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제조 기업에 대한 내용은 태광 문서
, 신발 OEM 업체에 대한 내용은 TKG태광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계열사 | |
섬유 · 석유화학 | <colbgcolor=#fff,#191919>태광산업 | 대한화섬 | 서한물산 | 세광패션 | |
금융 | 흥국생명 | 흥국화재해상보험 | 흥국증권 | 흥국자산운용 | 고려저축은행 | 예가람저축은행 | |
미디어 | 티캐스트 (E채널) | 씨네큐브 | 한국케이블텔레콤 (티플러스) | |
인프라 · 레저 | 티시스 (큰희망) | 티알엔 (쇼핑엔티) | 메르뱅 | |
학교 법인 | 일주학원 (세화여자고등학교 · 세화여자중학교 · 세화고등학교) | |
공익 재단 | 일주학술문화재단 | 세화예술문화재단 | |
스포츠단 |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배구단 | |
사건 사고 |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 | 그룹 총수 황제 보석 | 흥국생명 채권사태 |
태광산업 泰光産業 | Taekwang Industrial Co., Ltd. | |
| |
정식 명칭 | 태광산업주식회사 |
영문 명칭 | Taekwang Industrial Co., Ltd.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업종명 | 합성섬유 제조업 |
설립일 | 1961년 9월 15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310 (장충동2가)[1] |
대표이사 | 성회용 |
기업 규모 | 대기업 |
상장 유무 | 상장기업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1975년 ~ 현재) |
종목 코드 | 003240 |
자본금 | 55억 6,700만원 (2023) |
매출액 | 2조 2,655억원 (2023) |
영업이익 | 1,979억 9,000만원 (2019) |
당기순이익 | 536억 7,000만원 (2019) |
직원 수 | 1,345명 (2020.06.30.) |
링크 | 태광산업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태광그룹의 모기업이자 화학/섬유업체이다. 박연차의 태광실업과는 전혀 다른 회사다.2. 역사
1954년 일주 이임용 창업주가 경남 부산시 문현동에 설립한 '태광산업사'가 모태이다. 1961년 주식회사로 개편 후 현 사명으로 개칭하고 이듬해 무역업을 개시한 후, 1963년에는 부산 가야공장을 세웠다. 1966년 '피존텍스'를 출시하고 1967년에는 울산 아크릴공장을 준공했고, 1969년 부산 동래공장을 준공했다. 1971년 동양합섬을 합병하고 1975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한 뒤, 1977년 부산 반여동에 소모방공장을 준공한 후 1982년 일본 오사카에 해외지사를 개설했다. 1983년에는 당시 별표전축/에로이카(Eroica)로 알려진 태광전자(구 천일사)를 합병해 전자사업에도 손을 뻗었다. 이후 2005년 사업성 악화로 전자사업을 중단했다.1985년 부산 동래공장 화재로 소모방 59,848추가 전소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본사는 사원을 한 명도 감원하지 않고 1년 동안 복구시켰다. 1988년 태광기술연구소를 세우고 탄소섬유 공장을 세운 후, 1990년 경북 경주공장을 세우고 1993년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중앙연구소를 세운 뒤, 1994년 광진섬유공업을 합병하고 1995년 석유화학 1공장을 준공했다. 2003년 중국 창슈에 첫 해외법인을 세우고 2005년에는 중국 현지공장까지 준공했다. 2005년 12월 전자사업에서 철수한 후 안양공장을 매각하였다. 2012년에는 국내 최초로 탄소섬유를 상업 생산하고 2013년 11월 'JUMP2088' 전략을 수립해 변화에 박차를 가했으며, 2015년 아라미드 상업 생산을 개시했다. 2020년에는 모다크릴 공장까지 세웠다.
2022년 5월 1450억을 투자해 연산 3500톤 규모의 아라미드 공장을 증설하겠다고 발표했고 2023년 11월 울산공장 유휴부지에 태양광 1MW급 설비를 준공했다. 1MW는 월 10만5000kWh를 생산하는 규모다. 2024년 3월 29일 본사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펀드 트러스톤자산운용이 추천한 3명의 사내·외이사를 모두 선임했다. 5월 13일에는 초극세사 원사 제품 '에이스파인'을 출시했다. 에이스파인은 머리카락 100분의 1 굵기인 [email protected] dpf(필라멘트 당 데니어)급 제품이다. 태광산업은 2024년 5월 20일 고품질 가발 소재 원사 '모다크릴'의 수출 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으며 모다크릴은 인조가발과 난연재 등에 사용되는 폴리아크릴계 섬유다. 2024년 8월 1500억을 투자해 연산 13만2000톤 규모의 청화소다(NaCN) 공장을 증설하겠다고 밝혔다.
3. 지배구조
2023년 4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호진 | 29.48%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티알엔 | 11.2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원준 | 7.49%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학교법인일주세화학원 | 5.00%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동준 | 0.67%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태준 | 0.67%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트러스톤자산운용 | 5.85%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자사주 | 24.41% |
4. 역대 임원
- 대표이사 부회장
- 오용일 (2010~2013)
- 심재혁 (2012~2017)
- 대표이사 사장
- 대표이사 부사장
- 홍현민[6] (2016~2021)
- 대표이사 전무
- 김형생 (2018~2020)
5. 특징
주요 사업 분야는 섬유, 직물, 석유화학, 신소재 사업이다. 섬유부문에서는 아크릴, 나일론, 스판덱스, 방적사, LMF 등을, 직물 부문에서는 트리코트직물, 폴리에스테르직물 등을 생산한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PET 병 및 필름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는 PTA, 석유화학 기초 유분인 프로필렌, ABS 합성수지 등의 주원료인 AN, 금광, 선광, 도금 등에 사용되는 시안화나트륨(NaCN), 제약 합성 및 시약 원료인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유안비료인 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을 생산하고, 신소재 부문에서는 고탄력, 고강도성으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섬유와 중량이 강철의 20%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5배 이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등을 생산하고 있다.6. 논란 및 사건 사고
태광산업 관련 주요 논란 및 사건 사고에 대한 항목으로, 태광그룹에 대한 논란은 아래의 문서에 별도 생성되어 있다.자세한 내용은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6.1. 화재 및 폭발 사고
태광산업 울산공장의 탄소섬유 제조공정 화재로 근로자 10명이 중경상[7]을 입은 사건이 2012년에 발생했고, 2020년 보관중이던 방사성 폐기물이 누출[8]되었으며, 2021년에는 울산2공장에서 두차례의 폭발[9]이 있었다.6.2. 방사성 폐기물 은폐 사건
태광산업 울산공장은 국내 최대 민간 방사성 폐기물 보관 지역으로 이에 대한 은폐 사실이 2016년 SBS 특종으로 보도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국회와 원안위 등 감독기관 자료에 따르면, 태광산업 공정 후 남겨져 보관 중인 중저준위 방폐물이 경주방폐장보다 많은 양으로 알려졌다. 당초 태광산업은 2019년까지 방폐물을 처리하기로 계획했으나, 방폐물 운반선이 전국에 1척이고 고리, 한빛 원전 등에서도 방폐물 처리를 예정하고 있어 이전이 지연됐다. 최근에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처리하는 것으로 다시 계획하고, 매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기 검사를 받고 주기적으로 방사선량을 측정하며 관리하는 등 안전 관리를 지속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6.3. 태광그룹 검찰 수사 연루
태광그룹에 대한 전방위적 2010년 검찰수사에서 오너의 횡령 및 배임, 비자금 의혹, 무자료 거래 등이 포착되었으며, 이러한 사실이 황제 보석과 일감몰아주기 파문으로 번지면서 오랜 논란이 되었다. 상장기업인 태광산업 대표이사가 근 10년간 4회나 교체되면서 재임기간이 2년 남짓에 불과한 것은 그룹 차원의 혼란의 여파로 분석된다.자세한 내용은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1] 동북중·고등학교가 1980년까지 썼던 건물이다.[2] 삼성물산 출신.[3] 효성그룹 출신으로, (주)효성 테크니컬얀PU장, GST글로벌 대표이사, 효성첨단소재 GST 관리담당 상무 등지 역임.[4] 전 LG화학 NCC사업부장 및 ABS사업부장.[5] 전 SBS 보도국장, 미디어사업국장, 티캐스트 대표이사.[6] 전 삼성정밀화학 전략기획실장 및 한덕화학 대표이사.[7] 태광산업 울산공장 화재 사고[8] 태광산업 울산 방사성 폐기물 누출 사고[9] 태광산업 울산 공장 폭발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