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해상사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5d5d5,#2d2f34> 1990년대 이전 | 남영호 침몰사고 | 창경호 침몰 사고 | |
YTL30호 침몰 사건 |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 |||
1990년대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 ||
2000년대 | 코비5호 고래 충돌 사고 |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 ||
2010년대 | <colbgcolor=#f5f5f5,#1f2023> 2010 ~ 2013년 | 설봉호 화재 사고 | 퍼시픽 캐리어호-현대 컨피던스호 충돌사고 | |
흥아 드라곤호-엘레니호 충돌사고 | 대광호 실종사고 | |||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 | - | |||
2014 ~ 2015년 | 성일호 화재 사고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 ||
501오룡호 침몰사고 | 돌고래호 전복 사고 | |||
한양 에이스호 폭발사고 | - | |||
2016년 | 시노코 인천호-토시마루 충돌사고 | 에이와 마루 3호 폭발사고 | ||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 | 코코몽호 침수 사고 | |||
2017년 |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 | 선창 1호 전복사고 | ||
203현진호 전복 사고 | - | |||
2018 ~ 2019년 | 구룡포 해상 어선 전복 사고 | 마산함 폭발 사고 | ||
구룡포 해상 통발어선 화재 사고 | 씨그랜드호 광안대교 추돌 사고 | |||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폭발 사고 | 대성호 화재 사고 | |||
2020년대 | 2020 ~ 2022년 | 307해양호 화재 사고 | 소연평도 해상 어선 전복 사고 | |
32명민호 침몰 사고 | 대양호 침몰 사고 | |||
거룡호 침몰 사고 | 제11일진호 전복 사고 | |||
2023~2024년 | 청보호 전복 사고 | 금양 6호 침몰 사고 | ||
욕지도 해상 어선 연쇄 사고 | 시모노세키 수송선 전복 사고 | |||
77대령호 전복 사고 | 제135금성호 침몰 사고 | |||
금광호-태천2호 충돌사고 | 서해호 침몰 사고 | |||
2025년 | 가거도 해상 낚싯배 전복 사고 | 삼광호-33만선호 좌초 사고 | ||
136다누리호 전복 사고 | - |
}}}}}}}}} ||
<colcolor=#fff> 136다누리호 전복 사고 | ||
<colbgcolor=#bc002d> 발생일 | 2025년 2월 3일22시 14분경 | |
발생 위치 | 중화민국 북동방 약 98해리 해상 | |
유형 | 전복 | |
탑승 인원 | 10명 | |
인명피해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실종 | 0명 |
생존자 | 탑승자 10명 전원 생존 | |
사망 | 0명 |
[clearfix]
1. 개요
2025년 2월 3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서방 약 833km, 대만 북동방 약 98해리 부근에서 어선 '136다누리호'가 전복된 사건.
다행히 선원 10명 모두 구하였다.
2. 경과
3일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 14분쯤 서귀포 남서방 약 833㎞ 해상에서 제주 선적 선박이 전복됐다는 소식이 팩스를 통해 접수됐다. 해당 선박 승선원 10명 중 현재 4명이 구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대만 해상수색본부(RCC)에서 국제 공동대응 요청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해경은 중국과 일본, 대만 해경에 구조 협조를 요청해 136다누리호에 승선한 10명 모두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