴[3] 2연장 주포탑 6기로 총 12문을 보유하였다. 자동장전장치를 채택하여 연사력이 분당 8~10발에서 12발로 늘어났고, 포각이 확대됨과 동시에 포각과 무관하게 장전이 가능해지면서 양용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기존 5인치 양용포와 달리 대공능력 강화를 위해 대수상 능력을 희생시키지 않았다. 더 빨라진 연사 속도에 대수상 전투력이 유지된다는 특성 덕분에 대공 전투력, 대수상 전투력 모두 우수해졌다. 물론 2연장 주포탑 6기를 설치하는 데에 공간과 배수량을 할당해야 했지만 반대급부로 부포탑이 사라져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며, 부포탑을 없애면서 사격통제를 일원화할 수 있었다.

대공포로는 분당 연사력 60~70발의 3인치 50구경장 Mk.33/34 대공포를 장착했다. 하지만 초도함인 우스터가 취역하는 시점에서는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아서 대부분의 대공포 장착위치를 비워놓고 20mm 기관포 6기만 장착했으며, 1949년 초가 되어서야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에서 20mm 기관포를 제거하고 간신히 3인치 대공포를 장착하였다. 3인치 대공포는 카미카제의 전훈을 살려서 보포스 40mm 기관포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4], 함선의 중거리 방공망을 담당했다. 우스터급 경순양함에는 2연장 방식의 Mk.33과 단장 방식의 Mk.34가 혼용되었는데, Mk.33은 좌현과 우현에 각각 5기, 함수에 1기를 장착했고, Mk.34는 함미 벌지 상부 양현에 각각 1기씩 장착하여 총 24문을 탑재했다. 그리고 근거리 방공용으로 20mm 70구경장 단장 기관포 12기를 장착했다.

그리고 이들 화력을 적함 혹은 적 항공기에 정확하게 투사하기 위하여, 주포를 관제하기 위한 Mk.13 사격관제레이더와 Mk.54 사격통제장치, 3인치 대공포를 관제하기 위한 Mk.35 사격관제레이더와 Mk.56 사격통제장치를 설치했다. 사격관제레이더는 각 포탑마다 1기씩 총 19기가 존재했다. 화포마다 별도의 사격통제장치 또한 설치했다. 적함과 적 항공기를 탐지하기 위해 메인 마스트에 SR2, SG6 수색레이더를 탑재하고, 후방 마스트에도 SR6 수색레이더를 설치하였다

5.2. 방어력

설계 단계부터 애틀란타급 경순양함보다는 8,000여톤,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보다는 4,000여톤이나 배수량이 증대되었기 때문에 볼티모어급 중순양함과 비슷한 배수량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렇게 배수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이 점을 살려서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보다 주포탑 및 갑판장갑 방어가 강화되었으며 선체 구조도 튼튼해졌다. 따라서 대응방어가 가능하다. 다만 자신이 가진 주포가 속사포이므로 대응방어에서는 상정하지 않는 경우인 2발 이상의 포탄이 1곳에 맞을 가능성이 있어서 자신의 주포를 두들겨맞을 경우 안심할 수는 없다.

측면장갑은 76.2mm ~ 127mm, 갑판장갑은 최대수치가 88.9mm의 두께를 가진다. 주포탑은 50.8mm ~ 165.1mm, 바벳은 127mm의 장갑을 보유한다. 함교장갑은 114.3mm이다.

5.3. 속력

배수량이 중순양함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므로 출력도 동시기의 중순양함 수준인 125,000마력이다. 디모인급 중순양함의 출력이 120,000마력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수준이다. 이를 통해 33노트의 속도를 달성한다.

이렇게 경순양함답지 않게 고출력을 달성한 이유는 전쟁중 대공화기와 각종 장비를 만재한 미합중국 해군의 순양함은 속력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느렸고, 특히 개수를 통해 화기와 장비를 증설한 순양함이 그 증상이 심했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개함방공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30노트 이상의 속도로 항진하는 항공모함의 직위방공함으로서는 호위진에서 제자리를 유지하기 힘들어진다.

6. 시대의 변화

위에 언급한 특징으로 인해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기존의 경순양함의 2가지 종류인 방공경순양함과 포격전용 경순양함을 성공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우스터급 경순양함은 정찰 임무 수행, 구축함 전대의 기함, 방공업무등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하다. 여기에 더해서 중순양함급 배수량을 가졌으므로 연료도 많이 탑재했으며, 선체도 대형화하고 선체 길이도 늘리면서 유선형으로 잘 다듬었고 출력도 크게 향상시켰으므로 기동성과 장거리 항해능력을 동시에 충족시켰다. 그리고 주포가 양용포겸 속사포이며 대응방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수상전과 대공전에서 모두 유리한 위치에 올라간다.

하지만 초도함이 취역한 1948년은 이미 함포 위주의 순양함이 설 자리가 없어진 상태였다. 전쟁은 끝난지 오래며, 항공기도 제트기 위주가 되면서 속도가 너무 빨라져 대공포로 항공기를 요격하기가 너무 어려워지게 되었다. 여기에 서서히 미사일까지 태동하던 시기였으니, 성능 자체는 훌륭했지만 너무 늦게 나와버린 셈이다. 그리고 선체가 너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흘수선을 약간 낮춘 설계를 했는데, 파도가 거칠게 치면 배가 흔들리는 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받기 쉽다는 지적도 있었다.

물론 주포가 속사포이므로 육지에 대해 함포사격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임무에는 8인치 속사포를 보유한 디모인급 중순양함이 이미 단단히 자리잡은 뒤라 이 점에서도 밀리게 된다. 그래서 원래는 10척이 건조예정이었지만 2척만 건조되었으며, 1958년에 두 척 모두 퇴역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런 일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닌데, 6.25 전쟁에서 항공모함의 호위 및 지상 함포사격 지원을 담당하였다.

7. 외부 링크

United States of America 6"/47DP (15.2 cm) Mark 16
WORCESTER light cruisers (1948-1949)

8. 매체에서

파일:Naval Creed 우스터.png

모바일게임 Naval Creed:Warships에서 미국 5티어 2차 최종 경순양함으로 나온다. 6인치 양용포의 고연사력과 대공 수치가 게임 내 최대 수치인 107이고 상당히 긴 대공사거리 덕에 그 어떤 항모의 함재기도 접근을 불허하는 함선이다. 다만 게임 내 레이더 및 소나를 가진 함선이 많지 않아서 구축함을 잡기에는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게임 월드 오브 워쉽의 순양함 트리가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으로 분리되면서, 10티어 경순양함으로 등장한다.

전함소녀에서 클라이언트 분석결과 이름이 나왔고 2018년 9월 2일 4주년 기념 팜플렛에서 로 34와 함께 일러가 공개되었다.


[1] 물론 본격적인 교전으로 들어갔을 때 미 해군 경순양함들은 효과적으로 일본 구축함들을 무력화시켰다. 그러나 경순양함들이 구축함들을 제압했을 무렵에는 경순양함들도 구축함들의 어뢰 및 함포 사거리에 들어가 있던 경우가 많아서 구축함들을 무력화시키고서도 같이 침몰하거나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2] 兩敗俱傷 양쪽이 모두 패하고 상처를 입는 것을 말함.[3] 포탑의 모양이 우리가 흔히 아는 각진 포탑이 아니라 뭔가 각지면서 둥글둥글한 기묘한 모양이다.[4] 태평양 전쟁 후반에 의외로 40mm 대공포가 성능은 좋았지만, 카미카제 돌진을 저지하고 확실히 파괴하는 것에 위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절감한 미 해군이 더 강한 위력을 목적으로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