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3:32:33

파일:GK12788_00IB3038_035b.jpg

파일:제한적 이용(라이선스).svg이 파일은 나무위키에서 제한된 한도 안에서 쓰입니다.

본 이미지는 퍼블릭 도메인 혹은 자유이용 저작물이 아닌, 독점적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미지입니다. 나무위키는 본 이미지를 제한된 한도 안에서 이용합니다.

※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권리자는 해당 이미지가 나무위키에 게시되어 권리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여겨진다면 권리침해 도움말 문서 참고 후 메일로 문의해 주세요.
  2. 이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재사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음을 숙지해 주세요.
  3. 이 이미지의 출처는 나무위키가 아닙니다. 이미지를 재사용하는 경우 나무위키를 출처로 작성하지 마세요.


파일:제한적 이용(라이선스).svg이 파일은 나무위키에서 제한된 한도 안에서 쓰입니다.

본 이미지는 퍼블릭 도메인 혹은 자유이용 저작물이 아닌, 독점적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미지입니다. 나무위키는 본 이미지를 제한된 한도 안에서 이용합니다.

※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권리자는 해당 이미지가 나무위키에 게시되어 권리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여겨진다면 권리침해 도움말 문서 참고 후 메일로 문의해 주세요.
  2. 이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재사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음을 숙지해 주세요.
  3. 이 이미지의 출처는 나무위키가 아닙니다. 이미지를 재사용하는 경우 나무위키를 출처로 작성하지 마세요.



<colcolor=#ffffff> 양기원
梁基源 | Yang Ki-Won
이름 <colbgcolor=#ffffff,#1f2023>양기원 (梁基源)
자(字) 사준 (士俊)
본관 남원 양씨 (南原 梁氏) [1] [2]
출생 1841년 (헌종7) 10월 21일 (음력 9월 28일)
평안도 영변대도호부
(現, 평안북도 영변군 팔원면 용성동 485) [3]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사망 1915년 6월 1일 (음력 4월 19일) (향년 75세)
평안북도 영변군 팔원면 용성동 [4] 자택
묘소 평안북도 영변군 팔원면 소장동 [5]
재임기간 평안북도 관찰부주사(關察府主事) [6]
1903년 4월 14일 ~ 1903년 9월 30일
경력 숭인전 참봉 (1893.09.10~1903.04.10)
평안북도 관찰부주사 (1903.04.14~1903.09.30)
수상 1903년 표창 (1회)
종교 유교 (성리학)
부모 아버지 양기수(梁耆壽), 어머니 경주 김씨(慶州 金氏)
형제 양기호(梁基浩), 동생 양기해(梁基海)
배우자 아내 파평 윤씨(坡坪 尹氏) [7]
자녀 아들 양익섭(梁翊燮), 2명 [8]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양기원의 선계(先系)3.2. 양기원의 후손

[clearfix]

1. 개요

평양(坪壤)에 위치하고 있는 숭인전(崇仁殿)은 前 왕조의 시조들을 제사(祭祀)하기 위한 조선의 팔전(八殿) 중 하나로, 고려후기 기자조선의 시조인 기자(箕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위패(位牌)를 모시고 향사(享祀)하는 전각(殿閣)으로 제향(祭享)하던 사당(祠堂)의 참봉(㕘奉)을 지내며, 이후에 평안북도(平安北道) 관찰부(關察府) 주사(主事)를 역임하고 지낸 인물이다.

2. 생애

서기(西紀) 1841년 조선 24대왕 헌종(憲宗)7년 10월 21일 아버지 양기수(梁耆壽)와 어머니 경주 김씨 사이에서 재(在) 평안북도(平安北道) 영변군(寧邊郡) 팔원면(八院面) 용성동(龍城洞) 남원 양씨(南原 梁氏) 집성촌(集姓村)에서 3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평안북도(平安北道) 영변군(寧邊郡) 팔원면(八院面)은 선대(先代)로부터 내려온 집성촌(集姓村)이며, 또한 인명(人命) 높은 인물들이 많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서기 1893년 고종(高宗) 30년 9월 18일 평양 숭인전(崇仁殿) 참봉을 지내셨다. [9]

그의 선대로는 평안북도(平安北道) 영변군(寧邊郡) 팔원면(八院面)에서 통정대부(通政大夫) 절충장군(折衝將軍) [10] 행용직위(行龍稷衛) 변군(邊郡)을 지낸 양인충(梁仁忠)의 8대손이며, 통정대부(通政大夫) 여절교위(勵節校尉) [11]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지낸 양극제(梁克濟)의 6대손이다.

조선(朝鮮) 말에 영변군(寧邊郡) 팔원면(八院面) 용성리(龍城里)로 되었고, 1914년 [12] 행정구역(行政區域) 폐합(廢合) 시에 동제(洞題)를 실시하면서 용성동(龍城洞)으로 되었다. 1949년 [13] [14] [15] [16] 행정구역 개편(改編) 시에 다시 리제(里題)를 실시하면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은행리(은행里)를 신설하였다.

3. 가족 관계

3.1. 양기원의 선계(先系)

고조부 양윤흥(梁潤興) 순조(1829.02.05 ~ 18XX.04.14) [17] / 妻 경주 이씨 (1827.00.00 ~ 18XX.06.11) [18] ※在北

증조부 양대억(梁大億) 정조(1777.00.00 ~ ?) / 妻 연안 이씨 (177X.00.00 ~ ?) ※在北

조부 양운한(梁運漢) 정조(1792.00.00 ~ ?) / 妻 정산 김씨 (1882.06.10 ~ 19XX.07.15) ※在北
부친 양기수(梁耆壽) 순조(1816.00.00 ~ 19XX.04.21) / 妻 영천 최씨 (181X.00.00 ~ ?) ※在北 / 妻 경주 김씨 (182X.00.00 ~?) ※在北

3.2. 양기원의 후손



[1] 좨주(祭酒)공파 17代孫, 병부공파 26世孫[2] 팔원면(八院面) 출신 선대로부터 8代孫이다.[3] 남원 양씨(梁氏) 계파(系派)인 좨주(祭酒)공파 후손(後孫)들이 세거(世居)하여 선대(先代)로부터 내려온 집성촌(集姓村)이다.[4] 現, 용성리(龍城里)[5] 現, 옥창리(里), (1949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영변군 팔원면 용두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팔원면에 신설한 리로서 옥수수가 유달리 잘 되는 마을이므로 옥창리라고 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영변군 팔원면의 용두리ㆍ소장리 일부와 통합되어 영변군 팔원면 옥창리로 개편되었다.)[6] 從9품, 判任官 (從9품, 판임관)[7] 윤몽서(尹夢瑞)의 딸이다.[8] 壻. 김수헌(金守憲), 이처관(李處寬(官))[9] https://naver.me/F8nryExt[10] 正3품[11] 正6품[12] 부군면 통폐합(府郡面統廢合)은 일제강점기였던 1914년 3월 1일4월 1일, 식민지 조선에서 실시된 대규모의 행정구역 개편을 일컫는다. 조선총독부가 주도했다. 백과사전 등에서는 주로 군면 통폐합이라고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기초 행정구역 명칭과 영역, 경계선의 틀은 이 부군면 통폐합을 통해 마련되었다.[13] 지방자치법, 이 법은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조직 및 운영, 주민의 지방자치행정 참여에 관한 사항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를 정함으로써 지방자치행정을 민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고, 지방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며, 대한민국을 민주적으로 발전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4] 전문[15] 지방자치 제도에 관한 기본법이다. 개정이 잦은 편인데, 1949년 7월 4일 법률 제32호로 제정된 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쳤고 2020년 12월 9일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22년 1월 13일부터 시행되고 있다.[16] 이 법의 전신으로는 지방행정에관한임시조처법(1948. 11. 27. 법률 제8호로 제정, 1949. 7. 4. 법률 제32호로 폐지)이 있었다.[17] 통정대부(通政大夫)[18] 숙부인(叔夫人)[19] 좨주(祭酒)공파 18代孫, 병부공파 27世孫[20] 장치규(張致奎)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