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em;"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몽골| | [[북한| | [[홍콩| | [[마카오| | |
[[필리핀| | [[베트남| | [[싱가포르| | [[태국| |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브루나이| | |
[[카자흐스탄| | [[인도| | [[미얀마| | [[네팔| |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우즈베키스탄| | |
[[파키스탄| | [[레바논|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
[[아랍에미리트| | [[오만| | [[요르단| |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아프가니스탄| | [[바레인| | [[투르크메니스탄| | [[이라크| | |
[[시리아| | [[몰디브| | [[타지키스탄| | [[라오스|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
말레이시아 항공 |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Low-cost Carrier (LCC) ||
에어아시아 | 에어아시아 엑스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소형 항공사 Regional Airline | |||||||
MAS윙스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MAS 카고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 ||||||||
}}} }}}}}} |
말레이시아 항공 Malaysia Airlines | ||
| ||
<colbgcolor=#002B5C><colcolor=#fff> 기업명 | Malaysia Airlines | |
말레이시아 항공 | ||
국가 | [[말레이시아|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 연도 | 1947년 5월 1일 ([age(1947-05-01)]주년) | |
항공 동맹 | 원월드 | |
보유 항공기 수 | 76 (2024년 2월) | |
취항지 수 | 64 | |
허브 공항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KUL)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BKI) 쿠칭 국제공항 (KCH) | |
부호 | <colbgcolor=#002B5C><colcolor=#fff> | MALAYSIAN |
MH | ||
MAS | ||
H6 | ||
항공권 식별 번호 | 232 | |
상용 고객 서비스 | Enrich | |
자회사 | 파이어플라이 항공 MAS윙스 MAS 카고 | |
슬로건 | "MH" is Malaysian Hospitality. | |
링크 |
|
에어버스 A350-941 |
[clearfix]
1. 개요
말레이시아의 플래그 캐리어.2. 역사
1937년 말라야 연방에서 말라야 항공으로 설립되었으며 1947년 첫 비행을 했다. 영국의 BOAC와 같은 영연방 국가였던 콴타스 제국 항공의 도움을 받아 DC-3, DC-4, 록히드 컨스텔레이션 시리즈, DH-106등을 보유했었다.1963년 말라야 연방, 영국령 싱가포르와 영국령 사라왁이 말레이시아 연방을 결성하자 말라야 항공도 보르네오 항공을 인수합병하며 사명을 말레이시아 항공으로 변경했다. 1965년 싱가포르가 연방에서 축출되었고 이에 1966년에 사명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SA)으로 변경하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양국 정부가 항공사를 공동으로 소유했다. 같은 해에는 보잉 707과 보잉 737을 구매했다. 하지만 1972년 국제선 확장을 원하는 싱가포르 정부와 국내선 확장을 원하는 말레이시아 정부의 충돌로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은 말레이시아 항공과 싱가포르항공으로 분할되었다.[1]
1972년 10월 1일에 '말레이시아 항공'이라는 별개의 항공사로 다시 운항을 시작했는데 이때 항공사의 아이콘으로 간주되던 회사의 이니셜 MSA의 배열을 일부 변경하여 MAS, 즉 Malaysian Airline Syste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2] 1974년에는 보잉 707로 런던행 노선에 취항했으며 1976년에는 최초의 광동체인 DC-10이 도입되어 보잉 707기를 대신해 런던행 노선에 투입되었다. 1980년대 플라자 합의로 인해 말레이시아는 호황을 맞이했고 이에 맞추어 유럽[3], 중동[4], 호주, 동아시아[5], 남아시아[6], 미국 및 캐나다[7], 아프리카 및 남미[8] 등 세계 곳곳으로 노선을 확대해 나갔다.
하지만 1997년 태국발 아시아 경제 위기를 말레이시아도 피할 수 없었고 말레이시아 항공도 침체기를 맞았다. 이에 브뤼셀, 다윈, 마드리드, 뮌헨, 밴쿠버, 부산, 오사카, 후쿠오카 등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노선을 단항하는 조치를 취했고 이듬해부터 다시 흑자로 돌아섰다. 2005년 새로운 CEO를 임명했고 수익성이 개선되었다. 이에 힘입어 2009년 A330을, 2012년에는 A380과 보잉 737을 도입했다.
2013년 2월에 원월드 가입이 승인됐다. 그러나 2014년 상반기에만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추락 사고,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등 두 번의 큰 사고에 떡실신당하면서 망하기 직전 상황에 몰렸으며 회생안에서 국부펀드에 의한 국영화 전환 가능성이 언급되었고 이후 실제로 실행되었다. 결국 2014년 8월 8일 쿠알라룸푸르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되었다. 또한, 69.7%를 보유하고 있던 말레이시아 국부펀드인 카자나 내셔널이 나머지 주식들을 모두 사들였다. 국영화와 함께 CEO를 교체하고 장거리 노선을 폐지하며 근거리 노선에 집중하는 등 체중 줄이기에 돌입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잇따른 사고과 날이 갈수록 성장하는 에어아시아에 밀려 경영에 심각 타격을 입어 구조조정과 함께 2015년 4월 30일, A380-841 6기 모두와 777-200ER 4기[9], 화물기 등등을 매각한다는 기사가 뜨고 말았다.
2015년 9월 1일 법인명이 Malaysia Airline System (MAS)에서 Malaysia Airlines Berhad(MAB)로 변경되었다.
그런 와중에 2015년 12월에는 에미레이트 항공과 제휴계약을 맺었다.
2016년 10월에 리버풀 FC와 글로벌 파트너쉽 계약을 했다. 계약 기간은 3년이다. 링크
이후 2022년 8월 15일 A330-900을 20대나 주문해 A330-200과 A330-300를 대체하는 것을 확정했다.
2024년 3월 23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글로벌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했다. 맨유는 이 계약을 통해 시즌 당 £4m~5m의 수익을 벌어들일 것으로 보인다. 링크
3. 노선망
전성기 때 미주, 유럽, 중동의 대도시에 취항했으나 경제 위기 이후로 대부분 단항했으며 2014년 발생한 두 건의 사고로 인한 재정 악화와 코로나 19까지 겹쳐 이들 노선에 복항하는 것은 근시일 내로는 불가능할 듯하다.
3.1. 대한민국 노선
1979년 4월 2일 김포 노선에 첫 취항한 이래 현재 인천~쿠알라룸푸르 항공편을 운항 중이며 대개 에어버스 A330-300을 투입하나 아주 가끔씩 A350-900, A330-200도 투입한다. 대한민국 국적 항공사 중에서는 대한항공과 코드셰어를 하고 있다. 아메리칸 항공의 인천~댈러스 노선에도 코드셰어가 걸려 있다.여담으로 인천~쿠알라룸푸르 노선을 한 달에 2~3편 가량 특별한 사유 없이 결항 시킨다. 한 달 전부터 출발 하루 전까지 메일 및 문자 메시지로 안내를 하며 예약을 확인 연락 없이 임의로 하루 전 혹은 하루 뒤로 변경 시키기 때문에 주의 할 필요가 있다.
말레이시아 항공 대한민국 노선 | ||||
쿠알라룸푸르(KUL) → 서울(ICN)/T1(MH66) | 서울(ICN)/T1 → 쿠알라룸푸르(KUL)(MH67) | 기종 | 운행일 | |
23:30(MYT) → 07:10(KST) | 11:00(KST) → 16:35(MYT) | A330-300 | 매일 | |
쿠알라룸푸르(KUL) → 서울(ICN)/T1(MH38) | 서울(ICN)/T1 → 쿠알라룸푸르(KUL)(MH39) | 기종 | 운행일 | |
14:50(MYT) → 22:30(KST) | 00:10(KST) → 05:45(MYT) | A330-300 | 월·목·금·토·일 |
4. 기단
4.1. 보유 기종
- 2025년 상반기 기준 79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42대의 항공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 보유 중인 항공기의 평균 연식은 11.3년이다.
<rowcolor=#fff> 제조사 |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비고 |
에어버스 | A330-200 | 9 | - | |
A330-300 | 15 | - | ||
A330-900 | 1 | 19 | ||
A350-900 | 7 | 3 | ||
보잉 | 737-800 | 42 | - | |
737-8 | 5 | 20 | ||
총합 | 79 | 42 |
<rowcolor=#fff> 말레이시아 항공의 주력 기종인 B737 |
4.2. 이전 보유 기종
5. 서비스
6. 마일리지
1987년 첫 마일리지 프로그램으로 Esteemed Traveler를 도입했다. 1990년대 초, 캐세이퍼시픽, 타이항공, 싱가포르항공과 함께 공동 마일리지 Passages를 도입했었으나 1999년 해체되었다. 2006년 현재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인 Enrich를 도입했다. 마일리지 유효기간은 3년. 원월드 회원사와 에어 프랑스, 에티하드 항공, 에미레이트 항공, KLM 네덜란드 항공, 버진 애틀랜틱 항공, 자회사인 파이어플라이와 MAS윙스는 마일리지 공동 적립이 가능하다.6.1. 기내 안전 비디오
기내 안전 비디오 |
7. 사건 사고
- 말레이시아 항공 6511편 추락 사고: 1964년 3월 22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싱가포르 파야 레바 국제공항[12]으로 가던 511편 DH-106이[13] 경착륙 직후 랜딩 기어가 부러지며 활주로를 이탈했다. 탑승했던 68명 전원은 생존했으나 기체는 상각되었다.
- 말레이시아 항공 653편 추락 사고: 1977년 12월 4일, 페낭 국제공항을 이륙한 653편이 납치범에 의해 추락한 사고. 탑승자 100명 전원 사망.
-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 684편 추락 사고: 1983년 12월 18일, 싱가포르발 수방행 684편 A300[14]이 악천후 속에서 착륙도중 최고 고도 이하로 내려가며 추락했다. 탑승했던 247명 전원은 생존했다.
- 말레이시아 항공 2133편 추락 사고: 1995년 9월 15일, 코타키나발루에서 이륙하여 타와우 공항을 향하던 MH2133편(포커 50)이 타와우 공항에서 랜딩 실수로 승객 승무원 도합 53명 중 34명이 사망한 사고가 났다.
-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2014년 3월 8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이륙하여 베이징으로 가던 MH370편(777-200ER)의 연락이 두절되는 사고가 났고, 현재까지 미스테리로 남아 있다. 승객과 승무원 도합 239명이 타고 있었으며, 사고 1년 후 일부 잔해가 발견되면서 사실상 추락한 것으로 드러나 전원 사망 결론은 거의 확실하다.[15] 아직 원인은 불분명해 미제 사건으로 남아 있다. 현재 쿠알라룸푸르 → 베이징 노선은 MH360으로 편명이 변경됐다.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2014년 7월 17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이륙하여 쿠알라룸푸르로 가던 MH17편(777-200ER)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상공에서 미사일에 맞아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 승객 283명과 승무원 15명을 합쳐 총 298명이 전원 사망했다.[16]
8. 여담
9.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
말레이시아 항공 |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Low-cost Carrier (LCC) ||
에어아시아 | 에어아시아 엑스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소형 항공사 Regional Airline | |||||||
MAS윙스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MAS 카고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 ||||||||
}}} }}}}}} |
[1] 사실 MSA의 국제선 대부분이 싱가포르에서 출발해서 MSA가 맡던 대부분의 국제선은 싱가포르항공이 떠맡게 되었다.[2] 참고로 싱가포르항공도 MSA 이니셜을 유지하려고 'Mercury Singapore Airlines'이라는 사명을 쓰고자 했으나 말레이시아의 광범위한 항의로 무산되었다.[3] 프랑크푸르트, 런던, 파리, 마드리드, 로마 등[4] 베이루트, 카이로, 제다 등[5] 서울, 부산,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베이징 등[6] 델리, 카라치, 다카 등[7] 로스앤젤레스, 밴쿠버 등[8] 부에노스 아이레스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까지 요하네스버그와 케이프타운을 경유해 운행했다. 운행 당시에는 아시아 항공사 중 유일하게 적도 이남 남대서양 횡단 노선을 보유한 항공사였으나 2012~13년경 단항되었다.[9] 사고로 손실한 2대를 제외하고 전량이다.[10] 다시 737 MAX를 주문했으며 그 중 1호기인 9M-MVA가 2023년 11월에 도입되었다.[11] 중고 A380을 인수할 항공사&금융회사가 없다. 영국항공이 관심이 있긴 하나 여기도 은근 거저 가져가고 싶은지 헐값을 불러 못 사고 있었다.[12] 싱가포르 창이 공항이 개항하기 전까지 싱가포르의 관문을 했던 공항이며 현재는 군용 공항이 되었다.[13] BOAC 리스[14] 스칸디나비아 항공 리스[15] 중국남방항공과 코드셰어가 걸려 있다.[16] KLM과 코드셰어가 걸려 있어서 그런지, 네덜란드인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호주인 들이었고 홍콩인 1명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