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4 12:11:27

페데리코 가티


1 페린 파일:부상 아이콘.svgㆍ[[글레이송 브레메르|3 브레메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ㆍ[[페데리코 가티|4 가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ㆍ[[마누엘 로카텔리|5 로카텔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ㆍ6 켈리7 F. 콘세이상8 코프메이너르스
9 블라호비치ㆍ[[케난 일디즈|10 일디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ㆍ11 E. 제그로바14 밀리크 파일:부상 아이콘.svg15 칼룰루16 디그레고리오17 아지치
18 코스티치ㆍ[[케프렌 튀랑|19 튀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ㆍ20 오펜다21 미레티22 맥케니23 핀솔리오24 루가니25 주앙 마리우
27 캄비아소30 J. 데이비드32 카발 파일:부상 아이콘.svg40 로우히
파일:UEFA EURO CRO.png 이고르 투도르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페데리코 가티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AIC_logo.png
베스트팀
파일:세리에 B 로고.svg
}}} ||
파일:GATTI-Federico-463278.webp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유벤투스 FC No. 4
3C
'''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출생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피에몬테주 리볼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 / 체중 80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유스 ASD 칼초 키에리 1955 (~2005)
토리노 FC (2005~2012)
US 알레산드리아 칼초 1912 (2012~2016)
선수 US 알레산드리아 칼초 1912 (2014~2018)
파바롤로 FC (2014~2016 / 임대)
ACSD 살루초 (2016~2017 / 임대)
파바롤로 FC (2017~2018 / 임대)
엘라스 베로나 FC (2018~2020)
아우로라 프로 파트리아 1919 (2020~2021)
프로시노네 칼초 (2021~2022)
유벤투스 FC (2022~ )
프로시노네 칼초 (2022 / 임대)
국가대표 6경기[1] (이탈리아 / 2022~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등번호 이탈리아 대표팀 - 3번, 4번, 6번
프로시노네 칼초 - 6번
유벤투스 FC - 4번, 15번
}}}}}}}}} ||

1. 개요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2.2. 하부 리거 시절2.3. 엘라스 베로나 FC2.4. 프로시노네 칼초2.5. 유벤투스 FC
2.5.1. 2022-23 시즌2.5.2. 2023-24 시즌2.5.3. 2024-25 시즌2.5.4. 2025-26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유벤투스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소속팀의 3주장을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ASD 칼초 키에리에서 축구를 시작한 그는 2005년 토리노 FC 유스팀과의 친선전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서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며 토리노 유스의 눈에 띄게 됐고, 얼마 후 입단했다. 7년간 토리노 유스팀에서 성장하다가 2012년 US 알레산드리아 칼초 유스팀으로 옮겼다.

2.2. 하부 리거 시절

2015년 2월, 파바롤로 1군팀에 콜업되어 성인 무대에 데뷔했으며, 2014-15 시즌 4경기를 출전했다. 다음 시즌부터 정식으로 1군으로 승격된 뒤 27경기 3골을 기록했고, 시즌 최고의 유소년 선수 상을 수상했다. 또한 팀은 5부리그인 에첼렌차로 승격했다.

2016-17 시즌을 앞두고 3부리그 팀인 ACSD 살루초로 임대되었으나, 제한된 기회 조차 부여받지 못한 채 이듬해 1월 중순 다시 파바롤로로 복귀했다. 파바롤로로 돌아온 뒤에는 다시 주전으로 뛰며 2016-17 시즌 31경기 8골을 기록했고, 강등 탈출을 기여했다.

2017-18 시즌에는 팀의 재정난 문제로 1군 선수들이 경기를 뛰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유스팀이 대거 1군으로 승격했다. 그는 팀에서 가장 키가 큰 선수였기 때문에 기존의 포지션인 미드필더에서 수비수로 전향하여 활약했다. 그러나 팀은 전력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6부리그로 강등됐다.

2.3. 엘라스 베로나 FC

지난 시즌 수비수로서 재능을 보인 그를 커리어 대비 상위 클럽인 엘라스 베로나 FC가 눈여겨 봤고, 2018년 여름 베로나로 이적했다. 2018-19 시즌 34경기에 나섰지만 별 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고, 재계약에 실패해 FA로 하위권 클럽인 아우로라 프로 파트리아 1919로 이적 하게 되었다.

2020년 중반, 계약기간을 1년 정도 남기고 세리에 C아우로라 프로 파트리아 1919로 이적 하였다. 파트리아에서 주전 센터백으로 뛰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기여했으나,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유벤투스 U23을 만나 1:3으로 패하며 세리에 B 승격 도전을 마무리했다.

2.4. 프로시노네 칼초

파일:Gatti_Frosinone.jpg
세리에 B 18라운드 SPAL전에서 득점에 성공한 후 기뻐하는 모습

2021년 여름, 세리에 B의 프로시노네에 입단했다. 25만 유로에 계약기간은 4년이다. 그는 8월 15일, 베네치아와의 코파 이탈리아 경기를 통해 데뷔전을 치렀으며, 팀은 1:1 무승부로 정규시간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한 채 승부차기로 넘어가 8:7로 패했다.

주전 센터백으로 나서 전반기 동안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며 반 시즌만에 세리에 B 탑 수비수로 거듭났다. 그리고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유벤투스가 그에게 관심을 보였다.

겨울 이적시장 마감을 앞두고 유벤투스로 이적한 뒤 남은 2021-22 시즌 동안 프로시노네 유니폼을 입고 후반기에도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며 컵대회 포함 36경기에 나서 5골을 기록했다. 그리고 시즌이 끝난 뒤 세리에 B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2.5. 유벤투스 FC

파일:Gatti_Juve_1.jpg
자국의 명문 유벤투스에 입단한 가티

2022년 1월 31일, 유소년 시절 그가 지냈던 토리노 FC의 라이벌팀인 유벤투스로 영입을 확정지었다. 4년 반 계약이며, 750만 유로에 + 옵션 250만 유로라고 한다. 그리고 남은 시즌 동안은 프로시노네로 재임대되었다. 5년 전만 하더라도 축구 선수와 벽돌공 투잡을 뛰며 일했던 그가 이제는 이탈리아 최고의 명문 축구클럽인 유벤투스에 입단하는 신데렐라 스토리가 쓰여지게 되었다.

2.5.1. 2022-23 시즌

파일:Screenshot-2023-04-13-at-21.49.13.png

시즌을 앞두고 등번호를 안드레아 바르찰리가 쓰던 15번으로 배정받았다.

리그 4R 스페치아 칼초전에서 선발출전하여 세리에 A유벤투스 소속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2:0으로 승리했다.

팀이 쓰리백을 쓰고 있음에도, 전문 센터백이 아닌 다닐루, 알렉스 산드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리고 있고, 주로 교체로 출전 중이다. 빌드업 시 부정확한 패스가 잦은 모습을 보인다. 그래도 다니엘레 루가니에 비하면 선녀라는 평이 우세하다..

리그 27R 데르비 디탈리아에서 선발 출전, 본인의 장점인 적극적 수비와, 향상된 빌드업 능력을 선보이며 대활약했다. 팀은 필립 코스티치의 결승골로 1:0 승리.

2023년 들어 주전으로 나서고 있다. 매 경기 투지 있는 모습과 좋은 수비를 보여주며 수비의 중심이 되어가는 중. 조르조 키엘리니의 후계자가 나왔다는 평가를 받으며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UEFA 유로파 리그 8강 스포르팅 CP 전 또한 선발 출전. 코너킥 상황에서 두샨 블라호비치의 헤더 패스를 받아 결승골을 기록했다.

UEFA 유로파 리그 4강 1차전 세비야 FC와의 경기에서 0:1로 패색이 짙던 후반 추가시간 7분에 폴 포그바의 헤딩 패스를 받아, 극적인 동점 라스트 미닛 골로 마무리하며 팀의 패배를 막아냈다.

2.5.2. 2023-24 시즌

등번호를 15번에서 4번으로 변경했다.

5R 사수올로 원정에서 역사에 남을 만한 최악의 자책골을 기록했다. 프리킥 이후 슈체즈니의 패스를 받고 슈체즈니에 리턴 패스를 했으나 슈체즈니가 골대를 비우고 나온 상황이라 그대로 골문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슈체즈니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고 백패스를 준 것이었다. 결국 팀은 2:4로 패했다.

10월 25일, 유벤투스와 2028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사수올로전 이후에는 각성했고, 유벤투스는 현재 리그 2위에 올라와있다.

그러나 인테르전 마르쿠스 튀랑을 막으려 하다가 또다시 자책골을 넣게 되었다. 이 때문에 0:1로 패해 우승경쟁에서 뒤처졌다.

시즌이 갈수록 불안한 수비력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격에 과도하게 참여하는 모습도 보인다. 다음 시즌 확고한 주전이 되려면 한단계 스텝업이 필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일단 이번 시즌은 리그 32경기 중 30경기를 선발로 출전하면서 주전으로 뛰었고, 골도 4골이나 기록하며 수비수치고 좋은 득점력을 보여주었으나 전술했듯이 후반기에 보여준 불안한 수비력이 개선되지 않으면 다음 시즌도 주전으로 출전한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에 분발이 요구된다.

2.5.3. 2024-25 시즌

여름 내내 계속해서 뉴캐슬 유나이티드의 관심을 받고 있으나 새로 부임한 티아고 모타 감독은 가티를 지키고 싶어한다는 보도가 나오며 잔류가 유력할 것으로 보이며, 잔류할 시 브레메르의 백업 혹은 우측 풀백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리그 1R 코모전에 주장으로 출전하여 준수한 실력과 함께 팀의 3:0 승리를 견인했다.

2R 베로나전에서도 주장으로 출전한 것으로 보아 부주장으로 낙점받은 듯 하다.

3R AS 로마전 선발 출전, 조르조 키엘리니의 향수를 느끼게 하는 완벽한 수비를 보여주었다. 단점으로 뽑히던 불안한 수비 실력을 확실히 보완한 모습. 경기 후 MOM에 선정되었다.

4R 엠폴리 FC전에서도 혼자서 수비진을 캐리했다. 경기는 0:0무승부. 팀의 4라운드 무실점을 이끌고 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PSV 에인트호번전에서도 주장 완장을 달고 출전해 흠잡을 데 없는 수비를 보여준 후 후반전 주장 다닐루와 교체되었다.

이후 부상으로 2주 결장하게 되었다. 다행히 피에르 칼룰루가 그 자리를 잘 메워주고 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RB 라이프치히 원정에서 전반 6분 부상으로 아웃된 글레이송 브레메르와 교체되어 출전하며 복귀, 안정적인 수비로 팀의 3:2 승리를 도왔다.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준결승 AC 밀란전에서 1:1로 비기던 후반 29분 상대팀 유누스 무사의 크로스를 걷어내려다가 굴절되어 같은 팀 골대에 넣어버리며 자책골을 기록했고 유벤투스는 1:2로 패하며 탈락했다.

UCL 16강 플레이오프 PSV 에인트호번과의 경기에서 효과적인 전진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뛰어난 인터셉트를 연속해서 성공하며 웨스턴 맥케니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했다.

2025년 7월 23일, 유벤투스와 2030년 6월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2.5.4. 2025-26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프로시노네에서 이름을 알리기 전까지는 철저한 무명선수였으며, 연령대 대표팀 경력도 없었다. 프로시노네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2022년 5월, A매치를 앞두고 아주리 대표팀에 발탁되는 영광을 누리게 됐다. 그리고 6월 11일 잉글랜드를 상대로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 선발로 출전,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으며, 경기 내내 해리 케인을 포함한 잉글랜드의 공격진들을 상대로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었다.

UEFA 유로 2024를 앞두고 스칼비니아체르비가 부상으로 아웃되면서 유로 본선에 출전하게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가티는 수비수임에도 후방에서부터 전진해 공격에 가담하는 플레이를 즐기는 수비수다. 21-22 세리에 B에서는 35경기 5골 2도움, 2023-24 시즌 세리에 A 32경기 4득점을 기록할 만큼 공격 포인트 양산 빈도가 센터백으로서 높은 축에 속한다.

수비에 있어서도 본인의 전진 본능을 유감없이 드러내는 파이터형 센터백으로, 상대에게 적극적으로 달라붙어서 압박하는 1대1 대인 수비를 구사한다. 대인 수비 상황에서 상대를 끝까지 따라가서 끊어내는 클리어링과 과격한 태클로 공을 끊어내는 허슬 플레이를 펼친다.

2021-22 시즌 세리에 B에서는 옐로카드를 12장 받았을 만큼 자칫 위험한 수비로 인한 경고 관리 능력에 있어 부족한 모습을 보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가티의 불안 요소 중 하나다. 기본적인 수비 성향이 도전적이며, 본인이 수비 실책을 저질렀을 때 후방으로 복귀하거나 상대를 따라가는 움직임이 둔하기에, 더욱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2024-25 시즌에는 수비진을 비롯한 팀 전체의 리더로서 활약하면서 수비력에 있어서도 한 단계 스텝업한 모습을 주었지만, 후반기가 갈수록 경기력의 기복이 발생했다.

가티는 190대의 큰 키를 갖춘 덕분에 경합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독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는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세리에 B 시절부터 세리에 A에서도 그의 제공권 장악력은 단점이 되지 않았지만, 유벤투스 이적 후로는 가티가 공중볼을 받는 상황에서는 소유권을 되찾아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투박한 발밑 역시 가티의 대표적인 단점 중 하나다. 물론, 성향 자체가 공격적이고 본인이 공을 가지고 운반하는 플레이를 즐긴다는 점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패스 전개에 있어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에는 미숙하여 센터백으로서 1차적인 볼 배급에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백패스를 보내려다가 빈 골문에 자책골을 기록하기도 하는 등의 어처구니없는 패스 미스가 종종 발생한다.

위의 단점들은 탑클래스 센터백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하는 단점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e5e5e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핑크).svg
유벤투스 FC
2025-26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벤투스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Perin 2024-25.webp
파일:Bremer 2024-25.webp
파일:Gatti 2024-25.webp
파일:Locatelli 2024-25.webp
파일:Kelly 2024-25.webp
1
3
4
5
6
마티아 페린
Mattia Perin
파일:UEFA EURO ITA.png | GK
188cm | 77kg | [age(1992-11-10)]세
2018~2027
글레이송 브레메르[[부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 페데리코 가티[[3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 마누엘 로카텔리[[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 로이드 켈리
Lloyd Kelly
파일:UEFA EURO ENG.png | DF
190cm | 78kg | [age(1998-10-01)]세
2025~2029
파일:Conceição 2024-25.webp
파일:Koopmeiners 2024-25.webp
파일:Vlahović 2024-25.webp
파일:Yildiz 2024-25.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7
8
9
10
11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Francisco Conceição
파일:UEFA EURO POR.png | FW
170cm | 64kg | [age(2002-12-14)]세
2025~2030
퇸 코프메이너르스
Teun Koopmeiners
파일:UEFA EURO NED.png | MF
184cm | 77kg | [age(1998-02-08)]세
2024~2029
두샨 블라호비치
Dušan Vlahović
파일:UEFA EURO SRB.png | FW
190cm | 85kg | [age(2000-01-28)]세
2022~2026
케난 일디즈[[3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 에돈 제그로바
Edon Zhegrova
파일:UEFA EURO KOS.png | FW
181cm | 72kg | [age(1999-03-31)]세
2025~2030
파일:Milik 2024-25.webp
파일:Kalulu 2024-25.webp
파일:Di Gregorio 2024-25.webp
파일:Adžić 2024-25.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14
15
16
17
18
아르카디우스 밀리크
Arkadiusz Milik
파일:UEFA EURO POL.png | FW
186cm | 80kg | [age(1994-02-28)]세
2022~2027
피에르 칼룰루
Pierre Kalulu
파일:UEFA EURO FRA.png | DF
184cm | 80kg | [age(2000-06-05)]세
2025~2029
미켈레 디그레고리오
Michele Di Gregorio
파일:UEFA EURO ITA.png | GK
187cm | 81kg | [age(1997-07-27)]세
2025~2029
바실리예 아지치
Vasilije Adžić
파일:UEFA EURO MNE.png | MF
185cm | 79kg | [age(2006-05-12)]세
2024~2027
필립 코스티치
Filip Kostić
파일:UEFA EURO SRB.png | MF
184cm | 84kg | [age(1992-11-01)]세
2022~2026
파일:K. Thuram 2024-25.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파일:McKennie 2024-25.webp
파일:Pinsoglio 2024-25.webp
19
20
21
22
23
케프랑 튀랑[[3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BB5BE; font-size: .8em" 로이스 오펜다
Loïs Openda
파일:UEFA EURO BEL.png | FW
177cm | 75kg | [age(2000-02-16)]세
2025~2026
[1]
파비오 미레티
Fabio Miretti
파일:UEFA EURO ITA.png | MF
180cm | 75kg | [age(2003-08-03)]세
2022~2028
웨스턴 맥케니
Weston McKennie
파일:UEFA USA.png | MF
185cm | 84kg | [age(1998-08-28)]세
2021~2026
카를로 핀솔리오
Carlo Pinsoglio
파일:UEFA EURO ITA.png | GK
194cm | 85kg | [age(1990-03-16)]세
2014~2026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파일:Cambiaso 2024-25.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 납작.svg
파일:Cabal 2024-25.webp
24
25
27
30
32
다니엘레 루가니
Daniele Rugani
파일:UEFA EURO ITA.png | DF
190cm | 85kg | [age(1994-07-29)]세
2013~2026
주앙 마리우
João Mário
파일:UEFA EURO POR.png | MF
178cm | 70kg | [age(2000-01-30)]세
2025~2030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파일:UEFA EURO ITA.png | MF
182cm | 74kg | [age(2000-02-20)]세
2022~2029
조너선 데이비드
Jonathan David
파일:UEFA CAN.png | FW
178cm | 81kg | [age(2000-01-14)]세
2025~2030
후안 카발
Juan Cabal
파일:UEFA COL.png | DF
186cm | 76kg | [age(2001-01-08)]세
2024~2029
구단 정보
파일:UEFA EURO ITA.png 아녤리 가문
파일:UEFA EURO CRO.png 이고르 투도르
알리안츠 스타디움
출처: Juventus.com, transfermarkt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3일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RB 라이프치히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홈).svg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 GK 1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주장 아이콘.svg
(Gianluigi Donnarumma)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7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2 알렉스 메렛
(Alex Meret)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4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DF 2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3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3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9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16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1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3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2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50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23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MF 5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8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2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30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65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22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42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1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5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20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11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토)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25년 9월 9일(화) 원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돈나룸마 · 2 디 로렌초 · 3 디마르코 · 4 부온조르노 · 5 칼라피오리 · 6 가티 · 7 프라테시 · 8 조르지뉴 · 9 스카마카
10 펠레그리니 · 11 라스파도리 · 12 비카리오 · 13 다르미안 · 14 키에사 · 15 벨라노바 · 16 크리스탄테 · 17 만치니
18 바렐라 · 19 레테기 · 20 자카니 · 21 파지올리 · 22 엘샤라위 · 23 바스토니 · 24 캄비아소 · 25 폴로룬쇼 · 26 메렛
파일:UEFA EURO ITA.png 루치아노 스팔레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도메니치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사보라니

[1] 2025년 3월 24일 기준[2] 훈련을 마친 뒤 밤 11시에 저녁 식사 후 다음 날 새벽 3시~4시 사이에 기상하여 하루를 시작했다고 한다. 고된 일정이었지만 본인의 굉장한 노력으로 이겨낼 수 있었던 것.[3] 두 팀은 지역 라이벌 관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