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 2019 | |
2020 2021 2022 2023 2024 |
| ||
이름 | Found | |
출생 | 2012년 3월 13일 ([age(2012-01-01)]세) | |
성별 | 암컷 | |
털색 | 갈색 (Bay) | |
아비 | 갈릴레오 | |
어미 | 레드 이비(Red Evie) | |
외조부 | 인티카브(Intikhab)[1] | |
생산자 | 롱콘, 와이넛 & 첼스턴 | |
마주 | 마이클 테이버, 데릭 스미스, 수 매그너 | |
조교사 | 에이단 오브라이언 (캐셜) | |
성적 | 21전 6승 [6-11-3-1] | |
총상금 | 7,610,405파운드 | |
주요 우승 | G1 | |
G3 | 로열 윕 스테이크스 (2015) 무어스브리지 스테이크스 (2016) | |
주요 수상 | 카르티에 어워드 최우수 고마 (2016) | |
레이팅 | WBRR | L120 (2015) I124 - L124 (2016) |
타임폼 | 129 | |
상세 정보 | |
[clearfix]
1. 개요
영국의 경주마. 2022년 기준 아직 깨지지 않은 개선문상 레이스 레코드[2]를 가지고 있는 명마로, 연대율도 80~90%대로 좋은 편이다.[3]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갈릴레오 Galileo 1998 | <colbgcolor=#ffffe4,#323300>새들러스 웰즈 Sadler's Wells 1981 |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
페어리 브리지 Fairy Bridge | ||
어번 시 Urban Sea 1989 | 미스와키 Miswaki | |
알레그레타 Allegretta | ||
레드 이비 Red Evie 2003 | 인티카브 Intikhab 1994 | 레드 랜섬 Red Ransom |
크래프티 이그잼플 Crafty Example | ||
말라펨메나 Malafemmena 1992 | 노르디코 Nordico | |
마르티노바 Martinova | ||
* 노던 댄서 S3×M4 18.75% * 미스터 프로스펙터 S4×M5 9.375% * 헤일 투 리즌 S5×M5 6.25% | ||
주요 전형제[4] | 매지컬 드림(2010) 베스트 인 더 월드(2013) 디바인리(2018) |
3. 커리어
2016년 개선문상 |
4. 번식마 생활
5. 여담
6. 경주 성적
- 거리 단위(영국,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 m: 마일(약 1609m), f: 펄롱(1/8 마일, 약 201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AE59><rowbgcolor=#11AE59><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5]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 2014년 (2세) | |||||||||
8.23 | 커러 | 미승리 | 잔디 1m | 14/1 | <colcolor=#000> 6 | 1착 | 시미 헤퍼넌 | (투게더 포에버)[6] | |
9.14 | 커러 | 모이글레어 스터드 스테이크스 | G1 | 잔디 7f | 7/2 | 2 | 3착 | 조셉 오브라이언[7] | 커서리 글랜스 |
10.5 | | 마르셀 부사크상 | G1 | 잔디 1600m | 9/4 | <colbgcolor=gold> 1 | 1착 | 라이언 무어 | (에르베디아)[8] |
<rowcolor=#fff> 2015년 (3세) | |||||||||
5.4 | 커러 | 아타시 스테이크스 | G3 | 잔디 7f | 5/4 | 1 | <colbgcolor=silver><colcolor=blue> 2착 | 라이언 무어 | 아이베이 가든스 |
5.24 | 커러 | 아이리시 1,000 기니 | G1 | 잔디 1m | 5/4 | 1 | 2착 | 플리아스커[9] | |
6.19 | | 코로네이션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 13/8 | 1 | 2착 | 에르베디아 | |
8.23 | 커러 | 로열 윕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m 2f | 8/13 | 1 | 1착 | 시미 헤퍼넌 | (앤서드) |
9.12 | 레퍼즈타운 |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6/1 | 3 | 2착 | 골든 혼 | |
10.4 |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18/1 | 5 | 9착 | 라이언 무어 | 골든 혼 |
10.17 | |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9/2 | 2 | 2착 | 패시네이팅 록 | |
10.31 |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m 4f | 6.40 | 4 | 1착 | (골든 혼) | |
<rowcolor=#fff> 2016년 (4세) | |||||||||
4.3 | 커러 | 얼레지드 스테이크스 | L | 잔디 1m 2f | 9/10 | 1 | 3착 | 라이언 무어 | 주코바[10] |
5.2 | 커러 | 무어스브리지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m 2f | 11/8 | 2 | 1착 | (석세스 데이스) | |
5.22 | 커러 | 태터솔스 골드 컵 | G1 | 잔디 1m 2½f | 8/15 | 1 | 2착 | 패시네이팅 록 | |
6.4 | | 코로네이션 컵 | G1 | 잔디 1m 4f | 3/1 | 2 | 2착 | 포스폰드[11] | |
6.15 | |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4/1 | 2 | 2착 | 마이 드림 보트 | |
8.18 | | 요크셔 오크스 | G1 | 잔디 1m 4f | 2/1 | 1 | 2착 | 시미 헤퍼넌 | 세븐스 헤븐[12] |
9.10 | 레퍼즈타운 |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7/1 | 3 | 2착 | 프랭키 데토리 | 알만조르[13] |
10.2 |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6/1 | 3 | 1착[R] | 라이언 무어 | (하이랜드 릴) |
10.15 | |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5/2 | 2 | 2착 | 알만조르 | |
11.5 |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m 4f | 3.60 | 2 | 3착 | 하이랜드 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롱샹 경마장, 잔디 1600m, 크리테리움 드 풀리슈 |
1969 벨라 | 1970 투 투 패리스 | |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 |
1971 다크 베이비 | 1972 알레 프랑스 | 1973 이포다미아 | 1974 오크 힐 | 1975 테이아 | 1976 카미시아 | 1977 타로나 | 1978 피타시아 | 1979 아리엔 | |
마르셀 부사크상 - 크리테리움 드 풀리슈 | |
1980 트로피카로 | 1981 플레이 잇 세이프 | 1982 굿바이 셸리 | 1983 알메이라 | 1984 트립틱 | 1985 1986 미에스크 | 1987 1988 메리 리노아 | 1989 | |
1990 1991 1992 골드 스플래시 | 1993 시에라 마드레 | 1994 마쿰바 | 1995 미스 타히티 | 1996 1997 러빙 클레임 | 1998 주베니아 | 1999 레이디 오브 차드 | |
2000 아모니타 | 2001 2002 식스 퍼펙션스 | 2003 데네볼라 | 2004 디빈 프로포르시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024c47; font-size: .7em;"{{{#fff 2005}}} 2006 2007 자르카바 | 2008 프로포셔널 | 2009 로자나라 | |
2010 2011 2012 실라졸 | 2013 앵도네지엔 | 2014 2015 2016 2017 2018 릴리스 캔들 | 2019 | |
2020 타이거 타나카 | 2021 젤리 | 2022 블루 로즈 센 | 2023 2024 버티컬 블루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tablewidth=100%> 1984 1985 1986 마닐라 | 1987 시어트리컬 | 1988 그레이트 커뮤니케이터 | 1989 프라이즈드 |
1990 1991 1992 프레이즈 | 1993 코타샨 | 1994 1995 노던 스퍼 | 1996 1997 1998 벅스 보이 | 1999 | |
2000 2001 2002 2003 2004 베터 토크 나우 | 2005 2006 2007 잉글리시 채널 | 2008 · 2009 | |
2010 2011 2012 리틀 마이크 | 2013 2014 메인 시퀀스 | 2015 2016 2017 2018 2019 브릭스 앤 모르타르 | |
2020 2021 2022 2023 202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771240; font-size: .7em;" 1920 1921 · 1922 크사르 | 1923 1924 마신 | 1925 프리오리 | 1926 비리비 | 1927 몽 탈리스망 | 1928 칸타르 | 1929 |
1930 모트리코 | 1931 펄 캡 | 1932 모트리코 | 1933 1934 브랑톰 | 1935 사모스 | 1936 · 1937 코리다 | 1938 에클레르 오쇼콜라 | --1939 · 1940 없음-- | |
1941 르 파샤 | 1942 제벨 | 1943 베르소 | 1944 아르당 | 1945 니켈로라 | 1946 카라칼라 | 1947 르 페용 | 1948 1949 코로네이션 | |
1950 · 1951 탕티엠 | 1952 누초 | 1953 라 소렐리나 | 1954 시카 보이 | 1955 · 1956 1957 오로소 | 1958 1959 생크레스팽 | |
1960 퓌이상 셰프 | 1961 1962 솔티코프 | 1963 엑스버리 | 1964 프랭스 루아얄 | 1965 시버드 | 1966 봉 모 | 1967 토표 | 1968 베이글리 노블 | 1969 | |
1970 사사프라스 | |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 |
1971 1972 산 산 | 1973 1974 알레 프랑스 | 1975 1976 이바니차 | 1977 · 1978 1979 스리 트로이카즈 | |
1980 데트루아 | 1981 골드 리버 | 1982 아키다 | 1983 올 얼롱 | 1984 사가스 | 1985 1986 1987 트랑폴리노 | 1988 1989 | |
1990 소마레 | 1991 수아브 댄서 | 1992 수보티차 | 1993 어번 시 | 1994 카네기 | 1995 1996 엘리시오 | 1997 팽트르 셀레브르 | 1998 사가믹스 | 1999 몬쥬 | |
2000 2001 2002 2003 달라카니 | 2004 바고 | 2005 허리케인 런 | 2006 레일 링크 | 2007 2008 자르카바 | 2009 | |
2010 2011 2012 솔레미아 | 2013 · 2014 트레브 | 2015 2016 2017 · 2018 2019 발트가이스트 | |
2020 소트사스 | 2021 2022 2023 에이스 임팩트 | 2024 |
[1] 스노우 페어리의 부마이기도 하다.[2] 2:23.61, 다만 파운드가 우승한 2016 개선문상은 롱샹 경마장이 아닌 샹티이 경마장에서 열렸다. 롱샹 개선문상 레코드는 2011년 데인드림의 2:24.49이다.[3] 승은 많지 않지만, 그 대신 2착이 무려 11회, 3착 3회로, 21전 중 20전이 3착 이내였으며, 착외 밖은 골든 혼이 우승한 2015년 개선문상 때였는데, 그 때 9착이었다. G1으로 한정한다면 2착 10회, 3착 2회로, G1 3승에 그치는 걸 생각한다면 상당히 고생길을 걸었던 말이기도 하다. G1 연대 횟수로만 따지면 이네이블급 성적.[4] 중상마만 서술.[5] 서양권의 배당 표기는 동아시아와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6] 아일랜드의 경주마. 이후 2014년 필리스 마일을 우승한다. 경주마 은퇴 후 번식암말로 지내면서 시티 오브 트로이를 낳았다.[7] 에이단 오브라이언 조교사의 아들이다. 기수 생활을 7년 동안 하다 그만두고, 현재 아버지처럼 경마 조교사로 활동 중이다.[8] 프랑스의 경주마. 이후 2015년 풀 데세 드 풀리슈를 비롯해 G1 3승을 차지한다.[9] 아일랜드의 경주마. 이후 2015년 요크셔 오크스를 우승한다.[10] 아일랜드의 경주마. 이후 2017년 맨오워 스테이크스를 우승한다.[11]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2015년 KGVI&QES, 2016년 두바이 시마 클래식을 우승했다. 이후 2016년 인터내셔널S를 우승한다.[12] 아일랜드의 경주마. 2016년 아이리시 오크스를 우승했다.[13] 프랑스의 경주마. 2016년 조케 클뤼브상을 우승했다.[14] 롱샹 경마장 개수 공사로 인해 샹티이 경마장에서 개최되었다.[R] 2:2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