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1. 개요
테더 골드(Tether Gold, XAUt)는 1토큰당 1트로이온스(약 31.1g)의 실물 금에 의해 담보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 (USDT)가 발행하며, 금 가격과 1:1로 연동되는 디지털 자산을 통해 금의 저장 및 전송 수단으로서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한다.토큰은 이더리움과 트론 네트워크에서 ERC-20 및 TRC-20 형태로 발행되며, 심볼은 XAUt이다.
2. 특징
테더 골드는 기존 금 투자 방식에 비해 높은 유동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실물 금 100% 담보 스위스 소재 금고에 보관된 LBMA 인증 금괴를 기반으로 발행
- 소유권 인증 시스템 사용자는 토큰 보유를 통해 금에 대한 간접적 소유권을 가짐
- 낮은 보관 수수료 실물 금 대비 비용 부담을 낮추는 구조
- 블록체인 기반 전송 이더리움 및 트론 네트워크 상에서 자유로운 전송 가능
3. 발행 및 운영 구조
XAUt 토큰은 테더의 자회사 TG Commodities Limited가 발행한다. 금은 스위스의 보안 금고에 안전하게 보관되며, 각 토큰은 금 1온스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최소 50 XAUt 단위로 실물 금 인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물 수령 또는 제3자 지정 장소 인도가 가능하다.테더는 XAUt에 대해 정기적인 감사를 제공하지 않지만, 온체인 상의 잔고와 금고 보유량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활용 사례
테더 골드는 전통적인 금 투자 대안으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된다.- 포트폴리오 헷지 자산 암호화폐 시장 내 변동성을 완화하는 수단
- 국제 송금 및 결제 금 가격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가치 이전 가능
- 디파이 플랫폼 연동 담보 자산으로 활용되거나 렌딩 시스템에 사용
또한, 최근에는 **보상형 커뮤니티 플랫폼** 등에서도 금 기반 디지털 자산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참여(댓글, 설문, 콘텐츠 소비 등)를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자체 토큰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스테이블 성격의 금 연동 자산과 연계할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보상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5. 논란 및 한계
- 감사 투명성 부족 USDT와 마찬가지로, 금 보유량에 대한 외부 회계 감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신뢰성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소액 사용 제한 실물 금 인출은 최소 50 XAUt 이상부터 가능하여, 일부 사용자에게는 접근성이 낮다.
- 규제 불확실성 각국의 금 투자 및 디지털 자산 규제에 따라 법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6. 관련 링크
* 공식 홈페이지* 트위터
* 깃허브
* 투명성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