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세계의 스카우트 운동 | |
관련단체 | 세계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 WSPU | |
프로그램 |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월드무트, JOTA-JOTI, Messenger of Peace | |
한국의 스카우트 운동 | ||
<colbgcolor=#FFFFFF,#222222> 체계 | 비버스카우트(유치원생), 컵스카우트(초등학생), 스카우트 및 벤처스카우트(중/고등학생)) 로버스카우트(대학생), 지도자(성인) | |
프로그램 | 진보제도, 한국잼버리, 평화통일체험활동, 한일친선교류 | |
유관기관 | 한국범스카우트중앙회, 청소년위원회,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국회의원스카우트연맹 | |
관련문서 | 제17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
<colcolor=#ffffff> | |
<colbgcolor=#622599> 한국스카우트연맹 | |
Korea Scout Association | |
설립 | 1922년 10월 5일 ([age(1924-10-05)]주년)[1] |
명예 총재 | 윤석열(대통령)[2] |
총재 | 이찬희(제17대) |
기업 구분 | 비영리 단체 |
업종 | 부동산·중개·임대업(청소년 사업, 출판, 여행 등) |
직원 수 | 19명(2023.06.)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14, 10층 (여의도동,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회관) |
링크 |
[clearfix]
1. 개요
한국스카우트연맹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청소년 단체로,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과 사회적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1922년 조선소년군과 소년척후단의 창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스카우트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겪으며 발전하였다. 현재 한국스카우트연맹은 세계스카우트연맹(WOSM)에 소속된 국제 청소년 운동 단체로서, 청소년들이 리더십과 봉사 정신을 바탕으로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연맹의 설립 목적은 청소년들에게 애국심, 협력 정신,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시키는 데 있으며, 이는 스카우트의 선서와 규율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스카우트연맹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사회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세계잼버리와 같은 국제 행사를 통해 전 세계 청소년들과의 교류를 촉진하고, 글로벌 스카우트 운동의 일환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 한국스카우트연맹은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기념 행사와 출판물, 프로그램 등을 통해 그 역사를 기리고 있으며, 앞으로의 100년을 향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2. 노래
<colbgcolor=#622599><colcolor=#fff> |
<colbgcolor=#622599><colcolor=#fff> |
스카우트 연맹가 |
<colbgcolor=#622599><colcolor=#fff> |
스카우트 식사 노래 |
3. 역사
<colbgcolor=#622599><colcolor=#fff> |
창립자 조철호와 정성채 |
<colbgcolor=#622599><colcolor=#fff> |
조선소년군의 깃발 |
자세한 내용은 한국스카우트연맹 홈페이지를 참조
3.1. 일제강점기
1922. 10. 05. 조선 소년군 경성 제1호대 발대(조철호 선생), 소년 척후단 발대(정성채 선생)1924. 03. 소년 척후단 조선 총연맹 결성(총재 이상재 선생) 전국적으로 78개대 조직 활동
1924. 04. 제1회 극동 국제 야영대회에 대표단 파견(중국, 북경)
1925. 06. 19. [소년군 교범] 초판 발행
1927. 07. 범스카우트 제1호 탄생
1931. 12. 소년 척후범 교범 발간
3.2. 해방 이후
- 해방 이후 한국소년군이라는 이름으로 재건된 것으로 보인다. 독립운동가인 김창숙 선생이 1945년 12월 24일 한국소년군 총본부 고문에 추대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 한국스카우트연맹에서 발간한 초등학생용 교본에는 '조선소년단'이란 명칭으로 소개하고 있다. 아래 연혁에서 보듯 교본 이름도 '조선소년단'으로 발행되었으며, 당시 소년들이 착용하던 붉은 스카프에는 현 한국스카우트연맹의 모토 중 하나인 '준비(차리고 있다)'가 풀어쓰기로 ㅈㅜㄴㅂㅣ 라고 날염되어 있다[3].
- 이후 남북분단이 고착화되면서 삼팔선 이북에 남아있던 조선소년군 조직은 김일성이 날름 먹어서 현재의 조선소년단이 되었는데 정작 북한 쪽에서는 김일성이 1935년 조직한 단체의 후신이라고 구라를 치고 있다(...) 그리고 위의 "준비"란 구호도 "항상 준비"라고 살짝 바꾸어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1946. 03. 01. 사단법인 대한 보이스카우트 중앙연합회로 재발족
1947. 12. [조선 소년단] 교본 발행
3.3. 정부 수립 이후
3.3.1. 1950년대 세계연맹 회원국 가입과 세계무대 진출
<rowcolor=#fff> 연도 | 내용 |
1948년 | 10월 국호변경에 따라 『사단법인 대한소년단』으로 개칭 (제3대 백낙준 회장 취임) |
12월 단지(團紙) <소년단> 창간호 발간 | |
1949년 | 대한소년단 <반장교범> 역간 |
1950년 | 전쟁 기간 중 전국 각지에서 피난민 구호 활동 전개 |
『조선척후단』 정성채 창설자 피랍 | |
『대한소년단』 <대장지침> 역간 | |
1951년 | 1월 『대한소년단』 중앙연합회 부산으로 임시 이전 |
1952년 | 8월 8일 ~ 14일(6박 7일) 제1회 한국 잼버리 개최(부산, 일광 해변) - 표어: '빛 내자 우리 반, 우리 대' |
1953년 | 제14회 세계스카우트총회 한국 대표단 최초 참가(리히텐슈타인, 바두스) |
1월 31일 『대한소년단(BOY SCOUT OF KOREA)』세계연맹 회원국으로 가입 | |
인천 소년교도소 재소자 스카우트(충의 소년대)발대 | |
1954년 | 중앙연합회 -> 중앙본부, 지방연합회 -> 지방연맹 개칭 |
유년대 교본 발행 | |
12월 정릉훈련소 건립 | |
1955년 | 5월 유년대(컵스카우트) 조직 정식 승인 |
10월 송파 야영장 건 | |
1956년 | 5월 극동지역 연맹 창립 및 가입 (창설 발기 회원국) |
3월 30일 이승만 대통령 명예총재 취임 | |
1957년 | 2월 세계보이스카우트연맹 창립50주년 기념우표 발행 |
1958년 | 제1회 극동지역 총회 한국 대표단 파견 |
1959년 | 영화 '우리는 대한소년단이다' 전국 상영 |
3.3.2. 1960년대 스카우트 발전의 기틀과 토대를 마련하는 한국보이스카우트
<rowcolor=#fff> 연도 | 내용 |
1960년 |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방한(무궁화 금장 수여) |
1961년 | 1월 윤보선 대통령 명예총재 취임 |
7월 제4대 김명선 총재 취임 | |
7월 한국보육원 황온순 원장 필국훈련장 토지 기증 | |
1962년 | 4월 박정희 국가 재건 최고회의 의장 명예총재 취임 |
제2회 한국잼버리(서울, 경희대학교) | |
Olave Baden Powell 여사 방한(무궁화 금장 수여) | |
1963년 | 9월 제5대 이필석 총재 취임 |
1965년 | 10월 제1회 우드배지 훈련 실시 |
단지(團紙) <보이스카우트> 속간 | |
1966년 | 2월 대한소년단을 '보이스카우트 한국연맹'으로 개칭 |
제7대 김종필 총재 취임 | |
제1회 유년대 우드배지 훈련 실시 | |
1967년 | 최초 명예 회의 구성 |
제3회 한국잼버리(서울, 태릉) | |
창립 45주년 기념 통일의 배 띄워보내기 | |
1968년 | 4월 사단법인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로 개칭 |
8월 사단법인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로 개명 | |
8월 중앙훈련소 준공(서삼릉) | |
제6차 극동지역 총회(워커힐) 개최 | |
1969년 | 제7대 김용우 총재 취임 |
1969년 | 7월 28일 스카우트 활동 육성에 관한 법 공포(법률 제2118호) |
제1회 연장대 야영대회 |
3.3.3. 1970년대 스카우트의 대내외적 성장과 발전
<rowcolor=#fff> 연도 | 내용 |
1970년 | 스카우트 종교의 날 개최 |
제1회 전종지도자 행정교육 실시 | |
1971년 | 2월 최초의 훈련부교수 과정(TTC) 개설 |
전국스카우트 전진대회 개최 | |
재일본지역 연맹 결성 | |
1972년 | 3월 제8대 이보형 총재 취임 |
8월 제4회 한국잼버리 개최(서삼릉) | |
10월 보이스카우트회관 준공(서울 여의도) | |
창립 50주년 기념우표 발행 | |
1973년 | 3월 스카우트 클럽 조직 준칙 제정 |
1974년 | 4월 제9대 주창균 총재 취임 |
다람쥐 성금 모금 운동 전개 | |
제럴드 포드 미국대통령 방한(무궁화 금장 수여) | |
1975년 | 제25차 세계스카우트총회에서 세계연맹 최우수 성공 사례국 선정 |
회원 조직단 세 10만명 돌파 | |
지도자용 계간지 <스카우팅> 창간 | |
1976년 | 9월 제10차 아시아-태평양 스카우트 총회에서 '최우수 발전국'으로 선정 |
스카우트 장학위원 발족 | |
1977년 | 8월 제5회 한국잼버리 개최(전북 무주) |
제26차 세계스카우트 총회에서 박정희 대통령 세계연맹 명예총재 추대 | |
1978년 | 아시아-태평양지역 스카우트 이사회 의장국 선출 |
회원 조직단 세 30만 명 돌파 |
3.3.4. 1980년대 스카우트의 내실화로 국제 역량 강화
<rowcolor=#fff> 연도 | 내용 |
1980년 | 2월 최규하 대통령 명예총재 취임 |
4월 제10대 이원우 총재 취임 | |
8월 제1회 전국 도반장 야영대회(중앙훈련소) | |
1982년 | 4월 제11대 김석원 총재 취임 |
전국 대학 스카우트클럽 야영대회(제1회 로버무트) 개최 (중앙훈련소) | |
창립 60주년 기념 제6회 한국잼버리 겸 제8회 아시아-태평양 잼버리 개최 (전북 무주) | |
창립 60주년 기념 우표 발행 | |
1983년 | 7월 김석원 총재 세계연맹 이사 피선 |
10월 13일 국회스카우트의원 동우회 발족 | |
11월 19일 「재단법인 한국보이스카우트 지원재단」설립 | |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무궁화 금장 수여 | |
1984년 | 10월 <한국보이스카우트 60년사 출판 및 자료 전시회 개최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무궁화 금장 수여) | |
제14회 세계스카우트지원재단 총회 개최 (칼구스타프국왕 첫 방한) | |
1985년 | 제1회 아구노리(장애인 야영대회) 개최 |
7월 「85 스카우트 국제야영대회 개최, 걸스카우트와 공동개최」 (전북 무주 덕유대) | |
1986년 | 3월 전두환 대통령 세계연맹 명예총재 추재 |
제7회 한국잼버리 개최 (경북 경주) | |
1987년 | 1월 창립65주년 기념 「전국호국유적답사」전개 |
1988년 | 12월 「조선소년군」,「소년척후단」창설자 흉상 제막 |
서울올림픽 청소년 캠프 운영 | |
세계잼버리 지원 국회특별위원회 구성 | |
1989년 | 7월 제6회 연장대야영대회 개최 |
3.3.5. 1990년대 세계스카우트 중심으로 부상한 한국보이스카우트
1991. 08. 세계스카우트 의원연맹 창설, 김종호 의원 초대 총재로 선출
1991. 08. 제17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개최(강원, 고성)[4]
1998. 04. 24.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회관 준공
3.3.6. 2000년대
2001. 03. 30. 컵스카우트(다람쥐) 발간
2001. 11. 10. 한국디지털대학 스카우트학과 설치
2001. 12. 29. 연맹 명칭 변경 승인(한국스카우트연맹)
2002. 07. 20. 창립80주년 기념우표집 발행
2002. 12. 16. 사진으로 보는 스카우트 80년 발간
2008. 03. 06. 제14대 강영중 총재 취임
2008. 07. 14. 제38차 세계총회(ICC제주)
2010. 06. 05. 세계스카우트센터 한국의 방 개방식
2010. 11. 01. 제6차 세계스카우트의원연맹 총회(서울교육문화회관)
3.3.7. 2010년대
2012. 02. 26. 제15대 함종한 총재 취임
2012. 08. 01. 제4차 세계스카우트 종교 심포지엄(전북 익산시)
2012. 10. 05. 한국스카우트연맹 창립 90주년
2012. 10. 18. 창립 90주년 기념 조선소년군, 소년척후단 창설 90주년 기념 기증자료 특별전(독립기념관)
2012. 12. 10. 창립 90주년 기념 한국 독립운동과 소년운동 학술 심포지엄(국회도서관)
2016. 01. 17. 유스필란트로피 라오스 봉사활동
2017. 08. 16. 2023년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유치 성공(전북 새만금)
2019. 01. 12. 홍보대사 위촉(에이비식스-AB6IX)
2020. 03. 14. 제16대 강태선 총재 취임
4. 조직
4.1. 중앙본부
한민국의 스카우트 운동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청소년들이 올바른 인성과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스카우트연맹(Korea Scout Association, KSA)의 행정 중심지이며, 전국의 지방 및 특수연맹과 협력하여 스카우트 운동을 발전시키고 있다.본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14, 10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업무는 스카우트 정책 수립, 지도자 훈련, 국제교류, 전국단위 행사 운영 등이 포함된다.
4.1.1. 중앙이사회
한국스카우트연맹 정관에 따르면, 중앙이사회는 연맹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운영을 총괄하는 최고 의결기구이다. 중앙이사회는 국제커미셔너(국제훈육위원장), 중앙훈련원장(훈련커미셔너), 사무총장, 각 지방·특수연맹을 대표하는 중앙이사 1명씩, 감사 2명으로 구성된다.이사회의 구성원 중 부총재, 직선이사 및 감사는 전국총회에서 선출하며, 지방·특수연맹 대표 중앙이사는 해당 연맹장을 겸하여 전국총회에서 보고 후 선출된다. 다만, 연맹장의 추천이 있을 경우, 해당 지방연맹 총회에서 추천된 인사를 전국총회에 보고하여 선출할 수도 있다. 사무총장은 이사회의 동의를 얻어 총재가 임면하며, 중앙치프커미셔너(중앙훈육위원장), 국제커미셔너(국제훈육위원장), 중앙훈련원장(훈련커미셔너)는 커미셔너(훈육위원) 자격을 소지한 인물 중 전국총회에서 선출된다.
이사의 임기는 4년이며, 매 2년마다 절반씩 교체·선임된다.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동일 직책에서는 1회에 한해 중임할 수 있으며, 사무총장의 임기는 4년으로 역시 1회에 한해 중임할 수 있다. 이사의 임기는 선임된 날로부터 임기가 만료되는 연도의 정기 전국총회일까지이며, 총재는 전국총회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이사로 재임하는 기간 동안 유지된다.
중앙이사회는 연맹의 운영과 유지·발전, 업무 집행의 책임을 지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의결한다. 업무 집행 및 사업계획 수립, 예산·결산·차입금·재산의 취득 및 관리, 총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및 부의할 사항, 총재가 부의하는 사항, 고문 및 원로스카우트 추대, 중앙명예위원회 위원 및 커미셔너(훈육위원)·부국제커미셔너(국제훈육위원)·부훈련커미셔너(훈련훈육위원)의 선임, 각종 위원회의 설치 및 구성, 전국훈육지도자회의 제안사항 검토, 제복·장구·수품 관련 사항, 규정의 제정 및 개폐, 지방·특수연맹의 분할·통합·신설 등의 조직 개편 등 연맹 운영과 직결되는 핵심 정책을 결정한다.
2024년 5월 24일 기준,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이사회 구성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 직책 | 성명 | 소속/경력 |
총재 | 이찬희 | 법무법인 율촌 고문변호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 - 2022 ~ 현재 SBS 시청자위원회 위원장 - 2022 ~ 현재 前)제50대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 前)제94대 서울지방변호사회 회장 |
부총재 | 곽정현 | KG케미칼 대표이사 |
오무현 | 케이버스건설 대표이사 | |
이수경 | (주)보고파워 대표이사 | |
이항복 | (주) 건원엔지니어링 부사장 前)세계스카우트이사회(World Scout Committee) 의장 - 2011.01 ~ 2014.08 前)세계스카우트이사회(World Scout Committee) 부의장 - 2008.08 ~ 2011.1 前)세계스카우트연맹 아시아-태평양지역 지원재단 이사장 - 2007.10 ~ 2015.11 前)세계스카우트연맹 아시아-태평양지역 경영분과 의장 - 2004.10 ~ 2006.02 | |
정준 | (주)쏠리드 총괄 대표이사 前) 벤처기업협회 회장 - 2015 ~ 2017 前)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상장위원회 위원 - 2012 ~ 2013 | |
중앙치프커미셔너 | 김시범 | 국립안동대학교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협력위원회 위원 前) 제1대 한국캐릭터학회 회장 |
국제커미셔너 | 김근태 | 굿네이버스 글로벌파트너십센터 대외협력개발팀장 |
중앙훈련원장 | 조동식 | 마누팩토리 대표 |
사무총장 | 조경식 | 한국스카우트연맹 사무총장 |
직선이사 | 김영미 | 제13대 한국여성변호사회 사무총장 한국성폭력위기센터 이사 前) 학교폭력대책위원회(국무총리산하) 위원 |
신인순 |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 |
양재호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 |
유희수 | 전)한국스카우트연맹 훈련교수회 회장 | |
한동수 |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교수 前) 제12대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병원장 - 2019.03 ~ 2023 | |
황용하 | 컬럼비아대학교 금융경제학과 학부생 | |
이주석 | 가인치과원장 | |
지방대표 직선이사 | 최병수 (서울북부연맹) | 에이파트너스(주) 대표이사 |
문효순(서울남부연맹) | 한국스카우트서울남부 연맹장 | |
김희재(부산연맹) | (주)천강 대표이사 부산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 |
김영근(대구연맹) | 한국스카우트대구연맹 부연맹장 前)달성교육지원청 교육장 | |
신용우(인천연맹) | 시니어극단 애락 | |
박선주(광주연맹) | 한국스카우트광주연맹 치프커미셔너 광주남초등학교 교감 | |
차영환(대전연맹) | 한국스카우트대전연맹 부연맹장 前)대전태평초등학교 교장 | |
이삼희(울산연맹) | 한국스카우트울산연맹 부연맹장 前)온남초등학교교장 | |
김원기(경기북부연맹) | 한국스카우트경기북부연맹 연맹장 前)경기도의회 부의장 | |
엄기영(경기남부연맹) | 한국스카우트경기남부연맹 연맹장 창대종합건설산업(주) 대표이사 | |
정복현(강원연맹) | 한국스카우트강원연맹 연맹장 해성복지재단 대표이사 | |
신성식(충복연맹) | 한국스카우트충북연맹 연맹장 덕수산업 이사 | |
홍성관(충남세종연맹) | 한국스카우트충남세종연맹 부연맹장 前)성성중학교 교감 | |
(전북연맹) | (공석) | |
박정수(전남연맹) | 한국스카우트전남연맹 부연맹장 前)작천초등학교 교장 | |
손관수(경북연맹) | 한국스카우트경북연맹 연맹장 (주)우성이엔씨 대표이사 | |
정영식(경남연맹) | 한국스카우트경남연맹 연맹장 범한산업(주) 대표이사 | |
(제주연맹) | (공석) | |
이철우(가톨릭연맹) | 크레딧팩 대표 | |
공성용(원불교연맹) | 한국스카우트원불교연맹 커미셔너 원불교 청소년국 | |
성행스님(불교연맹) | 한국스카우트불교연맹 연맹장 의왕 청계사 주지 | |
서은배(기독교연맹) | 한국스카우트기독교연맹 연맹장 새인천교회 원로목사 | |
감사 | 이은항 | 세무법인 삼환 대표세무사 |
정찬수 | (주)헨리프로젝팅 대표이사 |
4.1.2. 중앙커미셔너회
한국스카우트연맹 헌장 제21조에 따르면, 중앙본부는 이사회 외에도 중앙커미셔너회를 운영하고 있다. 중앙커미셔너회는 커미셔너(훈육위원) 11명, 부국제커미셔너(국제훈육위원) 3명, 부훈련커미셔너(훈련훈육위원) 2명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사무총장을 제외한 임원으로서 사무총국 직책과는 겸직할 수 없다.중앙커미셔너는 중앙치프커미셔너(중앙훈육위원장)의 추천을, 부국제커미셔너는 국제커미셔너(국제훈육위원장)의 추천을, 부훈련커미셔너는 훈련커미셔너의 추천을 받아 각각 이사회에서 선출된다. 이들의 임기는 4년으로, 1회에 한해 중임할 수 있다.
중앙치프커미셔너는 총재를 보좌하며 스카우트 운동의 순정 유지와 기준 향상을 위해 <훈육 발전책 수립> 및 연맹의 각급 커미셔너 지도를 담당하고, 국제 및 훈련 관련 사항을 제외한 중앙커미셔너회(훈육위원회)와 전국훈육지도자회의 의장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국제커미셔너는 연맹의 국제적 지위 향상과 유대 강화를 위한 국제 사항을 총괄하며 전국훈육지도자회의 구성원으로, 국제 관련 사항에 관한 중앙커미셔너회(훈육위원회)의 의장을 맡는다. 중앙훈련원장(훈련커미셔너)은 연맹의 훈련 발전책 수립 등 훈련 사항 전반을 총재와 함께 관리하며, 전국훈육지도자회의 구성원이자 훈련 관련 사항에 관한 중앙커미셔너회(훈육위원회)의 의장을 수행한다.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중앙커미셔너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rowcolor=#fff> 직책 | 성명 | 소속/경력 |
중앙치프커미셔너 | 김시범 | 국립안동대학교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협력위원회 위원 前) 제1대 한국캐릭터학회 회장 |
프로그램담당커미셔너 | 정우식 | 우하장학회 이사장 |
비버스카우트담당 커미셔너 | 김유빛나라 | KDI 국제정책대학원생 |
컵스카우트담당 커미셔너 | (공석) | (공석) |
스카우트담당 커미셔너 | 박무성 | 핸즐 대표 |
벤처스카우트담당 커미셔너 | 장형규 | 국립해양과학관 팀장 |
로버스카우트담당 커미셔너 | 예승현 | 케이버스건설 사원 |
특별프로그램담당 커미셔너 | (공석) | (공석) |
조직1담당 커미셔너 | 하남칠 | 남해상주초등학교 교장 |
조직2담당 커미셔너 | 명수진 | 아시아나항공 차장 |
홍보1담당 커미셔너 | 엄덕기 | 춘천 우석초등학교 부장교사 |
홍보2담당 커미셔너 | (공석) | (공석) |
국제커미셔너 | 김근태 | 굿네이버스 글로벌파트너십센터 대외협력개발팀장 |
부국제커미셔너 | 이동욱 | 뉴욕대학교 Stern 경영대학원 처장 |
김도현 | 한국연구재단 연구원 | |
임재연 | 경희대학교 대학원생 | |
중앙훈련원장 | 조동식 | 마누팩토리 대표 |
부훈련 커미셔너 | 박혁수 | 벧엘농산 대표 |
홍성수 |
4.2. 지방/특수 연맹
지방연맹과 특수연맹은한국스카우트연맹의 지역 및 특수 환경에 맞춘 스카우트 조직으로, 대한민국 내 청소년들이 스카우트 활동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각 지방연맹은 해당 지역 내 스카우트 운동을 주관하며, 특수연맹은 특정한 대상[5]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지방/특수연맹의 주요 역할은 지역 내 스카우트 단체(단위대, 지구연합회 등) 지원 및 운영은 물론, 지도자 양성을 위한 지역 단위 훈련 프로그램 운영과 지역별 행사와 야영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중앙본부와 협력하여 전국 단위 행사의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지방/특수연맹이라는 이름에 맞게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청소년 활동 및 스카우트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다.
각 연맹은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본부의 정책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운영을 하며, 지역별 특성과 대상에 맞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지방/특수연맹 현황(2023년 2월 22일 기준) | ||
구분 | 연맹명 | 사무처 소재지 |
지방연맹 | 한국스카우트 서울북부연맹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한국스카우트 서울남부연맹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6] | |
한국스카우트 부산연맹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
한국스카우트 대구연맹 | 대전광역시 북구 | |
한국스카우트 인천연맹 | 인천광역시 중구 | |
한국스카우트 광주연맹 | 광주광역시 서구 | |
한국스카우트 대전연맹 | 대전광역시 중구 | |
한국스카우트 울산연맹 | 울산광역시 남구 | |
한국스카우트 경기남부연맹 | 경기도 수원시 | |
한국스카우트 경기북부연맹 | 경기도 고양시[7] | |
한국스카우트 강원연맹 | 강원도 춘천시 | |
한국스카우트 충북연맹 | 충청북도 청주시 | |
한국스카우트 충남연맹 | 충청남도 홍성군 | |
한국스카우트 전북연맹 | 전라북도 전주시 | |
한국스카우트 전남연맹 | 전라남도 무안군[8] | |
한국스카우트 경북연맹 | 대구광역시 북구 | |
한국스카우트 경남연맹 | 경상남도 창원시 | |
한국스카우트 제주연맹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특수연맹[9] | 한국스카우트 가톨릭연맹[10] | 서울특별시 종로구 |
한국스카우트 원불교연맹 | 전라북도 익산시 | |
한국스카우트 불교연맹 | 서울특별시 종로구 | |
한국스카우트 기독교연맹 | 인천광역시 남동구 |
다만 현재는 스카우트 단세가 많이 축소되어, 지방연맹 사무실에 직원이 없거나 시간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22개의 지방연맹이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에 따라 스카우트에 관련한 문의가 있다면 중앙본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4.3. 지구연합회
지구연합회는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지역 단위 조직으로, 각 지방연맹(Regional Scout Council) 산하에서 운영되며, 해당 지역 내 스카우트 단체(단위대, 지역 스카우트 조직 등)를 지원하고 지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스카우트연맹은 중앙본부 → 지방연맹 → 지구연합회 → 단위대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지구연합회는 지방연맹과 단위대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지역 내 스카우트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지구연합회는 실질적인 단위대 운영 지원과 대원 모집 및 지도자 양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구 단위 행사 및 행사를 개최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
4.4. 단위대
단위대(Unit 혹은 Troop)는 한국스카우트연맹에서 가장 기초적인 조직단위로, 실제로 대원들이 활동하는 기본적인 스카우트 단위 조직이다. 각 단위대는 대장(Scout Leader)과 부대장(Assistant Leader) 그리고 연령별 프로그램 참여자들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스카우트 기본 원칙과 프로그램에 따라 활동한다.
단위대는 크게 지역대(Community-based Unit)와 학교대(School-based-Unit)의 형태로 운영된다.
지역대와 학교대의 차이 | ||
지역대 (Coummunity-based-Unit) | 항목 | 학교대 (School-based-Unit) |
학교 내 스카우트 조직이 구성되지 않았거나, 특정 학교에 소속되지 않은 지역 청소년 | 대상 | 해당 학교 학생 증심 |
지역 사회 단체, 종교기관 등 | 설립기반 | 초,중, 고등학교 등 교육기관 |
지역 내 공공시설, 야외 활동 공간 등 | 활동장소 | 학교 내 강당, 운동장, 교실 등 |
단위대 대장 혹은 보호자 | 운영주체 | 교사(스카우트 지도교사) 혹은 학부모 |
다양한 연령대의 대원이 함꼐 활동 | 특징 | 학년별 체계적인 운영 |
과거에는 중학교, 고등학교에도 스카우트를 육성하는 학교들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학교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컵스카우트를 제외하고 학교대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은게 실정이다. 대부분의 스카우트와 벤처스카우트는 지역대 기반으로 자리를 옮겼다. 또한 학교대의 경우에는 담당 교사의 역량에 따라 스카우트 프로그램의 참여 범위와 프로그램 만족도 등이 달라져, 지속적으로 스카우트 활동을 희망하는 경우 지역대로 스카우트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도 왕왕 찾아볼수있다.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사전 선거 운동 논란
아래 적힌 내용은 사전 선거 운동이라고 법원이나 선거관리위원회가 결론을 내린 것이 아니며 단지 그렇게 볼 수도 있는 상황이라서 논란이 된다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1. 서울특별시교육청이 2007년부터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에 대해 승진가산점을 부여하기로 결정[11]한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서울남부연맹과 서울북부연맹이 합동으로 당시의 교육감인 공정택에게 감사패를 수여했다. 감사패를 수여하는 것까지는 좋은데, 2008년 서울교육감 선거를 앞둔 시기(수여한 때가 2008년 3월 첫째 주인데, 교육감 선거는 7월 30일)에 오직 공정택에게 감사패를 수여하는 그 행사 하나를 위해 대규모의 인원이 모일 수 있는 곳(사학연금회관 강당)을 빌려 대규모의 인원(서울의 스카우트 지도교사)을 모아놓고 행사를 벌인 것은 한국스카우트연맹이 감사패 수여를 빌미로 공정택의 사전선거운동을 해 준 것이라는 논란을 피할 수 없는 행태였다.
2. 서울남부연맹의 연맹장이던 강태선이 2013년 공항 폭행 사건으로 구설수에 오른 뒤 2014년에 임기가 만료되자 연임하지 않았고 서울남부연맹이 당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의 국회의원이었던 심윤조를 연맹장으로 위촉했다. 2008년과 마찬가지로 대규모의 인원이 모일 수 있는 곳(사학연금회관 강당)을 빌려 대규모의 인원(서울의 스카우트 지도교사)을 모아놓고 연맹장 취임식을 열었는데, 심윤조가 19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의 새누리당 의원이라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의 동료 국회의원[12]과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위원장이었던 김성태가 참석해서 축사한 것까지는 그럴 수 있다고 쳐도, 2014년 지방선거에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출마가 예정된 정몽준이 축사를 빌미로 참석한 것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 다만, 서울남부연맹이 정몽준을 초대한 게 아니라 대규모의 인원이 모이는 행사를 한다니까 정몽준이 찾아간 것이라면 서울남부연맹이 정몽준의 사전선거운동을 해 준 것은 아니게 된다.
5.2.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부실 운영 사건
6. 기타
6.1. 한국걸스카우트연맹과의 관계
스카우트 창시자 영국의 장성출신 로버트 베이든 포우엘 경이 소년들을 데리고 1908년 스카우트 단체를 만든 후, 1910년 아그네스 베이든 포우엘 여사가 당시 걸가이드(걸스카우트와 동의어)를 만들었으므로 그 역사는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도 있다.우리나라 보이스카우트의 기원을 1920년대로 보는 것에 반하여 걸스카우트는 대한소녀단이라는 이름으로 1946년 활동을 시작하였다.
1985년 스카우트 국제야영대회를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과 한국걸스카우트연맹이 공동으로 개최한 것을 계기로 두 단체의 교류가 활발해졌고[13] 나아가서 통합이 논의되었으나 지분 싸움 끝에 무산되었고, 2001년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만 한국스카우트연맹으로 이름을 바꾸고 걸스카우트연맹의 반대를 가볍게 누르고 여자대원 등록도 가능하게 바꾸었다.[14]
보이스카우트라는 명칭 및 연령별 구분 명칭 즉, 유년대(초등생 연령, 현재 컵스카우트) - 소년대(중학생 연령, 현재 스카우트) - 연장대(고등학생 연령, 현재 벤처스카우트) - 연구대(대학생 연령, 현재 로버스카우트)가 개편되었고, 걸스카우트에서는 유녀대 - 소녀대 - 연장대 - 연구대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중이다.
통상 스카우트 활동, 스카우트 정신 등으로 쓰이는 스카우트라는 단어는 보이/걸을 아우르는 표현이지만[15], 현재 우리나라의 스카우트라는 단어는 보이스카우트만을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이었던 단체가 한국스카우트연맹으로 이름을 바꾸고 여자 대원을 받아들이고 있을 뿐 보이/걸이 합쳐져서 스카우트가 된 것이 아니며[16] 사단법인/주체가 통합된 것도 아니므로 여전히 한국걸스카우트연맹은 별도로 존재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걸스카우트 또한 남자대원을 받을 수는 있는 것으로 하나 실제적으로는 모든 프로그램이 여자대원에게 맞추어져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심지어 걸스카우트에는 남성지도자의 유니폼도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없다.
[1] 소년 척후단 조선 총연맹[2] 보이스카우트 출신 첫 대통령이라는 점 때문에 명예 총재로 추대됐다. [3] 80년대 이전 보이스카우트 단복 스카프에도 준비가 풀어쓰기로 나염되어 있었다.[4] 지금도 남아있고 실제로 활용되는 강원도 세계잼버리수련장은 ‘스카우트세계잼버리’ 행사를 위해 만든 시설이지만, 설립과 소유의 주체는 대한민국과 강원도이다. 이것은 당시에 이 행사에 국가 차원의 지원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한국스카우트연맹(정확히는 한국스카우트 강원연맹)은 그저 이 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일 뿐이다.[5] 일반적으로 한국스카우트연맹에서는 특정 종교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6]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본부와 사무실을 공유한다.[7]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훈련원 내 사무실이 위치한다.[8] 전남도청 건물 바로 옆에 위치해있다[9] 특수연맹은 그 특성상 사무처의 위치와 별개로 지구연합회 형태로 전국 단위로 펼쳐져 있다.[10] 가톨릭연맹은 걸스카우트와의 교류가 활발한 특수연맹 중 하나이다[11] 청소년단체 지도자 연수를 받고 3년 동안 청소년단체를 지도하면 4년째부터는 가산점을 준다.[12] 민주당계 정당 소속이었다.[13] 중앙연맹 차원에서 그랬다는 것이지 이전부터 일선 학교에서는 등록만 따로 하고 활동은 같이 했다. 지도교사도 남교사 1명, 여교사 1명인 경우도 있었지만 겸임인 경우도 있었고, 캠핑이나 수련회는 항상 같이 갔다.[14] 보이스카우트는 1991년 강원도 고성군 설악산 일대에서 제17회 세계잼버리를 개최했고 이 때를 기회로 연맹이 세를 확장했다.[15] 다만 세계적으로 보면 자국의 연맹을 걸스카우트 대신 걸가이드라고 하는 나라가 있기 때문에 그쪽은 스카우트와 가이드로 구분한다.[16] 통합 스카우트가 있는 나라도 있는데, 그런 나라들은 보통은 '스카우트 및 가이드 연맹'으로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