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요 목록 2024. 1. 13. 시가총액 순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업비트 · 빗썸 · 코인원 · 코빗 · 고팍스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 HTX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colbgcolor=#ff69b4><colcolor=#fff> 테더백 tetherBack | |
이름 | 테더백 |
창립 | 2024년 6월 22일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본사 | 57 World Cup Buk-ro 2-gil, Mapo-gu, Seoul, Korea |
운영사 | HYPOKEIMENON |
홈페이지 | |
SNS | | | |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learfix]
1. 개요
테더백(영어: tetherBack)는 2024년 5월 대한민국 기업 HYPOKEIMENON에 의해 운영되는 가상자산 거래수수료 환급 셀퍼럴 플랫폼이다. BingX, Bybit, Bitget, OKX, LBank, BitMEX 등 주요 글로벌 거래소와 B2B 공식 계약을 통하여 투자자가 합리적인 코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가상자산 시장에서 보통의 레퍼럴은 인플루언서를 통해 거래소 가입이 이루어지는게 주류이다. 물론, 개인 스스로에게 하는 일명 '셀퍼럴'을 하는 부류도 있다. 수수료를 아끼려고 무작정 셀퍼럴을 했다가는 거래정지, 계정잠금 등의 자산 손실 위험이 있다.
테더백은 불법적인 거래 위험을 줄이고 투자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유익하고 합리적인 코인투자를 돕기 위해 셀퍼럴 플랫폼을 설립했다.
2. 특징
2.1. 페이백 시스템
테더백은 투자자에게 최대 79%의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며, 어떠한 거래소라도 최소 50% 이상의 수수료 혜택을 제공한다.2.2. 실시간 환급
테더백 메인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환급 받는 회원들의 환급내역를 확인할 수 있다.2.3. 제휴거래소
테더백은 BingX, Bitget, Bybit, OKX, LBank, BitMEX 등 다양한 글로벌 거래소와 B2B 공식 제휴를 진행하여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인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한다. 테더백은 안전한 투자환경 조성을 위하여 거래소의 안정성, 자산, 보안시스템 등을 다방면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거래소만을 제휴한다.[1]<rowcolor=#FFFFFF> 거래소 | 환급율 | 할인율 | 지정가 | 시장가 | 1인 평균 환급율 |
BingX | 60% | 20% | 0.005% | 0.013% | 73% |
Bitget | 58% | 50% | 0.004% | 0.012% | 79% |
Bybit | 40% | 20% | 0.009% | 0.026% | 52% |
OKX | 56% | - | 0.008% | 0.022% | 56% |
엘뱅크 | 64% | 17% | 0.007% | 0.017% | 70% |
2.4. 차별성
- 보통 100USDT이상부터 환급이 가능한 타 업체와는 달리 테더백은 1USDT부터 환급이 가능하다.
- 테더백의 메인 컬러는 핑크색이다.[2] 파란색 계열을 쓰는 타 플랫폼과는 큰 차별성을 둔다.
- 테더백은 창립 3개월만에 이용자 수 8,000명을 돌파하였다. [3] [4]
3. 유튜브
테더백은 공식 유튜브 채널을 운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