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2:20:17

헬리코프리온(ARK: Survival Ascended)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수중생물
#!if 문서명2 != null
, [[ARK Additions]]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헬리코프리온
Helicoprion
{{{#!wiki style="background-color: #06adf0;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3px 0px 0px; padding: 0px 4px; border-radius: 2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2px; border-color: #06adf0"
'''
파일:어센디드 헬리코프리온 도감.webp[1]
<colbgcolor=#152839><colcolor=#06adf0> 종명 헬리코프리온 프렌도
(Helicoprion frendo)
시기 페름기 전기(Early permian)
식성 연체동물 포식자(Soft bodied prey)
성향 관대한(Relaxed)
조련 여부 가능(평화 조련)
추가 DLC ASA
{{{#!wiki style="margin:0 -10px -2px"
{{{-1 {{{#!folding [ 추가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탑승 및 운반 여부
탑승 가능
수상 전투 여부
불가능
안장 정보
선호 먹이
드랍 아이템
}}}}}}}}}}}} ||

1. 개요2. 상세3. 성능 및 특징
3.1. 스폰 지역3.2. 조련 방식3.3. 장단점3.4. 다른 생물들과의 비교
4. 설정 및 스토리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아크 헬리코프리온.png

게임 ARK: Survival Ascended헬리코프리온.

2. 상세

ASA의 공식 생물로 추가된 ARK Additions의 생물. ASE 모드에는 2021년에 10월에 업데이트 되었고, 공식 생물로는 2025년 8월 20일에 업데이트되었다.

기괴하게 생긴 턱의 형태로 유명한 은상어와 가까운 어류이며, 기존의 비슷한 상어메갈로돈에 비해서도 앞뒤로 길쭉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컨셉아트에서는 민무늬였으나, 제작 과정에서 표범과 유사한 고리 무늬가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학명인 헬리코프리온 프렌도(Helicoprion frendo)는 "갈기갈기 찢는 나선형 턱" 이라는 뜻이다.

이볼브드의 모드 시절에는 원종 외에도 아종으로 세로 줄무늬가 그려져 있는 대양 X종과, 줄무늬가 가로로 그려져 있고 눈이 세로 형태를 하고 있어 사나운 이미지인 R종이 존재했다.
파일:아머드 헬리코프리온.jpg
아머드 헬리코프리온
ASA 모드에는 판피어처럼 단단한 껍질을 가진 외형의 '아머드(Armored)' 아종이 존재한다.

3. 성능 및 특징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06adf0><width=50%> 1레벨 기준 기본 능력치 ||<-4><width=50%> 스탯 증가율 및 보너스 ||
스탯 요소 기본 능력치 스탯 증가율 (야생/조련) 조련 시 보너스
파일:ARKHealth.png 체력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1300 <colbgcolor=#fff,#000><colcolor=#af3030>+260 <colbgcolor=#fff,#000><colcolor=#599f33>+6.075%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보너스 x보너스 배수
파일:ARKStamina.png 기력 500 +25 +10%
파일:ARKFood.png 음식 2000 +200 +10% 15%
파일:ARKWeight.png 무게 500 +10 +5.5%
파일:ARKMeleeDamage.png 근접공격력 50[죄클] / 70[우클] +2.5/+3.5 +1.7% +7%/*17.6%
파일:아크제작기술.png 제작기술 0% +야생배율 +0.2%
파일:ARKSpeed.png 이동속도 100% N/A +조련배율
파일:ARKTorpidity.png 마비수치 800 +48 N/A 0.5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06adf0><width=15%><|2> 이동 방식 ||<-2><width=35%> 기본 속도 ||<-2><width=35%> 질주 속도 ||<width=15%><|2> 소모 기력 ||
야생 조련 야생 조련
<colbgcolor=#152839><colcolor=#06adf0> 수중 <rowcolor=#000,#fff>847.39 847.39 2011.10 2011.10 파일:ARKStamina.png -기력

야생의 헬리코프리온은 아크의 플레이어만 보면 눈돌아가는 대부분의 수중생물들과 달리, 비선공이다. 다만 공격받으면 반격하므로, 특히나 후술할 특수능력들을 고려했을때 혼자서 상대하는 건 좋지 못한 선택이다.

ASE/모드 시절에는 메갈로돈보다 살짝 약한 정도의 스탯이었으나, ASA에서 정식 추가되며 스탯이 렉스 급으로 버프되었다. 물론 수중 생물들은 평균 능력치가 육지 생물들보다 높으므로 아주 강한 편은 아니고 적당한 정도.

길들인 헬리코프리온은 다음과 같은 특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파일:헬리코프리온 브리칭.jpg
브리칭 하는 헬리코프리온

헬리코프리온의 핵심 능력은 특유의 턱을 이용해 아이템을 갈아 설계도를 만드는 것이다. 턱으로 장비를 갈을 수 있다는 점은 트로페오그나투스와 유사하나, 공업용 분쇄기처럼 원재료를 내놓는 트로페오와 다르게 설계도를 내놓는 것이 차이점으로, 여지껏 나온 생물 중 가장 파격적인 능력이다.

인벤토리에 넣은 아이템을 선택한 뒤, 스탯 표시창 밑의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일정 시간만큼 헬리코프리온이 분쇄기 소리를 내며 아이템을 설계도로 변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탑승이 불가능하며, 설계도로 변환되는 시간은 등급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1~2분 정도 걸린다.

성공 시 "Success! Blueprint recorded thanks to your Heli!" 라는 문구가 뜨며, 실패 시 "Oh No! It looks like the Heli broke your equipment..." 라는 문구와 함께 복어의 신음소리가 재생된다.[6]

이렇게 파격적인 능력인 만큼 어느 정도 제약이 존재한다.

물론 이 정도의 제한이라고 해도 보상이나 보급으로 고등급 아이템을 받았을 때 설계도가 아닌 완제품일 때의 아쉬운 점을 해결할 수 있으니 어느 정도의 밸런스를 위한 조치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완제품 아이템은 설계도보다 성능이 뛰어난 경우가 종종 있기에 여전히 매우 유용하다.

헬리코프리온의 안장은 91레벨에 해금되며, 안장 장착 시 아르젠타비스처럼 안장을 대장간처럼 이용할 수 있다. 설계도를 만들 수 있다는 점과 일부 아이템 무게 감소 효과와 연계할 수 있다.

3.1. 스폰 지역

(공룡 이름) 스폰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흔함 << >> 희귀
줄이 그어져 있음: 조련 불가 / 테두리: 동굴 내부 생성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디 아일랜드 더 센터 스코치드 어스 라그나로크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에버레이션 익스팅션 발게로 제네시스: 파트 1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크리스탈 아일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

3.2. 조련 방식

헬리코프리온은 평화 조련이다. 전체적인 과정은 앤드류사쿠스와 유사하다.

조련 전 준비물로는, 다수의 보급 아이템과 전용 먹이가 필요하다. 전용 먹이인 "Little Ratfish Treats!"[8]는 요리용 냄비나 공업용 밥솥에서 벌꿀 1개와 암모나이트 담즙 10개, 투소테우티스 촉수 2개로 만들 수 있다.

길들이려는 헬리코프리온의 주변을 정리한 후, 보급으로 얻은 '망가질 듯한' 등급 이상의 아이템 하나를 던져놓는다.[9] 그러면 헬리코프리온이 흥미를 보이며 다가와 아이템을 으적으적 갈아버릴텐데, 이때 다가가 E키를 눌러 탑승한다. [10]

탑승한 상태에선 헬리코프리온이 플레이어를 떨쳐내려는 듯 몸부림치기 시작하는데, 일정 시간마다 아이템 바 위에 WASD + 스페이스바 중 하나를 누르라는 문구가 뜬다. 제때 눌러 헬리코프리온에게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이 과정을 몇번 반복하다 보면 헬리코프리온이 지친 상태가 되고, E키를 누르란 문구와 함께 전용 먹이를 먹일 수 있게 된다. 먹이를 먹이면 헬리코프리온에게서 하차되며, 조련이 진행된다. 이 과정을 조련이 왼료될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

만약 타이밍을 놓치거나 잘못 누를 경우 강제 하차되는데, 헬리코프리온이 어그로가 끌려 공격적인 상태로 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헬리코프리온은 방어구 해체나 스턴같이 플레이어 상대론 카운터나 다름없는 능력들로 무장했기 때문에[11], 빠르게 조련된 생물에 탑승하는 식으로 탈출해 어그로가 풀리길 기다려야 한다.
모드 시절에는 단순히 다가가 먹이를 먹이는 평화 조련이었으나, 정식 출시 후엔 위와 같은 조련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전용 먹이 재료에 암모나이트 담즙이 들어가는지라 먹일 때마다 암모나이트 담즙의 어그로 효과를 가진 입자를 내뿜으며, 이걸 맞은 플레이어에게는 어그로 효과가 붙게 되어 주변 생물들에게 어그로가 끌려 조련 도중 죽을 수 있다. 그나마 다행히도 헬리코프리온 본체는 어그로가 안 끌린다.

추가로 조련 시 메갈로돈이 고정 2마리가 스폰되기에 이들을 포함한 각종 수중생물들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관건이다. 물론 주변에 스폰만 되지, OSD마냥 헬리코프리온에게 무조건 달려들거나 하지는 않고 거리를 두고 야생 개체가 스폰되는 것인지라 데이노수쿠스나 투소테우티스, 메갈로돈이나 모사사우루스 같은 강력한 수중생물이 있다면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다.

3.3. 장단점

3.4. 다른 생물들과의 비교

4. 설정 및 스토리

5. 여담

파일:에디션즈 헬리 스킨.jpg
'The Beast' 스킨

6. 둘러보기

파일:ARKSE.png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수중생물
🐟 어류
🐍 해양 파충류
🐳 해양 포유류
🦀 무척추동물

[1] 공식 생물로 넘어오면서 도감 디자인이 바뀌었다.[2] "작은 은상어용 먹이"라는 뜻이다.[죄클] [우클] [5] 이는 실제 헬리코프리온의 턱이 벨렘나이트 같은 두족류 생물들을 효율적으로 사냥하기 위한 결과물이라는 연구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6] 공식으로 넘어오면서 이 복어 소리의 키가 낮아져서 얼핏 들으면 놓칠 수 있다.[7] 헬리코프리온 출시 시점 기준, ASA에는 제네시스 DLC가 출시되지 않았으나 ASE에선 미션 보상으로 얻은 아이템도 변환 가능했으므로 가능하리라 추정된다.[8] '작은 은상어용 간식' 이라는 뜻이다.[9] 이미 망가진 아이템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아쉽게도 쓰레기 처리는 할 수 없다[10] 이때 잘 보면 플레이어가 헬리코프리온의 가슴 지느러미에 매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1] 플레이어는 다른 생물들과 달리 마비 수치의 일정량만 도달해도 기절해버리는데, 헬리코프리온의 꼬리치기 공격은 즉시 가해지는 마비 피해가 커서 높은 확률로 한방에 플레이어를 기절시킬 수 있다.[12] 예를 들어, 자원을 생산해낼 수 있는 가챠는 이성 개체 한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동족들이 주변에 있으면 우울해지며, 비슷하게 자원을 생산해내는 아카티나는 전투는 아예 불가능하고 먹이로 달콤한 야채 케이크라는 고급 자원만 먹고, 다양한 특수능력과 패시브를 가진 리니오그나타는 조련 난이도가 극악일뿐더러 교배도 안되고, 육아 관련 능력을 가진 기간토랍토르와 메윙은 각각 이런저런 제한 사항이 많거나 자체적인 전투력이 빈약하다는 식이다.[13] 좋은 예시로 유티라누스가 있는데 아크 생물들 중에서도 독보적인 서포터 역할 덕분에 추가된지 9년 이상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티라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생물은 없다.[14] 케라토사우루스, 크시팍티누스, 아르켈론, 데이노수쿠스, 데이노테리움[15] 데이노수쿠스의 경우 Surface Swimming과 Free Swimming 상태가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