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07-21 13:02:41

프란츠-요제프 베렌브로크


파일:Franz-Josef_Beerenbrock.jpg
프란츠-요제프 베렌브로크(Franz-Josef Beerenbrock : 1920. 4. 9~2004. 12. 13)

1. 대공포 부대에서2. 신들린 격추 행진3. 첫 피탄이 마지막4. 포로 생활5. 배신자의 낙인6. 서훈

1. 대공포 부대에서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인 1920년 4월 9일, "운하의 도시"로 불리는 베스트팔렌주의 다텔른(Datteln)에서 태어났다.

나치당이 모든 정권을 손에 넣은 후 새로 제정한 징병 연령인 18세가 된 프란츠는 1938년루프트바페에 입대하여 신병훈련소를 나와 10월 1일에 대공포 부대에 배속되었지만, 이왕 공군에 온 바에야 조종사가 되겠다고 마음 먹고 전출 신청서를 냈다. 1939년 봄부터 루프트바페의 혹독하면서도 체계적인 조종사 훈련을 받게된 베렌브로크는 하사 계급장을 달고 1941년 3월자로 제51전투항공단(JG 51) 제12비행중대에 보충 병력으로 편입되었다. 그로부터 석 달 후인 6월 24일에 소련 공군의 투폴레프 SB 폭격기 편대를 발견하고 끈질기게 추격해 2대를 격추한 것이 그의 첫 전과였다. 부대원들은 그를 치하하고 신참의 첫 격추를 축하해주었지만, 그렇다고 말단 비행병인 그에게 교전권이 우선적으로 주어지기에는 까마득한 상관들과 날고 기는 선임 조종사들이 너무 즐비했다.

2. 신들린 격추 행진

카를-고트프리트 노르트만(Karl-Gottfried Nordmann : 78기 격추) 대위의 윙맨으로 복무하던 그는 7월까지 자신의 스코어를 13대로 늘려놓았다. 그제서야 윙맨을 이끌 자격을 얻고 자유 요격 권리를 갖게 된 그는 8월에 제4중대로 이적했고, 곧바로 교전에 임하면서 8월 30일까지 한달간 무려 40대나 격추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상사로 승진한 베렌브로크는 10월 6일에는 2기를 더했고 그 전공으로 기사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2월 6일까지 그의 격추 기록은 50대가 되어 있었지만, 베렌브로크 상사의 활약은 그후로도 계속되었다.

베렌브로크는 1942년 8월 1일에 단 하루만에 9대를 격추하면서 독일 공군 파일럿을 통틀어 15번째로 100기 격추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정예 부대인 JG 51에서도 그 무렵 기준으로는 톱건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하루에 9대 격추로부터 이틀 후인 8월 3일에 총통에게 불려간 그는 곡엽기사철십자 훈장을 받으면서 그 자리에서 소위로 승진하게 된다.

3. 첫 피탄이 마지막

지휘관이 되기에 충분한 전투력을 인정받은 그는 11월에 중위 계급장이 주어지며 JG 51 제10비행중대장이 되었다. 11월 9일, 숫적으로 우세한 소련의 전투기 편대에 달려든 그는 난전 끝에 3대를 격추시켰지만 타고 있던 Bf 109F-2(W.Nr. 6779)의 냉각기에 피탄 당해 소련 영토 안에 추락했다. 동체 착륙을 시도해 간신히 목숨을 건진 그는 즉시 기체를 버리고도주했지만, 얼마 안가 소련 병사들에게 사로잡혀 전쟁 포로가 되었다. 독소전에서만 참전한 프란츠-요제프 베렌브로크 중위의 출격횟수는 그때까지 약 400회, 격추수는 117대를 헤아리고 있었다.

4. 포로 생활

그는 나머지 전쟁 기간 동안 포로 수용소에서 보내다가 전쟁이 끝난 후에는 소련군 형무소로 끌려갔다. 그가 다시 꿈에도 그리던 고국 땅을 밟은 것은 그로부터 4년 반이나 지난 1949년 12월에 서독 국경을 통해서였다. 그렇지만 베렌브로크는 그와 마찬가지로 수형 생활을 했던 다른 조종사들 - 에리히 하르트만, 하요 헤르만 등 - 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빨리 풀려난 것이었다. 그와 마찬가지로 짧은 형기만 채우고 돌아온 헤르만 그라프가 그랬던 것처럼, 프란츠 베렌브로크에게도 의혹의 눈길이 쏟아졌지만 그는 무엇 하나 밝히지 않고 입을 꾹 다물고 있었다.

5. 배신자의 낙인

1955년 1월 1일, 재건된 독일 연방군에 재입대한 프란츠 베렌브로크는 다시 사관학교 생도를 거쳐 서독 공군에 부임했다. 그렇지만 이미 동료와 과거 전우들 사이에서 배신자로 낙인이 찍혀 있던 그는 진급 대상에서 늘 제외되기 일쑤였다. 결국 공군에서 일찌감치 제대한 그는 자신이 태어난 고향의 옆 고장인 뮌스터로 돌아가 군 관련 행사와는 거의 인연을 끊고 살게 된다. 오랜 세월이 흐른 1990년에 베렌브로크는 그간의 긴 침묵을 깨고 회고록을 출판했지만, 그 책 어디에서도 베렌브로크 자신이 소련에 협조했다는 고백이라든가 형기가 대폭 줄어든 이유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이렇게 과거와 단절된 삶을 살던 그는 2004년 12월 13일에 84세의 나이로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

6. 서훈

2급 철십자 훈장 (1941년 7월 3일)
1급 철십자 훈장 (1941년 7월 18일)
기사철십자 훈장 (1941년 12월 21일)
독일 황금십자장 (1942년 6월 17일) : JG 52 제4비행단 부사관으로서는 첫 수상자
곡엽기사 철십자훈장 제108호 (1942년 8월 3일)

제2차 세계 대전 전투기 에이스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6b94> ▲ 52~66위
순위 이름 국적 격추 수 비고
67위 하인츠 마르크바르트 독일 121대
하인츠-볼프강 슈나우퍼 독일 야간 격추 세계 1위
로베르트 바이스 독일
70위 프리드리히 오블레저 독일 120대
프리드리히 바호비아크 독일
72위 에리히 라이에 독일 118대
73위 프란츠-요제프 베렌브로크 독일 117대
한스-요아힘 비르크너 독일
야코프 노르츠 독일
발터 외자우 독일
하인츠 베르니케 독일
78위 아우구스트 람버트 독일 116대
79위 빌헬름 크리니우스 독일 114대
베르너 슈뢰어 독일
81위 한스 다머스 독일 113대
베르톨트 코르츠 독일
83위 쿠르트 뷜리겐 독일 112대
84위 헬무트 렌트 독일 110대 야간 격추 세계 2위
쿠르트 우벤 독일
프란츠 보이디히 독일
▼ 87~113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