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00:00:46

회화적 연습곡

라흐마니노프의 전 작품
{{{#!wiki style="margin:0 -11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word-break:keep-all;"
Op부제 Op부제
1 피아노 협주곡 1번 24 인색한 기사
2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 25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3 환상적 소품 26 15개의 노래
4 6개의 노래 27 교향곡 제2번
5 모음곡 1번 28 피아노 소나타 1번
6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살롱 소품 29 교향시 '죽음의 섬'
7 교향시 '바위' 30 피아노 협주곡 3번
8 6개의 노래 31 성 요한 크리소스톰 전례
9 슬픔의 3중주 32 전주곡
10 살롱 소품 33 회화적 연습곡
11 6개의 소품 34 14개의 노래
12 교향시 '보헤미안 카프리스' 35
13 교향곡 제1번 36 피아노 소나타 2번
14 12개의 노래 37 철야기도
15 6개의 합창 38 6개의 노래
16 악흥의 순간 39 회화적 연습곡
17 모음곡 2번 40 피아노 협주곡 4번
18 피아노 협주곡 2번 41 3개의 러시아 노래
19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42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
20 칸타타 '봄' 43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21 12개의 노래 44 교향곡 제3번
22 쇼팽 주제에 의한 변주곡 45 교향적 무곡
23 전주곡
편곡들 기타 작품들 }}}}}}}}}

• Op. 33 전곡

• Op. 39 전곡

1. 개요2. 구성
2.1. Op.332.2. Op.39
3. 관련 문서

1. 개요

Études-tableaux Op.33 & Op.39 / Этюды-картины

러시아계 미국인 작곡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가 작곡한 피아노를 위한 연습곡.[1] 프랑스어로 된 복수형 제목이며, 에튀드 한 곡만 단수로 기재할 때는 프랑스어 문법에 맞게 합성단어 양쪽 끝에 s와 x를 동시에 떼서 Etude-tableau 라고 적어야 한다. 작품번호 33번과 39번, 두개의 작품번호로 나뉘어 출판되었으며, Op.33과 Op.39 각각 9개의 곡들로 이루어진 총 17곡[2]의 에튀드다. 뛰어난 피아노 연주가였던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인 만큼 상당히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고 있다. Op.33보다 Op.39가 테크닉적으로나 음악적으로 연주하기 더 어렵다. Op. 33은 작곡자 본인의 Op. 32 전주곡을 작곡한 이듬해에 쓰여졌으며 그 영향을 받은 전주곡 성향을 많이 볼 수 있다. Op. 39는 사실상 그의 러시아 시절에 작곡된 거의 마지막 곡으로 그의 더 성숙해진 음악적 세계와 내면, 작곡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오토리노 레스피기에 의해 일부 곡들이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
IMSLP 링크(Op.33)
IMSLP 링크(Op.39)

2. 구성

2.1. Op.33

눈보라를 연상시키는 이 곡은 Op. 33, 39를 통틀어 가장 기교적인 곡 중 하나이며, 약 1분 40초 가량 소요되는 짧은 연주시간에 국내에서 대학입시 및 콩쿠르 곡으로 많이 들고 나오는 곡이기도 하다. 하지만 짧다고 골랐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도 많다. 한번 건반에서 미끄러지는 순간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버리는 곡.

2.2. Op.39


3. 관련 문서


[1] 초기 구상은 연습곡보다는 전주곡(Prelude)에 더 가까웠다고 한다. 그만큼 테크닉적인 연습보다는 음악성에 더 비중을 둔 곡. 이라고 하지만 엄청나게 어렵다..[2] 18이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17곡이 맞다. Op.33은 8곡, Op.39가 9곡.그 이유는 원래 Op.33이었던 1곡(현재 Op.39 no.6)을 빼다가 Op.39에 넣어서 Op.39가 9곡이 된 거다.[3] 근데 실제로 조성이 C major인지 의심을 사기 좋은 곡이다. 통상적으로 C major라고 할 때 연상되는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A] 라흐마니노프 사후 출판되었다.[A] 라흐마니노프 사후 출판되었다.[6] 라흐마니노프가 마음에 들지 않은 작품은 빼버렸기 때문에 이 곡을 No. 4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빠진 작품은 Op. 39 에서 다시 사용되었다.[7] 그 이유 중 하나는 쇼팽의 op.10 no.1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