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정보 | ||
역사 | 상징 | 학부 | |
대학원 | 프라임칼리지 | 지역대학 (캠퍼스) | |
학생 정보 | |||
학사 제도 | 특징 및 장학제도 | 출신 인물 | |
기타 | |||
논란 및 사건사고 | OUN 방송대학TV | 근거법 및 시행령 |
[clearfix]
1. 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역사를 다룬 문서.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역사기록관 홈페이지도 참고.
2. 법률의 변화
자세한 내용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문서 참고하십시오.- 1968년 11월 15일: 근거법 설립
- 1972년 03월 09일: 시행령 설립
3. 학제의 변화
- 1972년 03월 09일: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 개교. 대한민국 최초의 평생교육기관이자, 2년제 초급대학 5개과로 시작
- 1974년 12월 01일: 초급대학 졸업학력인정을 대통령령을 넘어 교육법 개정으로 법제화
- 1978년 11월 22일: 문교부 향후 13년 교육지표 시안 발표. 방송대를 82년부터 4년제로 승격 예정
- 1981년 02월 28일: 설치령 개정, 초급대학과정에서 5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
- 1982년 02월 15일: 서울대학교 부설에서 분리 독립된 국립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으로 설립[1]
- 1991년 12월 31일: 5년제 학사과정에서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
- 1992년 03월 06일: 학부제 도입
- 1993년 02월 24일: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학장에서 총장으로 명칭 변경
- 1997년 05월 13일: 평생교육원 설치
- 2001년 09월 01일: 평생대학원 개원, 석사학위가 생겨남
- 2010년 08월 30일: 학부 학칙과 대학원 학칙을 통·폐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칙"으로 단일화
- 2011년 08월 31일: 평생대학원을 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 2012년 04월 01일: 평생교육원을 동숭대학으로 명칭 변경[2]
- 2012년 08월 29일: 대학원 경영학과 폐지 및 경영대학원 설립, 동숭대학을 프라임칼리지로 명칭 변경[3]
- 2012년 09월 25일: 부총장제 신설
- 2013년 10월 25일: 프라임칼리지 2개 학부 신설, 2014년부터 신입생 모집
- 2020년 07월 10일: 문제은행시스템 및 온라인시험센터 구축
3.1. 유관 제도 관련
- 1989년 06월 17일: 정부가 'TV대학'을 별도 신설하려 했으나, 방송대 측에서 학장실 점거 농성 등 강력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 1990년 04월 07일: 독학학위제가 생겨났다. 방송대는 강력반대했는데, 4월 9일 총동련이 반대표명, 5월 7일 교수회가 시국선언, 5월 25일 학장실 점거 농성, 6월 8일 교수들의 비대위 구성, 6월 9일 가두시위 등을 진행했다.
- 1998년 01월 01일: 독학학위제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게서 이관 받았다.
- 2008년 02월 14일: 독학학위제를 평생교육진흥원으로 이관했다.
4. 총장의 변화
{{{#!wiki style=""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방송통신대학 학장 | ||||
초대 김종서 | 2대 이응백 | 3대 정한모 | 4대 권순찬 | 5대 이병호 | |
6대 장인숙 | 1993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명칭변경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 |||||
초대 장인숙 | 2대 한완상 | 3대 이찬교 | 4대 조규향 | 5대 장시원 | |
6대 조남철 | 7대 류수노 | 8대 고성환 | }}}}}}}}}}}}}}} |
- 1972년 03월 09일: 제1대 김종서 학장 취임.[4]
- 1976년 03월 09일: 제2대 이응백 학장 취임
- 1980년 03월 09일: 제3대 정한모 학장 취임
- 1982년 03월 01일: 제4대 권순찬 학장 취임. 독립대학이 되고 첫 학장.
- 1989년 01월 01일: 제5대 이병호 학장 취임
- 1991년 08월 17일: 제6대 장인숙 학장 취임
- 1993년 10월 13일: 제1대 장인숙 총장 취임. 대학교로 명칭변경 후 첫 총장.
- 1994년 09월 29일: 제2대 한완상 총장 취임
- 1998년 09월 29일: 제3대 이찬교 총장 취임
- 2002년 09월 29일: 제4대 조규향 총장 취임[5]
- 2006년 09월 29일: 제5대 장시원 총장 취임
- 2010년 09월 29일: 제6대 조남철 총장 취임
- 2018년 02년 14일: 제7대 류수노 총장 취임[6]
- 2022년 03월 04일: 제8대 고성환 총장 취임
5. 공간의 변화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지역대학 문서들을 참고하십시오.1947년 연건동~동숭동 일대[7] | 1972년 연건동~동숭동 일대[8] |
- 1899년부터 대한제국은 농/상/공 분야의 학교를 설립하려 했으나 돈이 없었고, 1904년에 이르러서야 일본에게 차관을 빌려 설립을 시작했다.
- 1907년, 대한제국의 공업전습소가 설립되어 첫 입학생을 받았다. 5100평에 7개 동, 기숙사, 부속관사 등을 지었다. (현 방송대 부지)
- 1912년, 일본 제국이 공업전습소를 중앙시험소의 부속기관으로 삼고, 본관 및 기타 부속 건물들을 추가 준공했다. (중앙시험소 본관이 현 방송대 역사관)
- 1914년, 일본 제국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이 동네가 조선시대 행정구역 숭교방(崇敎坊)[9]의 동쪽이므로 '동숭동(東崇洞)'이라 이름 붙였다.
- 1916년, 공업전습소가 경성공업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 1926년, 일본 제국이 바로 위에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 캠퍼스를 지었다. (현 아르코미술관, 아르코대극장, 마로니에공원)
- 194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경성공업전문학교가 각각 서울대학교의 문리대, 공대로 승계되었다.
- 1949년, 공릉으로 서울대 공대 일부가 이전하면서(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량리에 있던 서울대 법대가 동숭동(현 방송대 부지)으로 이전했다.
- 1967~1968년, 서울대가 유학생 기숙사 '왕룡사', 우수학생 기숙사 '정영사'를 짓고 기숙사 제도를 시작했다. (현 동숭동 의과대학 국제관 자리)
- 1974~1975년, 동숭동의 서울대 문리대, 법대가 모두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며, 동숭동은 온전히 방송대 캠퍼스가 되었다.
- 1980~1985년,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혜화역이 개업했다.
- 1996~2010년, 낙산공원의 시민아파트들이 철거되고 성곽길 공원이 조성되었다.
- 2010~2012년, 방송대가 본관과 앞 건물을 헐고 큰 본관으로 신축공사를 완료했다. 2013년 준공했다.
- 2020년 9월 ~ 2022년 9월, 중앙도서관이 리모델링했다. 엘리베이터를 신설하고, 장애학생 열람실을 1층에 마련한 것이 특징.
6. 매체의 변화
- 카세트테이프
- 1984년부터 교재와 함께 판매되었다.
- 2021년 1학기 문화교양학과 모 수업을 마지막으로 종료했다.
- 텔레비전
- 1985년 03월 03일: KBS 3TV로 TV 강의 방송을 개시했다.
- 1990년 12월 27일: KBS 3TV가 EB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6년 09월 02일: OUN 방송대학TV(채널 47)를 개국하며 독립적인 채널을 갖게 되었다.
- 1999년 03월 01일: 위성방송 채널 운영을 개시했다.
- 2001년 03월 01일: EBS는 강의방송을 종료하고, OUN 방송대학TV만 강의방송을 하기로 한다.
- 2002년 09월 01일: 디지털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를 개시했다.
- 2008년 01월 01일: IPTV를 개시했다.
- 2013년 05월 01일: HD 고화질 방송을 개시했다.
- 비디오테이프 - VHS를 통해 가정에서의 녹화 및 재시청이 가능했으나 2010년대 들어 VHS 테이프와 플레이어가 모두 단종됐다.
- OMR 카드 - 1988년 6월 6일부터 시험지에 도입했다. 1996년엔 총학 선거에도 사용했다. 2021년에 태블릿 컴퓨터 시험으로 대체되었다.
- PC통신/인터넷
- 1993년 04월 27일: 하이텔로 9개 과목 지상강좌(紙上講座)를 시작했다.
- 1996년 09월 04일: 하이텔과 나우누리에 방송대 정보란 게시판을 운영 시작했다.
- 1998년 06월 01일: 인터넷 강의를 도입했다. 홈페이지를 LOD(Learning On Demand)라고 불렀다.
- 1998년 12월 14일: 전국 지역대학에 랜선을 구축했다.
- 2009년 03월 09일: U-KNOU를 개시했다. U는 유비쿼터스를 의미하며, CDMA로도 접속가능한 모바일 서비스를 의미한다.[11]
- 2012년 03월 13일: U-KNOU PLUS를 개시했다.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 2018년 03월 13일: U-KNOU CAMPUS를 개시했다. OUN 방송대학TV 홈페이지의 VOD 제공은 중단하고, U-KNOU에서만 제공하기로 한다.
- CD - 1998년 3월 16일 학보검색용 CD를 냈다. 이후 강의자료로도 제공되었다. 2010년대 초반 종료했다.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2010년 11월 17일: 티스토리 페이지를 개설했다. #
- 2011년 02월 14일: 유튜브 '정보+' 페이지를 개설했다. 학사정보 전문. #
- 2011년 10월 04일: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했다. #
- 2012년 07월 18일: 유튜브 '지식+' 페이지를 개설했다. 인문교양 전문. # [12]
- 2015년 10월 01일: 유튜브 '방출티비' 페이지를 개설했다. 출판문화원. #
- 2016년 04월 14일: 네이버 포스트 페이지를 개설했다. #
- 2018년 04월 01일: 인스타그램 페이지를 개설했다. #
- 2022년 07월 29일: 유튜브 '꽁교육+' 페이지를 개설했다. 인문교양 전문 2. #
7. 약칭의 변화
- 1972년, 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통신대학'으로 정했다.
- 1992년, 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방송대학'으로 정했다. #
- 2001년, 개정된 설치령은 공식 약칭을 규정하지 않았다.
- 2021년, 제정된 근거법은 공식 약칭을 '방송통신대/방송통신대학교'로 정했다.
법과 시행령이 규정하는 약칭은 위와 같고, 학칙도 따로 약칭을 규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1985년 전체교수회의 이후 학내규정, 교가, 위성방송,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방송대를 약칭으로 사용한다. 입학식이나 OT에서도 강조하곤 한다.
[1] 해당 1학기에 지도교수 163명을 뽑고 재학생이 7만5천명을 돌파했다.[2] 교육부 '블렌디드 러닝 환경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지정되어, 평생교육원이 평생교육 외의 사업도 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함.[3] 2012년 7월 13일, 이명박 정부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가 다른 나라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너무 높은 것을 지적하고 '고졸 시대'를 정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도입한 것. #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문서 참고.[4] 당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5] 김대중 정부의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 출신.[6] 2014년 9월 ~ 2018년 2월 총장 공석. 사건사고 문서 참고.[7] 출처는 국토정보플랫폼. 연건동이 대부분 공터다. 동숭동의 현 혜화역 1번 출구 쪽이 공터다. 반면 현 방송대 남쪽 서울대 사범대 부설 초-중 위치에 건물들이 빼곡하다.[8] 출처는 국토정보플랫폼. 동숭동의 현 아르코대극장 뒤로 문리과대학 건물이 증축되었다. 연건동에 서울대학교병원 현 본관이 건설되었다. 와룡동에 문화체육부 청사가 건설되었으며 이는 2015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캠퍼스가 된다. 현 방송대~서울대사범대부설초중 쪽은 큰 변화가 없다.[9] 조선시대 방(坊)은 현대 대한민국의 동(洞) 개념. 이 지역은 성균관 명륜당이 있으므로 명륜동이 되었다.[10] 원래 라디오 강의는 2001년 중단계획이었으나, 수강생들이 (당시로선 비싼) '케이블TV나 컴퓨터를 사란 말이냐'라며 강력반대하여 연장되었다. #[11] 개통식은 2008년 12월 24일에 있었다. #[12] TED 등 인문교양 열풍이 불던 시기에 개설되었다. 2022년 기준 구독자는 56.7만을 돌파해 대학교 유튜브 채널 중 1위였다. 또한 2022년 유튜버브랜드 대상에서 인문지식부문 대상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