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총리제 | ||||
대통령제 | |||||
국무령제 | |||||
국무위원제 | |||||
주석제 | |||||
대한민국 정부 | }}}}}}}}} |
<colbgcolor=#00008b><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이동녕 정부 李東寧 政府 | Yi Tongnyŏng Government | |||
▲ 이동녕 주석 | |||
1927년 8월 19일 ~ 1933년 3월 6일 | |||
<rowcolor=#ffffff> 출범 이전 | 이후 | ||
김구 내각 | 송병조 정부 | ||
주석 | 이동녕 ,/ 제1-2대, | ||
국무령 | 김구 ,/ 제4대, |
[clearfix]
1. 개요
이동녕을 국무회의 주석으로 하는 첫번째 정부. 20년대 중후반 임시정부의 혼란기를 벗어나 한인애국단을 조직하고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에 존재감을 다시 가져왔다. 한마디로 임시정부의 부활기였다.2. 역사
3차 개헌을 통해 국무회의 집단지도체제가 수립되었고 첫 주석으로 이동녕 법무부장이 임명되었다. 국무회의제 하에서 이념과 투쟁 방식이 다르던 독립운동가들은 자신의 재량대로 활동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을 주었고 하나의 정부로 굴러가기엔 너무 다양한 세력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집단지도체제는 오히려 효율을 높였다.당시 만보산 사건으로 중국 내 조선인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고 또 만주사변으로 인하여 만주의 독립운동 조직이 붕괴하는 위기를 겪게 된다. 이에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자 1931년 김구 국무령의 주도 하에 한인애국단이 결성되었다. 그리고 1932년 이봉창 의사의 사쿠라다몬 의거가 일어나며 임시정부의 존재감을 상승시켰다. 그리고 그로부터 20일만에 상하이 사변이 일어났고 일본군이 상해를 점령했다. 이로 인해 중국 내 반일감정이 크게 치솟았다. 이틈을 타 쇼와 덴노 생일 기념식에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가 일어났다. 두 의거로 임시정부는 국민정부의 지원을 받는 조직으로 성장하였다. 많은 임시정부 인사들이 국민혁명군, 남의사, CC단에 합류하여 훈련을 받았다.
한편 민족유일당 운동 역시 탄력을 받으며 만주 세력과 김원봉의 의열단과의 관계도 이전에 비해 훨씬 개선되었다. 그러던 중 훙커우 공원 의거로 이동녕 주석은 수배되어 2개월 이상 자리를 비우게 되자 임시약헌에 따라 해임되었고 새 주석으로 송병조가 임명되었다.
3. 내각 명단
주석: 이동녕
국무령: 김구
내무부장: 윤기섭→김구→차리석→조완구
외무부장: 오영선→조소앙
재무부장: 김갑→송병조→김갑→김구→김철
군무부장: 김철→유동열→김구
법무부장: 이동녕→양기탁
학무부장: 조상섭→김규식
교통부장: 최동오
선전부장: 윤기섭
경무국장: 나창헌
국무원 비서장: 김석
감찰위원장: 이시영
정무위원: 이동녕, 김명준, 조완구
국무령: 김구
내무부장: 윤기섭→김구→차리석→조완구
외무부장: 오영선→조소앙
재무부장: 김갑→송병조→김갑→김구→김철
군무부장: 김철→유동열→김구
법무부장: 이동녕→양기탁
학무부장: 조상섭→김규식
교통부장: 최동오
선전부장: 윤기섭
경무국장: 나창헌
국무원 비서장: 김석
감찰위원장: 이시영
정무위원: 이동녕, 김명준, 조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