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22:14:18

프로그램(트론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auto -5px; max-width: 1000px; text-align: center; word-break:keep-all; border: 2px solid #6CCEF5; background-color: #000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0%, #6CCEF5 30%, #6CCEF5 70%, transparent 70%)"
파일:트론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00><colcolor=#6CCEF5,#6CCEF5>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트론 아이콘.svg 트론의 종족 및 집단
프로그램
Programs | Basics
}}}
<nopad> 파일:트론 에볼루션 psp 프로그램.webp
거점 그리드
대표 트론
등장 작품 트론: 새로운 시작
트론: 에볼루션
트론: 업라이징
트론: 아레스


1. 개요

트론 시리즈의 종족.

2. 설명

말 그대로 그리드 속에 존재하는 프로그램들. 원래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유저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인 ‘베이직’과 유저의 개입 없이 생겨난 프로그램인 ‘ISO’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었는데, 반란을 일으킨 클루가 ISO와 그들과 공존하길 원한 온건파 베이직들을 모두 숙청한 이후엔, 오직 베이직만을 부르는 명칭이 되었다.

일단 베이직, 프로그램은 현실 세계에서 유저가 만든 디지털 존재로 각자 맡은 역할과 기능이 있으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존재의 이유라고 여겨진다. 시스템 내에서는 물리적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만들어졌을 때 입력받은 명령을 기초로 행동하지만, 그 외의 부분에서는 독립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감정 역시 가지고 있다. 그리드라는 사회를 이루는 기본 구성원으로서, 단순한 코드 덩어리가 아니라 디지털 세계에서 살아가는 시민이기도 하다.

관점에 따라 유저 = 창조자, 프로그램 = 피조물이라는 관계로 볼 수도 있으며, 오리지널 트론에서도 이를 강조하기도 했다.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클루가 반란을 성공한 이후 플린을 비롯한 유저들을 위선자, 자신을 시스템의 해방자로 자칭하며 군림하였기에,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유저에 대한 인식 역시 상당히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트론: 아레스에서 현실 세계로 넘어온 프로그램들은 엄청난 괴력을 지녔는데, 당장 사람 한 명을 쳐서 저 멀리 날려보내는건 일도 아니고, 아테나는 오락실 게임기들을 한 손으로 집어던졌다.

3. 특징

프로그램들의 모습은 인간과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피부색은 회로가 빛나는 부분을 제외하면 하나의 단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과 치아까지 같은 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 머리카락은 보통 헬멧으로 가려져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헬멧을 쓰지 않는 프로그램도 증가한다. 또한 프로그램 중에는 인간에게서 볼 수 없는 피부색이나 눈의 구조를 가진 경우도 있으며, 피부에 자연스럽게 문양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ISO들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일부 프로그램은 목소리가 전자적으로 변조된 것처럼 들리거나, 음성이 깨진 듯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는 인위적인 장치 때문일 수도 있고, 프로그램 자체의 기본적인 구조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드물게는 동물적 소리처럼 으르렁거리는 발성을 가진 프로그램도 존재한다.

프로그램에게도 성적인 개념이 존재함은 알려져 있으나, 프로그램끼리 번식이 가능한지, 혹은 디지털화된 인간과 번식할 수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어린 프로그램이 어떤 형태를 가지는지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프로그램들은 인간처럼 사고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느끼는 감정의 강도는 프로그램마다 다르다. 어떤 프로그램은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감정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반면, 다른 프로그램은 보다 기계적이고 절제된 행동을 유지한다. 클루 2.0은 감정을 느끼고 판단할 수 있었지만, 인간의 가치관과 정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자신이 설정된 목적에 집착한 나머지 다른 존재들에게 적대적으로 행동하게 되었다. 아레스는 반대로 인간들의 세상과 기록을 목격한 뒤 점차 인간의 가치관과 정서를 깨우치면서, 설정된 목표를 무시하고 스스로를 위한 독단적인 행동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프로그램의 능력은 그 프로그램이 가진 목적과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시스템 안에서 역할과 목적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며, 역할이 없거나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프로그램은 삭제되는 결과를 맞게 된다. 전투나 보안 역할을 가진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보다 강한 신체 능력과 높은 전투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외형은 사람과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상처를 입으면 내부는 디지털 데이터와 빛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손상 부위는 데이터가 사라진 공간처럼 보이며, 몸의 회로에서 흐르던 빛은 프로그램이 약해지거나 소멸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희미해지고 창백해진다. 또한 프로그램이 재구성되거나 상태가 변화될 경우 회로의 빛 색이 바뀌기도 한다.

프로그램은 인간과 달리 나이를 먹지 않는다. 기능이나 목적, 에너지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면 그 때에만 소멸한다.

특이한 사례로, 아레스는 ‘영속성’이라 불리는 상태에 도달한 후 회로 색이 빨간색에서 흰색으로 변화한 바 있다. 이러한 변화가 다른 프로그램들에게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4. 작중 행적

4.1. 트론: 새로운 시작

프로그램들의 복장이 크게 변화하였다. 헬멧은 상황에 따라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도록 바뀌었으며, 복장은 검은색을 기본으로 하고 빛이 흐르는 회로선이 강조되어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2. 트론: 에볼루션

4.3. 트론: 업라이징

4.4. 트론: 아레스

5.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