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 암호화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이더리움 클래식 | 라이트코인 | 비트코인 캐시 |
Zcash | 젠캐시 | 스텔라루멘 | 디센트럴랜드 | 라이브피어 | |
파일코인 | 베이직 어텐션 토큰 | 체인링크 | 에이다 | 솔라나 | |
에이브 | 앰프 | 컴파운드 | 커브 | 호라이젠 | |
# |
톤코인 (TON) The Open Network | ||
<colbgcolor=#0088cc><colcolor=#ffffff> 개발사 | The Open Network Foundation | |
도입일 | 2018년 (초기 개발), 2021년 재출시 | |
사용국 | 전 세계 | |
분류 | 암호화폐 | |
기호 | TON | |
공식 웹사이트 | TON 공식 사이트 |
1. 개요
톤코인(TON, The Open Network)은 메신저 플랫폼 텔레그램에서 처음 기획된 고속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2018년 텔레그램이 개발을 시작했으나 미국 SEC와의 법적 분쟁으로 프로젝트를 중단하게 되었고, 이후 커뮤니티 기반으로 TON 재단이 설립되어 2021년부터 본격적인 메인넷 운영을 시작하였다.TON은 초당 수십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향하며, 자체 가상 머신(TVM)을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분산형 스토리지, DNS, 탈중앙화 앱(DApp) 등을 지원한다.
2. 역사
- 2018년: 텔레그램이 ICO를 통해 약 17억 달러를 조달하며 'Telegram Open Network' 개발 시작
- 2020년: SEC의 제소로 인해 텔레그램은 프로젝트에서 철수하고, TON이라는 이름은 오픈 소스로 전환됨
- 2021년: TON Foundation 설립, 커뮤니티 주도로 TON 개발 및 메인넷 론칭
- 2023년: 텔레그램이 공식적으로 TON과 연계된 월렛 기능을 도입하며 사실상 파트너십 복원
- 2024년: 토큰 이코노미가 정비되며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10위권 진입
3. 특징
- 초고속 처리 속도: 샤딩과 멀티체인 구조를 통해 수십만 TPS를 구현
- TON DNS: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주소(URL) 기반으로 블록체인 주소 사용 가능
- TON Storage: 탈중앙화된 클라우드 파일 저장소 제공
- TON Proxy: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탈중앙화 VPN 기능
- 텔레그램 연동: 텔레그램 사용자 기반의 접근성 및 사용 편의성 제공
4. 커뮤니티 기반 사용 사례
-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참여(댓글, 설문, 콘텐츠 소비 등)에 따라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자체 토큰인 RWD 코인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최근 텔레그램 기반 Web3 생태계가 주목받음에 따라, TON과 같은 고속 네트워크 기반 플랫폼은 리워디 월렛과 같은 커뮤니티 중심 앱에서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