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20:48:56

프로듀스 101 시리즈

프듀에서 넘어옴
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시리즈
파일:프로듀스 101 로고 화이트.svg
(2016)
파일:프로듀스 101 시즌2 로고 화이트.svg
(2017)
파일:프로듀스 48 로고 화이트.svg
(2018)
파일:프로듀스 X 101 로고 화이트.svg
(2019)
아이오아이 IZ*ONE X1
해외 시리즈
파일:창조 101 로고 화이트.svg
파일:중국 국기.svg (2018)
파일:PRODUCE 101 JAPAN 로고 화이트.svg
파일:일본 국기.svg (2019)
파일:PRODUCE 101 JAPAN SEASON2 로고 화이트.svg
파일:일본 국기.svg (2021)
파일:프듀재팬더걸즈 화이트.svg
파일:일본 국기.svg (2023)
JO1 INI ME:I
관련 문서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사건 진행 상황) | 출신 가수 | 참여 기획사 | 창조 시리즈 }}}}}}}}}


1. 개요2. 상세3. 방영 시즌 목록4. 프로젝트 그룹
4.1. 파생 프로젝트 그룹
5. 참여 기획사6. 공식 주제가7. 진행 방식8. 조작 사건9. 여담
9.1. 조작 사건 이후

1. 개요

CJ ENM의 음악 전문 채널인 엠넷(Mnet)에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방영했던 아이돌 서바이벌 시리즈.

2. 상세

사람마다 프로듀스 백일, 프로듀스 일공일 등 다양하게 불리지만 공식 명칭은 프로듀스 원오원이다. 제목인 프로듀스 101에서 101은 '출연 연습생들의 전체 인원 수'와 동시에 '입문 수업'을 의미한다. 본래 '원-오-원'은 미국에서 대학 간의 학부과정을 손쉽게 비교하기 위하여 주 단위로 표준번호를 부여하는 체계에서 비롯했는데, 여기서 맨 앞번호는 난이도나 학위수준을, 뒤따르는 번호는 해당 전공분야 내의 주제나 단계를 나타낸다. 즉, 101은 난이도 1 + 01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말인 즉 일반적으로 '입문 수업'을 뜻하게 된다.[1] 여기에서 유래하여 초보자들을 위해 차근차근 가르쳐주는 설명을 비유적으로 101을 붙여서 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Art 101이라면 미술을 기초부터 배우는 것이다. 커트 코베인의 유서에는 펑크 록 코스 101이라는 말이 나온다. 영화 건축학개론의 영문 타이틀명 또한 깔끔하게 Architecture 101.

대한민국에 아이돌 오디션 신드롬을 일으킨 자타공인 엠넷 간판 프로그램으로 평가받았다. 악마의 편집과 분량 차별 등 수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오디션 프로그램 중 최강의 화제성을 자랑했고, 그 결과 아이돌 오디션 시리즈 중 유일하게 시즌제 런칭에 성공하여 시즌 4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특히 아이오아이Wanna One, IZ*ONE은 당대 아이돌 판에서 괄목할만한 성적을 남기며 시리즈의 명성에 큰 보탬이 되었다. 심지어 프로그램의 판권이 정식으로 중국과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중국의 창조 101을 통해 데뷔한 화전소녀101은 중국 최고의 걸그룹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 진부한 장르로 취급받으며 쇠퇴기에 접어든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중 거의 유일하게 흥행을 이어 나가다시피했고, 이로 인해 사실상 아이돌 서바이벌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던 프로그램이었다.

하지만 2019년 10월부터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의 경과를 통해서 모든 시즌의 제작 과정에서 조작과 불법 청탁 등으로 얼룩져 있었음이 드러났다. 시청자의 참여를 모토로 세운 프로그램임에도 모든 시즌에서 조작 행위가 드러나 안준영 PD 등 관련자들이 법적 처벌을 받는 등 불미스러운 소식이 전해지면서 향후 후속 시즌 제작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즉, 4년동안 국민 프로듀서 및 시청자들을 기만한 대중문화의 흑역사가 되어버린 대국민 사기극 프로그램으로 전락해 버리면서 그동안의 모든 성과가 퇴색될 위기를 맞았으며, 결국 2020년 1월 6일, X1이 조기 해체하였고, 2021년 4월 29일,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프로듀스 그룹인 IZ*ONE까지 계약 연장 없이 활동을 종료하면서 프로듀스 시리즈의 잔재가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이름과 규칙 몇가지[2]만 손본 플래닛시리즈가 정신적 후속작으로서 명맥을 이어가는 중이다. 상술한 논란 등으로 인해 프로듀스 시리즈의 화제성엔 미치지 못할지라도, 전국민을 열광시킨 포맷을 이어간다는 점과 아이돌 오디션의 본고장이라는 타이틀 덕에 2020년 이후 방영한 타 오디션 프로그램에 비하면 준수한 성과를 거두는 중이다.

3. 방영 시즌 목록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국내 방영 시즌 목록
파일:프로듀스 101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즌2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48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X 101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해외 방영 시즌 목록
파일:창조 101 로고 화이트.svg 파일:PRODUCE 101 JAPAN 로고 화이트.svg 파일:PRODUCE 101 JAPAN SEASON2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듀재팬더걸즈 화이트.svg

4. 프로젝트 그룹

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프로젝트 그룹
SEASON 1
(2016)
SEASON 2
(2017)
48
(2018)
X 101
(2019)
[[아이오아이|
아이오아이
]]
[[Wanna One|
Wanna One
]]
[[IZ*ONE|
IZ*ONE
]]
[[X1|
X1
]]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해외 결성 그룹
파일:중국 국기.svg 창조 101 파일:일본 국기.svg JAPAN 파일:일본 국기.svg SEASON2 파일:일본 국기.svg THE GIRLS
[[화전소녀 101|
화전소녀 101
]]
[[JO1|
JO1
]]
[[INI|
INI
]]
[[ME:I|
ME:I
]]

4.1. 파생 프로젝트 그룹

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파생 그룹
SEASON 1
(2016)
SEASON 2
(2017)



프로듀스 101 시리즈 매시즌마다 방영 종료 후 시청자들이 탈락 연습생[6]을 조합하여 프로젝트 그룹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탈락 연습생 조합을 밀어 파생 그룹으로 데뷔시키는 소위 'I.B.I'롤을 노리는 것인데 JBJ의 경우 순위와 인지도가 파이널 탈락 연습생에 비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간판 파생 그룹이라는 효과로 인해 더 많은 인기를 누렸었다. 그룹명은 공통적으로 시즌1 데뷔그룹인 아이오아이를 패러디하여 약간의 자학적인 개그 소재를 넣었다.[7] 두 그룹 모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총괄 매니지먼트를 받아 활동하였다.

시즌1, 시즌2는 각각 I.B.IJBJ(+RAINZ, YDPP[8])를 데뷔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나 프로듀스 48YBY[9]는 일본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인 연습생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프로듀스 X 101바이나인[10]은 광고 모금에 무려 1억 원이 넘는 금액이 모금되며 엄청난 팬덤의 화력을 과시했지만 결성 4일 만에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차기 신인 그룹인 CRAVITY의 론칭을 공식화하며 간접적인 합류 거절 의사를 표시했고 뒤이어 울림엔터테인먼트도 마찬가지로 신인 그룹 DRIPPIN을 론칭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이후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이 공론화되며 팬덤이 완전히 흩어지게 되며 불발되었다.당시 바이나인의 상황

그렇게 프로듀스 48, 프로듀스 X 101에서의 파생 프로젝트 그룹이 불발되고 JBJ의 해체 이후 5년 만에 사실상 프듀 시즌6라고 볼 수 있는 보이즈플래닛에서 EVNNE이 데뷔하며 프로젝트성 파생 그룹이 부활했다. 하지만 I.B.IJBJ와는 다르게 소속사간 내부 협의를 통해 그룹이 구성되었으며 데뷔조 ZEROBASEONE이 활동하는 계약 기간 동안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한 차기 신인 데뷔조에 해당하는 연습생을 프로젝트 그룹으로 활동시켜 팬덤 이탈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아 파생 그룹이라는 점만 같지 사실상 이전 파생 그룹과 본질은 전혀 다르다.

이러한 팬덤이 멤버를 조합하고 프로젝트 그룹을 데뷔시킨다는 점은 이후 엠넷에서 방영한 퀸덤 퍼즐과 유사한 점이 있다.

5. 참여 기획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듀스 101 시리즈/참여 기획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공식 주제가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공식 주제가 & 센터
48 X 101
PICK ME
나야 나
_지마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해외 시리즈 공식 주제가 & 센터
파일:중국 국기.svg 창조 101 파일:일본 국기.svg JAPAN 파일:일본 국기.svg SEASON2 파일:일본 국기.svg THE GIRLS
创造101

7. 진행 방식

7.1. 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2, 프로듀스 48, 프로듀스 X 101, PRODUCE 101 JAPAN THE GIRLS

시즌별로 방식의 변화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아래의 큰 틀 안에서 진행된다.

7.2. PRODUCE 101 JAPAN

7.3. PRODUCE 101 JAPAN SEASON2

8. 조작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프로듀스 X 101의 파이널 생방송에서 순위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단순한 의혹 제기에서 시작된 이 논란이 점점 커지면서 공론화되기 시작하였고, 논란 속에 데뷔를 강행한 X1은 활동 기간 내내 지상파 출연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해당 논란은 프로듀스의 앞선 세 시즌으로까지 번져 나가기 시작하였다. 결국 제작진 측이 순위 조작을 시인하였다.

이 사건의 여파로, 프로듀스 101 시리즈로 데뷔한 IZ*ONEX1의 모든 활동이 중단되었고 X1은 공식 해체되었다.[23] 엠넷에서는 프로듀스 101의 모든 시리즈의 공식 홈페이지와 다시보기 서비스를 삭제 및 중단해 사실상 해당 프로그램 브랜드를 폐기시킨 것이나 다름 없게 되었다.[24]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국민 프로듀서'를 표방하며 공정한 심사를 내세웠으나, 4년여 동안 4개 시즌에 걸쳐 시청자 투표 결과 및 순위를 조작해 시청자와 참가자를 기만한 책임이 매우 크다며, 최고 수위 징계인 과징금을 부과했다.

담당 재판부에서 공식 발표한 투표 조작 피해자는 시즌 1 2명(1차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김수현과 서혜린), 시즌 2 2명(1차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성현우,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강동호), 시즌 3 2명(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이가은과 한초원), 시즌 4 6명(1차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앙자르데 디모데, 3차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이진우와 김국헌,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탈락한 구정모, 이진혁, 금동현) 총 12명이다. 이들 중 데뷔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최상위권에 있었음에도 탈락한 연습생은 시즌 2의 강동호, 시즌 3의 이가은, 한초원, 시즌 4의 구정모, 이진혁, 금동현이다. 시즌 3 당시 이가은과 한초원의 최종 순위는 각각 5위와 6위였고, 시즌 4에선 구정모, 이진혁, 금동현의 최종 순위는 각각 6위, 7위, 8위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시즌 2는 강동호의 실제 최종 순위를 명시하지 않았다.

9. 여담

9.1. 조작 사건 이후



[1] 국내의 많은 대학교에서도 이런 형식을 따온 학수번호 체계를 도입했다. 예를 들면, 고려대학교에서는 전공별로 다른 대문자 4개 뒤에 3자리수로 학수번호가 매겨져 있다. 그리고 맨 앞 번호는 이수 권장 학년, 뒤따르는 번호는 전공분야 내 주제 및 단계를 의미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미국과 같다.[2] 대표적으로 국내:해외 투표 반영비 50:50 보정 룰이 있다. 2020년 이후 한국 팬덤 수에 비해 외국 팬덤 수가 압도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자칫하다간 한국 팬덤의 의견이 소외될 위험이 있어 도입된 룰이다.[3] 텐센트CJ ENM으로부터 판권을 사들여 제작했다. CJ측이 한 건 한국인 스탭 참여 등 제작지원 뿐. 종영 이후 후속작들은 전부 창조영(CHUANG)으로 변경되었다.[4] 4번째 시즌인 창조영 2021을 끝으로 중국 내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이 전면 금지되면서 한국 시리즈에 이어서 사실상 폐기될 했다가, 2023년 태국으로 타깃을 변경하여 2024년부터 CHUANG ASIA THAILAND라는 이름으로 창조 시리즈의 방영을 재개했다.[5] 이쪽은 아예 CJ ENM이 공동제작에 참여했다.[6] I.B.I의 경우 파이널 생방송 탈락자, JBJ의 경우 3차 순위 발표식 탈락자[7] I.B.I의 경우 아이돌 데뷔에 실패했다는 의미의 일반인의 약자이며 JBJ의 경우 탈락 커트라인에 아슬아슬하게 걸쳐있는 연습생들을 일컫는 은어인 정병존에서 유래되었다. 데뷔 이후 I Believe It과 Just Be Joyful로 세탁하긴 했지만[8] 다만 YDPP는 PEPSI X STARSHIP PROJECT을 목적으로 결성한 그룹이다.[9] 김나영, 김도아, 김시현, 왕이런, 시로마 미루, 타카하시 쥬리로 3차 순발식 탈락자 중 6명이다.[10] 이진혁, 구정모, 금동현, 송유빈, 황윤성, 김민규, 이세진, 함원진, 토니로 파이널 생방송 탈락자 전원이다.[11] 프듀X 시즌에서는 X등급이 있었다.[12] 시즌 1 때에는 A등급 연습생들에게 그룹 배틀 평가 조원을 꾸릴 수 있는 기회까지 주어졌었다.[13] 시즌 1 때에는 10팀의 데뷔곡이었고, 시즌 2와 48은 8팀의 데뷔곡과 히트곡을 섞어 선정했다. THE GIRLS의 경우 한국 아이돌 그룹 5팀의 히트곡과 일본 아이돌 그룹 3팀의 히트곡으로 진행되었다.[14] 시즌 1은 61명, 시즌 2와 X 101은 60명, 48은 58명. THE GIRLS는 50명으로 시리즈 중 가장 적다.[15] 프로듀스 48은 보컬과 랩 포지션이 통합되었고, X 101은 두 포지션을 결합한 X 포지션(보컬X댄스와 랩X댄스)이 추가되었다. 일본판인 THE GIRLS의 경우 랩 포지션은 보컬도 일부 수행해야 하는 랩&보컬 포지션으로 진행되었다.[16] 시즌 1과 2, THE GIRLS는 35명, 48은 30명, X 101은 31명[17] 프로듀스 48은 6곡, 나머지 시즌은 5곡[18] 정원이 초과된 곡은 연습생 자체 투표를 실시, 표를 적게 받은 연습생이 방출되어 결원이 발생한 다른 곡으로 이동한다. 프로듀스 X 101에서는 2차 순위 발표식에서 방출된 연습생을 대상으로 X 부활전을 실시, 부활한 1명이 추가로 합류했다.[19] 시즌 1은 22명, 나머지 시즌은 20명[20] 시즌 1은 단체곡 1곡, 나머지 시즌은 10명이 한 팀으로 2곡[스포일러] 그러나 모든 시즌은 사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제작진에 의해 결과가 조작되어 있었으며, 프로듀스 48프로듀스 X 101은 이미 데뷔 멤버는 물론, 상위 20등까지 순위가 미리 결정되어 있었다.[22] 정원이 초과된 곡은 연습생 자체 투표를 실시, 표를 적게 받은 연습생이 방출되어 결원이 발생한 다른 곡으로 이동한다.[23] 반면 IZ*ONE은 활동을 재개했다.[24] 네이버에는 아직 주요 영상이 남아있다.[25] I-LAND 시리즈의 경우 참가자 수나 결성된 그룹이 영구적으로 지속된다는 점 등에서 프로듀스 시리즈보다는 소년24아이돌학교와 유사한 점이 많고, 프로듀스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플래닛시리즈라고 보는게 적합하다.[26] 다만 이렇게 플래닛시리즈가 걸플 때는 프듀 장면을 인용하는 장면이 거의 없고, 보플이 되어서야 갑자기 후속작 인증을 하듯 프듀의 장면들을 대놓고 인용하는 모습이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이럴거면 차라리 투표 시스템을 상술했듯 타 회사 플랫폼, 타 회계법인 등에 맡기고 다시 프로듀스 시리즈를 부활하는 게 어떻냐는 목소리도 나오는 중이다.[27] 실제로 시즌 4를 제외한 나머지 시즌 1, 시즌 2, 시즌 3의 타이틀 곡들을 들어가보면 댓글창에 이런 반응들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28] 물론 당시 사건의 심각성을 생각하면, 안준영을 메인 PD로 내세울 가능성은 매우 적다. 플래닛 시리즈를 담당한 김신영 PD 및 또다른 엠넷 피디들을 내세울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