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17:01:50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남지역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로고.svg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colbgcolor=#fff,#428bbe> 분류 4년제 국립대학, 원격대학, 개방대학
개교 1986년 10월 29일[1] ([age(1986-10-29)]주년)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2]
총학생회장 제43대 박주봉
위치 경남지역본부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24(주약동)
신축이전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295-19
구성원[3] 학부생 92,953명 (프라임칼리지 포함)
대학원생 2,396명 (경영대학원 포함)
교원 280명 (전임 170명, 비전임 110명)
직원 610명
웹사이트 경남지역 홈페이지 본교 홈페이지
U-KNOU캠퍼스
대학원
경영대학원
프라임칼리지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인스타그램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네이버 블로그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티스토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지식+ (인문교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꽁교육+ (인문교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정보+ (학사정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방출티비 (출판문화원)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링크트리
소재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295-19

1. 개요2. 조직 구성3. 역사4. 학습관5. 주요 기능6. 둘러보기

1. 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홍보영상 (202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남지역대학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지역 캠퍼스로,경상남도 서부·중부권진주 중심을 관할하며 학습 지원·시험·상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경남지역대학 산하에 창원, 거제, 진해 등 학습관학습센터을 운영한다.

2. 조직 구성

• 지역대학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부에서 임명
• 학과 구성:
방송대의 전체 학과와 동일하게 소속 대학별 전 학과를 지원한다.
•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 영어영문학, 중어중문학, 일본학 등
• 사회과학대학: 법학, 행정학, 경제학, 미디어영상학 등
• 자연과학대학: 농학, 생활과학, 컴퓨터과학 등
• 교육과학대학: 유아교육, 청소년교육, 문화교양학 등
• 프라임칼리지(평생교육단과대학)
• 대학원 과정(일부 시험/오프라인 수업 지원)

3. 역사


파일:kyujinsclass.jp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구 (2024년 까지)

파일:classkyuins.jp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신 (2025년 부터)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고성환 총장/이하 방송대)는 오는 2025년에 경남지역대학을 신축 이전한다고 16일 밝혔다.#신축이전
방송대는 최근 기획재정부로부터 구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부지로 경남지역대학 신축·이전 승인을 받았다.
경남 진주시 주약동에 위치한 현 경남지역대학은 지난 1986년 건립 이후, 2회에 걸쳐 증축과 부분 개선 공사를 하였지만, 강의실, 학습공간, 주차 공간의 부족과, 창호 및 배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인 민원이 발생하고 있었다.
방송대는 지난 2014년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과 진주지방검찰청이 이전하자, 해당 국유재산에 대해 경상국립대(구 경남과기대)와 공동으로 기획재정부에 사용 신청을 하였다. 이후 양 대학은 ’구 법원, 검찰청 부지 활용 협약 체결‘ 등 지속적인 소통과 협업을 통해 마침내 이전부지 사용 승인을 받았다.
해당 지역대학 신축 국고예산으로는 105억 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2025년 6월까지 신축·이전 부지(경남 진주시 상대동 295-4)에 강의실(20실), 전산실(1실), 영상강의실(1실), 실습실(1실), 도서실(1실), 열람실(1실), 휴게공간 등 연면적 4,000㎡규모의 건물과 53대의 주차시설을 갖춘 주차장 등을 완공할 예정이다.
고성환 방송대 총장은 “경남지역대학 신축 이전으로 3천여 학생과 교직원의 교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방송대인과 지역주민의 고등·평생교육 만족도 역시 높아지게 됐다.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시영 방송대 사무국장은 “주어진 예산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학생들은 물론 지역 주민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획재정부의 부지 사용 승인에는 지역구 국회의원 박대출 의원실과 지역 유관기관이 일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방송대는 전국에 13개 지역대학과 34개 학습관을 갖춘, 총 9만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국내 유일의 국립 원격대학으로, 2022. 2학기 신·편입생 입학전형(모집인원: 총75,749명, 모집학과: 총24개)을 오는 7월 12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4. 학습관

경남지역대학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학습관이 존재한다.
• 창원학습관
• 거제학습관
• 진해학습관

5. 주요 기능


• 출석수업 운영 및 오프라인 시험 진행
• 학생 상담(학사·입학·학습지원)
• 각 학과 스터디 및 학습클럽 지원
• 지역 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 방송대 본부와 연계한 행사 개최

학습관에서는 지역별 출석수업, 스터디룸 이용, 강의 시청, 학습 상담 등이 제공된다.

5.1. 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둘러보기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정보
역사상징학부
대학원프라임칼리지지역대학 (캠퍼스)
학생 정보
학사 제도특징 및 장학제도출신 인물
기타
사건 사고OUN 방송대학TV근거법 및 시행령
}}}}}}}}} ||
파일:진주시 CI.svg 진주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문대학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Ⅶ대학(진주캠퍼스)
방송통신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남지역대학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 국립창원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 밀양캠퍼스)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파일:한국방통대.p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남지역대학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사립 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1] 본교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1972년 3월 9일 개교했다.[2] 서울대학교 부설에서 분리 독립된 국립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1982년 2월 15일 출범했다.[3] 2025년 4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