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 공항 Perth Airport | |
공항코드 | |
IATA | PER |
ICAO | YPPH |
주소 | |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퍼스 | |
개항 | |
1942년 | |
종별 | |
민간(공공) | |
활주로 | |
메인 활주로 | 03/21 (3,444 m × 45 m) |
보조 활주로 | 06/24 (2,163 m × 45 m) |
운영시간 | |
24:00 | |
운영기관 | |
Westralia Airports Corporation | |
홈페이지 | |
퍼스 공항 공식 홈페이지 | |
지도 | |
[clearfix]
1. 개요
퍼스 공항 제1터미널 |
2. 역사
- 1920년대 당시 퍼스 도심에 있던 비행장이 도심확장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자 1938년 부지를 선정하고 통합 이전을 준비했다. 그런데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호주 공군의 비행기지로 먼저 건설되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 건설 직후인 1943년 새롭게 건설된 공항이 군사용으로 사용되어서 민간항공기의 이용이 불가능 했는데,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항공수요와 더욱터 거지는 항공기를 기존 퍼스 도심에 있던 공항에서는 이용이 불가는 하자 군당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콴타스항공과 A N A(Australian National Airways)항공
이거 아니다이 DC-3항공기를 이용하여 민간운행을 시작하며 1944년 '길드 포드 비행장 "(Guildford Aerodrome) 이라는 이름으로 개항했다
- 그렇게 전쟁이 끝나고 1952년 국제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공항명을 '퍼스 국제 공항'으로 바꾸고 증축하였다.
- 1997년 99년 임대로 민영화 되었으며, 2002년 공항이름을 '퍼스 공항'으로 변경하였다.
- 2004년 앞으로 늘어날 초대형 항공기(A380, B747X) 등을 대비하여 공항 개장 60주년을 맞이하여 새롭게 만들었으며, 2007년 3터미널을 준공했다.
- 콴타스가 1 터미널 옆에 3, 4 터미널을 대체할 신터미널과 정비창, 그리고 평행 활주로를 건설하기로 하였다. 그동안의 수요를 처리하기 위하여 젯스타 국내선 항공편을 2 터미널로 옮겨갔고, 3, 4 터미널을 확장하기로 하였다.
3. 공항 정보
퍼스 공항의 지도 | |
1 터미널과 2 터미널이 위치한 동쪽 구역 (중앙 구역) | 3 터미널과 4 터미널이 위치한 서쪽 구역 (콴타스 구역) |
퍼스 공항은 두개의 구역으로 나눠줘 있다. 두 구역을 이동하는데는 고속도로를 경유하여 15분 정도 걸린다. 셔틀 버스가 있으며, 주간에는 20분, 야간에는 30분 정도 걸린다. 이 때문에 국제선과 국내선을 서로 다른 구역에서 취급하던 젯스타는, 국내선이 2 터미널로 이동하면서 환승이 횔씬 간편해 졌다.
1 터미널 국내선과 2 터미널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3 터미널은 4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터미널을 이용하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리저널 항공의 항공편이 2 터미널 게이트를 이용하거나, 4 터미널을 이용하는 콴타스가 3 터미널의 게이트를 이용하는 거는 꽤 자주 일어난다.
1 터미널은 리모델링 전만해도 시골 버스 터미널을 연상시키는(...) 인테리어를 자랑했었지만, 국내선 개장에 맞춘 리모델링후 호주 타 공항과 비교해도 꿀리지 않는 인테리어를 갖게 되었다.
1 터미널 국내선은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이 사용하는 터미널로, 터미널 건물 남쪽 일부분을 체크인, 보안 검사 그리고 수하물 수취대로 점유하고 있다. 게이트와 부대 시설은 주기장쪽에 새로 지어진 탑승동에 있으며, 2 터미널과는 보안 검색대 직후 연결되어 있다.
2 터미널은 FIFO[1]용 터미널로, 대형 대합실에서 모든 항공편을 처리하는게 특징이다. 본래 단거리 국내선만 취급했지만, 파산전 리저널 익스프레스 항공의 보잉 737을 이용한 국내선과 임시적으로 젯스타의 모든 국내선이 발착하고 있다.
3 터미널은 일반 터미널[2]겸 콴타스 국제선 터미널로, 남쪽 게이트를 가벽으로 막고 국제선을 취급할 수 있게 되어있다.
4 터미널은 콴타스 전용 터미널로, 콴타스 라운지가 위치하여 있다.
동쪽 구역에 있는 터미널은 공항선 에어포트 센트럴역에서 무빙워크를 타고 이용할 수 있다. 서쪽 구역에 있는 터미널은 래드클리프역에서 트랜스퍼스의 셔틀 버스를 타야지 이용할 수 있다.
4. 취항 노선
가끔 한국에서는 대한항공이 전세기나 임시편으로 직항을 띄우나 매우 적으며 비싸서 다들 환승을 이용한다.동남아시아 경유가 코로나 판데믹을 지나며 가장 활성화되어서 방콕,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 호치민시 등 동남아시아 주요 공항들에서 환승한다.
애초 이 도시는 시드니보다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 등 동남아시아 남단이 더 가까운 곳이다.
홍콩, 광저우 등 홍콩/중국 본토 등을 경유하는 중국 경유편은 판데믹이 끝난 뒤 이용률이 급감했다.
의외로 옆나라 뉴질랜드 노선은 오클랜드 단 하나밖에 없다. 시드니, 브리즈번, 멜버른 보다 수요가 적고, 운항 스케줄도 좋지 않을 뿐더러 장거리 노선이라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3]
콴타스의 시설 투자 발표와 함께 오클랜드 그리고 요하네스버그행 복항이 발표되었다. 2024년 그리고 2025년에 복항한다고 한다.
4.1. 국제선
4.1.1. 1 터미널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젯스타 | JQ | 덴파사르, 싱가포르, 푸껫, 방콕 |
남아프리카 항공 | SA | 요하네스버그 |
말레이시아 항공 | MH | 쿠알라룸푸르 |
전일본공수 | NH | 도쿄(나리타) |
싱가포르항공 | SQ | 싱가포르(창이) |
에미레이트 항공 | EK | 두바이 |
에어 뉴질랜드 | NZ | 오클랜드 |
에어 모리셔스 | NK | 포트루이스 |
에어아시아 | AK | 쿠알라룸푸르 |
에어아시아 엑스 | D7 | 쿠알라룸푸르 |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 QZ | 덴파사르, 자카르타 |
캐세이퍼시픽항공 | CX | 홍콩 |
타이항공 | TG | 방콕(수완나폼) |
스쿠트 | TR | 싱가포르 |
카타르 항공 | QR | 도하 |
필리핀 항공 | PR | 마닐라 |
비엣젯항공 | VJ | 호찌민 |
베트남항공 | VN | 호찌민 |
타이항공 | TG | 방콕 |
바틱 에어 | ID | 자카르타, 덴파사르 |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 OD | 덴파사르 |
4.1.2. 3 터미널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QF | 런던(히스로), 파리, 로마, 싱가포르, 시드니[4] |
4.2. 국내선
4.2.1. 1 터미널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VA |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케언즈, 다윈, 크리스마스섬, 코코스 제도, 알바니, 아그일, 바리문야, 불기다, 브룸, 버셀톤, 제렐턴, 칼굴리 볼더, 카라타, 쿠다이데리 광산, 이스트 킴벌리(쿠넌라), 레오노라, 뉴먼, 온슬로, 포트 헤들렌드, 웨스트 앙겔레스 |
4.2.2. 2 터미널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JQ |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케언즈 | |
ZL | 알바니, 카나본, 에스퍼렌스 | |
바리문야, 바로우 섬, 버셀톤, 케이프, 프레스턴, 쿤데완나, 칼굴리 볼더, 라버톤, 라인스터, 레오노라, 마블 바, 마운트 캐니트, 온슬로, 텔퍼, 더 그란나이츠 | ||
파일:Nexus_Airlines_(Australia)_logo.png | CT | 제렐턴 |
4.2.3. 4 터미널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QF |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캔버라, 포트 헤들렌드 | |
브룸, 다윈, 제렐턴, 칼굴리 볼더, 카라타, 리어먼트, 뉴먼, 온슬로, 파라버두, 포트 헤들렌드, 웨스트 앙겔레스 |
5. 기타
여기에서 남아공으로 가는 비행기는 몇 달에 한 번 있는 남극 비행을 제외하고 전 세계 노선 중 남극과 가장 가까이 비행하는 노선이다. 남극을 지나는 것은 아니지만 겨울철 유빙한계선 안쪽으로는 들어간다.로블록스 게임인 PTFS(파일럿 트레이닝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에 재현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