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8:54:34

파리 생제르맹 쥬도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1e2d,#dddddd
<colbgcolor=#0b3b6a> 개요 <colbgcolor=#ed1c24> 산하 축구단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PSG 아카데미
선수단 스쿼드스쿼드(간략)페미닌(간략)임대 선수 명단
스태프 보드진 및 스태프
기타 스포츠 PSG 핸드볼PSG 쥬도|PSG 복싱 해체|PSG 럭비 리그 해체
Esports PSG Talon(LoL) 종료PSG Talon(R6)
역사와 문화 역사 역사역대 유니폼역대 엠블럼역대 성적역대 감독 /통계 초대~
주요 인물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구단주루이스 엔리케 감독역대 회장
역대 시즌
(2010-11~)
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2025-26 /리그
문화 응원가
관련 상식 더비 매치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르 클라시크
그 외 재정스폰서
구단 시설 경기장 파르크 데 프랭스스타드 조르주 르페브르
기타 경기장 스타드 장부앵|스타드 샤를레티|스타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종합 훈련 시설 캄 데 로주|파리 생제르맹 트레이닝 센터
기타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나이키 키트 스폰서파일:Qatar Airways logo white.png 카타르항공 메인 스폰서파일:파리 FC 로고.svg 파리 FCMNM
}}}}}}}}}}}}}}}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colbgcolor=#0b3b6a> 파리 생제르맹 쥬도
Paris Saint-Germain Judo
정식 명칭 Paris Saint-Germain Judo[1]
파리 생제르맹 쥐도
창단 2017년 9월 1일
연고지 일드프랑스 레지옹 파리 (Paris)
도장 CMG Sports Club One Italie CMG Dojo[2]

1. 개요2. 역사3. 도장: CMG Dojo

[clearfix]

1. 개요

2017년 창단한 파리 생제르맹 산하 유도단.

일본에 이은 역대 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 배출 2위 국가인 프랑스답게 꽤 진심으로 그리고 공격적인 투자와 운영을 하는 중이다.

다른 산하 구단처럼 나세르 알 켈라이피가 회장직에 있지 않고 프랑스의 1996 애틀란타 올림픽 남자 유도 -78kg급 금메달리스트 '자멜 부라스(Djamel Bouras)'가 회장을 맡고 있다. 처음에는 유도 남성부만으로 창단했으나 1년 후 여성부도 함께 운영을 시작했다.

2. 역사

창단한 2017년에 +100kg급 세계 최고의 선수 테디 리네르를 PSG 유도 프로젝트 대표자로 영입했으며, 2020 도쿄 올림픽에선 테디 리네르와 함께 여자 -52kg급 은메달리스트 아만다인 부차드, 여자 +78kg급 동메달리스트 로만느 디코 등의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3. 도장: CMG Dojo

파일:psg-judo-inauguration.jpg
파일:psg-judo-haut-niveau.jpg

홈으로 사용하는 도장은 파리 내 위치한 'CMG Dojo'이다. 2018년에 PSG가 개관했으며 개관식에 킬리안 음바페, 레뱅 퀴르자와 등 PSG 산하 구단 선수들이 참석했다.


[1] /​paʁi sɛ̃ ʒɛʁmɛ̃/. 프랑스어에서 자음 앞(m,n,h는 제외) 또는 어말에 오는 aim,ain은 /ɛ̃/'앵'으로 발음된다. 다만 프랑스 북부 지역, 특히 파리에서는 /ɛ̃/'앵'을 /ɑ̃/'앙'으로, /ɑ̃/'앙'을 /ɔ̃/'엉'으로, /ɔ̃/'엉'을 /õ/'옹'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외래어 표기 규정에 따르면 인명, 지명에서는 줄표(-)를 무시하고 상표명에서는 살린다. 단 줄표의 앞뒤를 별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 쓰지는 않되, 연음 등은 고려하지 않고 표기한다.[2] 프랑스어 Dojo(도조)는 일본어 道場(どうじょう/도-죠)에서 유래했다. 한국어로 '유도'를 뜻하는 Judo(쥬도)처럼 '도장'이라는 뜻의 일본어 발음이 고유명사가 된 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