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23:49:11

히카르두 오르타

1 [[마테우스 마갈량이스|마테우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8B2B; font-size: .8em"]] · 2 고메스 · 4 니아카테 · 11 호제르 · 12 티아구 사 · 15 올리베이라 · 16 살라사르 · 17 멘데스 · 20 가르비 · 21 [[히카르두 오르타|H. 오르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8B2B; font-size: .8em"]]
26 아리음비 · 27 브루마 · 28 J. 무티뉴 · 47 카르발류 · 88 카스트로 · 91 흐르니체크 · # 밤부 · # 마르티네스 · # 페르난데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카를루스 카르발랼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SC 브라가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히카르두 오르타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알리안츠컵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LIGA.PORTUGAL.bwin.png
2021-22 · 2022-23
}}} ||
파일:709841_ori__20201007143207_ricardo_horta.png
<colbgcolor=#d2232a><colcolor=#ffffff> SC 브라가 No. 21
C
히카르두 오르타
Ricardo Horta
본명 히카르두 조르즈 루스 오르타
Ricardo Jorge Luz Horta
출생 1994년 9월 15일 ([age(1994-09-15)]세)
포르투갈 소브레다
국적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신체 173cm / 체중 63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세컨드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d2232a><colcolor=#ffffff> 유스 Ginásio Corroios (2003~2004)
SL 벤피카 (2004~2011)
비토리아 FC (2011~2013)
선수 비토리아 FC (2013~2014)
말라가 CF (2014~2017)
SC 브라가 (2016~2017 / 임대)
SC 브라가 (2017~ )
국가대표 12경기 4골[1] (포르투갈 / 201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2232a><colcolor=#ffffff> 등번호 포르투갈 대표팀 - 21번
SC 브라가 - 21번
가족 동생 안드레 오르타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포르투갈 국적의 SC 브라가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2.1. 비토리아 FC

2011년에 SL 벤피카 유스팀에서 비토리아 드 세투발의 유소년팀에 합류했다. 2013년 4월 7일, 그는 2-1로 패한 히우 아브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크리스티아누[2]와 후반전에 교체 투입되며 1군 데뷔전을 치렀다. 시즌 6경기에 출장했으며 모두 교체로 출장하였다.

2013년 12월 9일,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13-14 시즌 35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넣으며 주전으로 활약했다.

2.2. 말라가 CF

2014년 7월 12일, 라리가말라가와 5년 계약을 맺었다. 8월 23일, 아틀레틱 빌바오와의 홈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팀도 1-0으로 승리하였다.

2015년 1월 6일, 2-0으로 이긴 레반테와의 코파 델 레이 16강전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 2015-16시즌 19경기에 출전했다.

2.3. SC 브라가

2016년 7월 5일, SC 브라가로 1년 임대되었다. 시즌 44경기 6골을 기록하며 이듬해 완전 영입 되었다.

그는 두 번째 시즌과 세 번째 시즌에 각각 리그 11골과 8골을 넣으며 연속 4위를 차지했다.

2020년 1월 25일, FC 포르투와의 타사 다 리가 결승전에서 득점하며 브라가의 우승으로 이끈다.

같은 해 12월 10일, FC 조랴 루한스크와의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홈 경기에서 득점하며 팀의 2-0 승리를 이끌었다.

2021년 5월 23일, 타사 드 포르투갈 결승전에서 벤피카를 2-0으로 꺾고 클럽 역사상 세 번째로 컵 대회를 우승하였다.

2021년 8월 3일, 브라가는 오르타가 €15M의 이적료로 메이저 리그 사커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에 입단할 기회가 생겼지만 본인은 아직 때가 아니라며 거절했다고 밝혔다.

2023년 4월 6일, 브라가와 2028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바이아웃은 €30M.

2024년 1월 28일, GD 이스토릴 프라이아와의 타사 다 리가 결승전에서 로드리고 살라자르가 올린 코너킥을 그대로 발리로 차서[3] 동점골을 넣었고, 추가적인 득점 없이 1:1로 끝난 상황에서 페널티킥도 성공시키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4년 툴롱 토너먼트와 2015년과 2017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포르투갈 U-20 대표팀의 일원이었다. 특히 체코에서 열린 2015년 대회에서 준우승에 공헌했다.[4]

2014년 9월 7일, 0-1로 패한 알바니아와의 UEFA 유로 2016 예선 홈경기에서 후반전에 윌리엄 카르발류와 교체되어 처음으로 성인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다.[5]

2022년 6월 2일, 스페인과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 출전하면서 거의 8년만에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다. 이 경기에서 후반 37분 동점골을 기록하며 국가대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22년 12월 3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2강 H조 3차전 대한민국전에서 전반 6분 디오구 달로트의 컷백을 받아 선제골을 넣었지만, 팀은 전반 27분 김영권에게 동점골을 내주고 후반 추가시간에 황희찬에게 역전골을 허용하며 패배했다. 그래도 다행히 우루과이와 가나가 서로 동반 탈락한데다 포르투갈은 일찌감치 16강이 확정된 상태였기에 큰 타격은 없었다.[6]

4. 플레이 스타일

강력한 발목 힘에서 나오는 강력하면서도 섬세한 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자로 잰 듯한 정확한 크로스가 특기이며, 페널티 킥도 잘 찬다. 기본기도 잘 잡혀있어 번뜩이는 드리블과 패스를 선보이기도 하고 연계 플레이도 곧잘 해낸다.

오프더볼 움직임도 오르타의 돋보이는 장점 중 하나로 공격 시에는 민첩한 발과 좋은 위치 선정을 통해 라인을 깨부수고 득점을 해내는 골들이 많다. 수비 시에도 전방 압박과 수비에도 성실히 가담한다.

다만, 경기력의 기복이 있다는 게 단점. 경기가 잘 풀리는 날에는 혼자서 공격을 진두지휘하고 득점까지 해내는 크랙의 모습을 보이지만, 잘 풀리지 않을 때에는 장점들이 잘 발휘되지 않고 오히려 지워지는 일이 많다. 특히 골 결정력의 기복이 매우 커서 1:1찬스에서 해결을 못하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5. 여담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브라질 국기.svg GK 마테우스 마갈량이스 Matheus 부주장
2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빅토르 고메스 Víctor Gómez
3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호브송 밤부 Robson Bambu
4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시쿠 니아카테 Sikou Niakaté
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누누 시케이라 Nuno Sequeira
1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호제르 페르난드스 Roger Fernandes
1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GK 티아구 사 Tiago Sá
15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파울루 올리베이라 Paulo Oliveira
16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MF 로드리고 살라사르 Rodrigo Zalazar
17 파일:스웨덴 국기.svg DF 조 멘데스 Joe Mendes
18 파일:브라질 국기.svg DM 비토르 카르발류 Vitor Carvalho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아드리안 마린 Adrián Marín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이스마엘 가르비 Ismaël Gharbi
2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히카르두 오르타 Ricardo Horta 주장
2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피찌 Pizzi
2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DF 크리스티안 보르하 Cristian Borja
27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브루마 Bruma
2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주앙 무티뉴 João Moutinho
29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장밥티스트 고르비 Jean-Baptiste Gorby
8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안드레 카스트루 André Castro
91 파일:체코 국기.svg GK 루카시 호르니첵 Lukáš Horníček
#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가브리 마르티네스 Gabri Martinez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 #C6B57C;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rowcolor=#C6B57C>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디오구 코스타
(Diogo Costa)
1999년 9월 19일 ([age(2000-08-13)]세) 31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12 히카르두 벨류
(Ricardo Velho)
1998년 8월 20일 ([age(1998-08-20)]세) 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C 파렌스
22 후이 실바
(Rui Silva)
1994년 2월 7일 ([age(1994-02-07)]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DF 2 넬송 세메두
(Nélson Semedo)
1993년 11월 16일 ([age(1993-11-26)]세) 39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3 후벵 디아스
(Rúben Dias)
1997년 5월 14일 ([age(1997-05-14)]세) 64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4 안토니우 실바
(António Silva)
2003년 10월 31일 ([age(2003-10-31)]세) 16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5 디오구 달로트
(Diogo Dalot)
1999년 3월 18일 ([age(1999-03-18)]세) 25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3 헤나투 베이가
(Renato Veiga)
2003년 7월 29일 ([age(2003-07-29)]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9 누누 멘데스
(Nuno Mendes)
2002년 6월 19일 ([age(2002-06-19)]세) 3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20 주앙 칸셀루
(João Cancelo)
1994년 5월 27일 ([age(1994-05-27)]세) 59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토마스 아라우주
(Tomás Araújo)
2002년 5월 16일 ([age(2002-05-16)]세) 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MF 6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1995년 7월 9일 ([age(1995-07-09)]세) 33 2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8 브루노 페르난데스
(Bruno Fernandes)
1994년 9월 8일 ([age(1994-09-08)]세) 75 2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0 베르나르두 실바
(Bernardo Silva)
1994년 8월 10일 ([age(1994-08-10)]세) 97 1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5 주앙 네베스
(João Neves)
2004년 9월 27일 ([age(2004-09-27)]세) 1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16 오타비우
(Otávio)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21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18 후벵 네베스
(Rúben Neves)
1997년 3월 13일 ([age(1997-03-13)]세) 45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23 비티냐
(Vitinha)
2000년 2월 13일 ([age(2000-02-13)]세) 2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 사무 코스타
(Samú Costa)
2000년 11월 27일 ([age(2000-11-27)]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FW 7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주장 아이콘.svg
(Cristiano Ronaldo)
1985년 2월 5일 ([age(1985-02-05)]세) 216 13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9 프란시스쿠 트링캉
(Francisco Trincão)
1999년 12월 29일 ([age(1999-12-29)]세) 8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11 주앙 펠릭스
(João Felix)
1999년 11월 10일 ([age(1999-11-10)]세) 43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4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Francisco Conceição)
2002년 12월 14일 ([age(2002-12-14)]세) 7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7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1999년 6월 10일 ([age(1999-06-10)]세) 35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21 디오구 조타
(Diogo Jota)
1996년 12월 4일 ([age(1996-12-04)]세) 46 1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 페드루 네투
(Pedro Neto)
2000년 3월 9일 ([age(2000-03-09)]세) 13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일정 2024-25 UEFA 네이션스 리그 A 2024년 10월 12일(토) 원정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024년 10월 15일(화)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


[1] 2023년 11월 20일 기준[2] 브라질 출신의 1983년생 미드필더. 본명은 Cristiano Moraes de Oliveira[3] 얼마 전에 열렸던 중국과 카타르의 아시안컵 조별예선에서 하산 알 하이도스가 넣었던 골과 흡사하다[4] 결승전에서 스웨덴에게 승부차기 끝에 4-3으로 패배하였다.[5] 이 경기의 패배로 당시 포르투갈 대표팀 감독이었던 파울루 벤투가 사퇴 형식으로 경질되었다.[6] 이후 8강 모로코전에서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