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1:18:35

후두드

Hudud

1. 개요2. 형벌의 예3. 도입 관련 논쟁
3.1. 도입되어야 한다3.2. 도입되어서는 안 된다

1. 개요

이슬람식 형벌이며 샤리아의 일부분. 이미 많은 이슬람 국가들이 시행하고 있으며 비이슬람 국가 및 세속주의 국가들에서도 저 정도는 아니나 유사한 형벌이 시행되고 있다. 싱가포르도 유사한 형벌을 적용한다.

2. 형벌의 예

3. 도입 관련 논쟁

사실 이 논쟁은 말레이시아에 초점을 두고 있다.

3.1. 도입되어야 한다

말레이시아가 비록 이웃나라보다는 안전한 편이고 이것이 외국인들이 말레이시아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지금도 마냥 편하지는 않다. 특히 에서는 소매치기절도 등의 도둑질들과 살인과 같은 중범죄가 장난이 아니다. 비무슬림들이나, 심지어는 무슬림조차도 중동 일대에서 온 사람들이 과음으로 깽판을 쳐서 문제가 되고 이로 인한 범죄가 한둘이 아니므로 도입을 찬성하는 사람들이 많다.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을 중심으로 도입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여당인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지지자들 중에도 도입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많다. PAS가 집권하는 클란탄에서는 압도적으로 찬성하며 한때 집권했던 트렝가누에서도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 외의 타 지역에서도 지지는 세다. 이 때문에 클란탄과 트렝가누가 각각 1993년과 2002년에 주의회에서 법률을 통과시켰으나, UMNO 측에서는 '논란 중', '국제화 방해' 등을 이유로 기각했다. 그렇지만 지지자들은 많은 상황.

3.2. 도입되어서는 안 된다

후두드 형벌은 시대착오적이며 인권을 유린하는 일종의 폭력에 불과하다. 비록 범죄자들이 타인의 인권을 대놓고 유린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걸 이유로 그 범죄자의 인권을 유린해서는 안 된다. 형벌은 범죄자를 반성하게 하는 수단이지, 보복권이 전혀 아니다.

몇몇 사람들은 '이슬람'이라는 여부를 떠나서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일단 종교적 유무를 떠나서 지금은 21세기이고 국제화시대이다. 이런 현시대에 후두드는 매우 구시대적이며 원시시대나 중세시대에나 있을법한 잔인한 폭력이다. 현대에는 대대적으로 커봤자 노동교화형 등으로 대체되거나 사회적 격리 등으로 대체되는데 이 형벌은 필요도 없다.

찬성론자들은 종종 이 형벌이 범죄율을 낮춰주고 범죄를 최대한 막아준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럴까? 이미 후두드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은 범죄율 자체는 낮지만, 대신에 재범률이 의외로 높은 편이다. 그리고 이런 나라 사람들은 형벌의 무시무시함 때문에 겉으로나 잘할 뿐이지, 실제로는 억압된 사회 등에서 분노가 쌓여 한 쪽으로는 못되게 변한다. 왜 말레이시아 내 이러한 국가 출신의 외국인들의 범죄가 왜 화두가 될까? 본국에서 후두드를 포함한 억압된 분위기로 인해 분노가 쌓이면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여기서는 대놓고 그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다.

찬성론자들이 종종 비교하는 싱가포르의 경우 범죄율은 낮으나 대신 사람들의 기본 예의가 없다. 물론 싱가포르 내에서는 예의를 많이 지키고 올바르게 행동한다. 그렇지만 정작 이들이 해외로 가면 180도 달라진다. 외국에서는 툭하면 문제를 일으키고, 기본 예의를 지키지 않는 등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또 굳이 싱가포르가 아니더라도, 이런 형벌을 적용하는 나라들 사람들은 자유로운 선진국 등에 간다, 그러면 과속운전을 하거나 사소한 일에도 성질을 내는 등 현지인들에게 종종 '과격하다'라는 인상을 준다. 후두드는 사람들을 이렇게 만드는 한 가지 요인이다.

예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집권했을 때 그 전에 권력을 잡으면서 폭력을 휘두르던 백인 경찰들이 당시 저질렀던 만행들을 있는 그대로 폭로했다. 그런데 주목해야 할 점은 이 때, 만델라가 '만약에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증명하면 용서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오히려 악랄한 범죄를 저지르며 인권을 유린했음에도 '용서'와 '사랑'을 통해서 과거사 청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다. 만약에 만델라가 '너희가 잘못한 만큼 갚아주겠다'고 했으면, 과연 경찰들이 자신의 잘못을 그대로 풀어놨을까? 오히려 부인하고 뒤에서 더 큰 범죄를 저지르고 다녔을 것이다.

따라서 후두드는 적용돼서는 안 된다. 이것은 시대와 세상을 불문하고 그저 타인의 인권을 유린하는 행동일 뿐이며, 범죄를 척결한다는 근거도 결론적으로는 '거짓'일 뿐이다. 아무리 형벌이 엄하다고 해서 범죄를 척결할 수 있는 건 아니다. 겉으로는 척결한 듯 할 뿐이지 실제로는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 때문에 후두드는 도입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