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률 시토회 Ordo Cisterciensis Strictioris Observantiae | |||||
<colbgcolor=#f8f9e8,#f8f9e8><colcolor=#83775c,#83775c> 이명 | 트라피스트회(Trappists) | ||||
표어 | <colbgcolor=#f8f9e8,#f8f9e8><colcolor=#83775c,#83775c> 라틴어 | {{{#83775c,#d9d1ba 'Cistercium mater nostra'}}} | |||
영어 | Cîteaux is our mother | ||||
한국어 | 시토는 우리의 어머니 | ||||
설립 시기 | 1664년 7월 13일 ([age(1664-07-13)]주년) | ||||
설립자 | 아르망 장 르 부틸리에 드 랑세 | ||||
총장 | 초대 | 세바스티앙 위아르 O.S.C.O. (Sébastien Wyart) | |||
현재 | 베르나르두스 페테르스 O.S.C.O. (Bernardus Peeters) | ||||
규모 | 약 4,300명 (2025) | ||||
종교 | 가톨릭 | ||||
소재지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8f9e8,#f8f9e8><colcolor=#83775c,#83775c> 총회 | <colbgcolor=white,#1f2023>이탈리아 로마 트라피스트회 총회 (Viale Africa, 33 00144 Roma, IT) | |||
<nopad> | |||||
본원 | 프랑스 디종 시토 수도원 (Abbaye Notre-Dame de Cîteaux, 21700 Saint-Nicolas-lès-Cîteaux, Côte-d'Or, FR) | ||||
<nopad> | |||||
발원 | 프랑스 오른 라트라프 수도원 (Abbaye Notre-Dame de La Trappe, 61380 Soligny-la-Trappe, FR) | ||||
<nopad> |
언어별 명칭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8f9e8,#f8f9e8><colcolor=#83775c,#83775c> 라틴어 | <colbgcolor=white,#1f2023> Trappistae | |||
영어 | Trappists | ||||
프랑스어 | Trappistes | ||||
독일어 | Trappisten | ||||
네덜란드어 | Trappisten | ||||
스페인어 | Orden de la Trapa | ||||
이탈리아어 | Trappisti | ||||
포르투갈어 | Ordem Trapista | ||||
폴란드어 | Trapiści | ||||
러시아어 | Трапписты | ||||
에스페란토 | Trapistoj | ||||
일본어 | トラピスト会 | ||||
중국어 | 特拉比斯会 / 特拉比斯會 |
링크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8f9e8,#f8f9e8><colcolor=#83775c,#83775c> 웹사이트 | <colbgcolor=white,#1f2023>파일:트라피스트회_상징.png 홈페이지 |
1. 개요
가톨릭의 수도회. 정식 명칭은 엄률 시토회이지만, 별칭인 트라피스트회로 익히 알려져 있다.봉쇄수도회인 시토회의 분파로 1664년 당시 해당 수도회의 수사이자 라트라프 수도원장이었던 아르망 장 르 부틸리에 드 랑세가 시토회 내부 개혁의 일환으로서 더욱이 엄격한 방식으로 청빈한 신앙 생활을 도모하고자 설립했다. 트라피스트회라는 명칭은 해당 수도회의 발원지인 라트라프 수도원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되었다. 1892년에 시토 수도원이 모원으로 회복될 시기까지 라트라프 수도원이 트라피스트회의 중심지였다. 트라피스트회에 소속된 사람은 이름 뒤에 O.S.C.O.가 붙는다.
2. 특징
트라피스트회는 이전 시토회의 성격을 그대로 보유하지만, 더욱 엄격해진 수도회라고 할 수 있다. "기도와 참회, 침묵과 노동"으로 트라피스트회의 삶을 요약할 수 있다. 이곳에서 만드는 술인 트라피스트 에일 역시 유명하다.[1] 현재 트라피스트회는 전 세계에 약 85개 수도원에 수도자 4,300여 명이 있다고 한다. 한국에는 남성 수도원과 여성 수녀원이 진출했지만 남성 수도원은 2019년 9월 이후로는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트라피스트회는 가톨릭에 현존하는 수도회 중에서 카르투시오회와 더불어서 가장 엄격하고 고되다. 트라피스트회의 수도원 내부는 화려하게 꾸미는 것이 금지되므로, 간단하게 십자가나 무늬가 없는 가구 등으로 최대한 단순하게 구성한다, 미국에 있는 트라피스트회에서는 일부 신부들이 산 속에 오두막을 짓고서 혼자서 은수자 생활을 하며 하루 종일 명상과 은둔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는 경상남도 창원시 구산면에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 수도원이 있다. 잼을 만들어서 파는 것으로 유명한 봉쇄수녀원이다. 이 수녀원은 행정법학계에서 원고적격과 환경상 이익에 대한 판례로 유명한 2010두2005판례의 당사자이다. 첫째로, 법인이나 자연인이 아닌 ‘수녀원’ 그 자체는 원고적격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며, 둘째로 산업 단지 개발로 인해 수도 생활을 할 수 없다는 것과 환경이 침해되는 것은 보호해야 할 이익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수정산단 개발은 취소되었고 그 이후로도 마산 지역 주민들과 수녀원 간의 앙금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