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colbgcolor=#fff,#428bbe> 분류 | 4년제 국립대학, 원격대학, 개방대학 | |
| 개교 | 1986년 10월 29일[1] ([age(1986-10-29)]주년)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2] | |
| 총학생회장 | 제43대 박주봉 | |
| 위치 | 경남지역본부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24(주약동) 신축이전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295-19 | |
| 구성원[3] | 학부생 92,953명 (프라임칼리지 포함) 대학원생 2,396명 (경영대학원 포함) 교원 280명 (전임 170명, 비전임 110명) 직원 610명 | |
| 웹사이트 | 경남지역 홈페이지 본교 홈페이지 U-KNOU캠퍼스 대학원 경영대학원 프라임칼리지 | |
| 소셜 미디어 | | |
| 소재 | 경상남도 진주시 상대동 295-19 | |
1. 개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홍보영상 (2025) |
2. 조직 구성
• 지역대학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부에서 임명• 학과 구성:
방송대의 전체 학과와 동일하게 소속 대학별 전 학과를 지원한다.
•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 영어영문학, 중어중문학, 일본학 등
• 사회과학대학: 법학, 행정학, 경제학, 미디어영상학 등
• 자연과학대학: 농학, 생활과학, 컴퓨터과학 등
• 교육과학대학: 유아교육, 청소년교육, 문화교양학 등
• 프라임칼리지(평생교육단과대학)
• 대학원 과정(일부 시험/오프라인 수업 지원)
3. 역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구 (2024년 까지)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신 (2025년 부터) |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고성환 총장/이하 방송대)는 오는 2025년에 경남지역대학을 신축 이전한다고 16일 밝혔다.#신축이전
방송대는 최근 기획재정부로부터 구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부지로 경남지역대학 신축·이전 승인을 받았다.
경남 진주시 주약동에 위치한 현 경남지역대학은 지난 1986년 건립 이후, 2회에 걸쳐 증축과 부분 개선 공사를 하였지만, 강의실, 학습공간, 주차 공간의 부족과, 창호 및 배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인 민원이 발생하고 있었다.
방송대는 지난 2014년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과 진주지방검찰청이 이전하자, 해당 국유재산에 대해 경상국립대(구 경남과기대)와 공동으로 기획재정부에 사용 신청을 하였다. 이후 양 대학은 ’구 법원, 검찰청 부지 활용 협약 체결‘ 등 지속적인 소통과 협업을 통해 마침내 이전부지 사용 승인을 받았다.
해당 지역대학 신축 국고예산으로는 105억 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2025년 6월까지 신축·이전 부지(경남 진주시 상대동 295-4)에 강의실(20실), 전산실(1실), 영상강의실(1실), 실습실(1실), 도서실(1실), 열람실(1실), 휴게공간 등 연면적 4,000㎡규모의 건물과 53대의 주차시설을 갖춘 주차장 등을 완공할 예정이다.
고성환 방송대 총장은 “경남지역대학 신축 이전으로 3천여 학생과 교직원의 교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방송대인과 지역주민의 고등·평생교육 만족도 역시 높아지게 됐다.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시영 방송대 사무국장은 “주어진 예산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학생들은 물론 지역 주민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획재정부의 부지 사용 승인에는 지역구 국회의원 박대출 의원실과 지역 유관기관이 일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방송대는 전국에 13개 지역대학과 34개 학습관을 갖춘, 총 9만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국내 유일의 국립 원격대학으로, 2022. 2학기 신·편입생 입학전형(모집인원: 총75,749명, 모집학과: 총24개)을 오는 7월 12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4. 학습관
경남지역대학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학습관이 존재한다.• 창원학습관
• 거제학습관
• 진해학습관
5. 주요 기능
• 출석수업 운영 및 오프라인 시험 진행
• 학생 상담(학사·입학·학습지원)
• 각 학과 스터디 및 학습클럽 지원
• 지역 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 방송대 본부와 연계한 행사 개최
학습관에서는 지역별 출석수업, 스터디룸 이용, 강의 시청, 학습 상담 등이 제공된다.
5.1. 학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둘러보기
| | ||||||||||||||||||||||||||||||||||||||||||||||||||||||||||||||||
| ||||||||||||||||||||||||||||||||||||||||||||||||||||||||||||||||
[1] 본교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1972년 3월 9일 개교했다.[2] 서울대학교 부설에서 분리 독립된 국립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은 1982년 2월 15일 출범했다.[3] 2025년 4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