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 269/A I | ||
일시 | ||
1918년 10월 24일 | ||
장소 | ||
북해 남단 | ||
원인 | ||
협상 테이블에서 좀 더 나은 위치를 점하기 위한 독일의 영국 공격 시도 | ||
교전국 | 대영제국 | 독일제국 |
지휘관 | 데이비드 비티 윌리엄 페이큰햄 | 프란츠 폰 히퍼 루트비히 폰 로이터 |
결과 | ||
킬 군항의 반란 |
[clearfix]
1. 개요
1918년 10월 24일 독일 제국 해군 대양함대에게 출항 준비 명령이 내려왔다. 당시 독일 제국의 패전은 가정사실화된 후였고 따라서 대양함대사령관 프란츠 폰 히퍼와 해군참모총장 라인하르트 셰어 제독은 이미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기보다는 아직 세력이 남아 있는 대양함대를 총동원하여 영국 해군에게 손실을 강요해 협상 테이블에서 좀 더 나은 위치를 차지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최후의 전투를 준비했다.[1] 셰어와 히퍼는 10월 30일 일단 구축함과 경순양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함대를 플란데런과 템즈 강 인근으로 파견시켜 10월 31일 새벽녘에 전투를 치르도록 할 계획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섯 척의 순양전함들은 템즈 강 공격을, 그리고 드레드노트급 전함들은 전부 플란데런 공격을 지원할 예정이었다.이후 공격이 종료되면 독일 해군은 전부 네덜란드 해안으로 이동해 이곳에서 총 집결한 다음 10월 31일 밤 스코틀랜드에서 출발한 영국 함대와 만나 일전을 치를 계획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이동 중인 영국 함대를 중간중간 독일 U보트들이 공격하여 손실을 유도한다는 내용의 작전도 세워졌다. 그렇게 독일 해군은 결전을 치르기 위해 빌헬름스하펜으로 집결하기 시작했다.
2. 전력
함종 | 영국 해군 | 독일 해군 |
전함 | 35척 | 18척 |
순양전함 | 11척 | 5척 |
장갑순양함 | 3척 | 0척 |
경순양함 | 36척 | 9척 |
구축함 | 147척 | 50척 |
기뢰부설함 | 1척 | 0척 |
수상기모함 | 6척 | 0척 |
총합 | 239척 | 82척 |
2.1. 영국
2.1.1. 대함대
2.1.1.1. 지휘부
직책 | 지휘관 |
사령관 | <colbgcolor=#fefefe,#191919> 데이비드 비티(David Beatty) 대장 |
부사령관[2] | 찰스 매든(Charles Madden) 중장 |
참모장 | 오스몬드 브록(Osmond Brock) 소장 |
제2전투전대장 | 존 드 로벡(John de Robeck) 중장 |
제4전투전대장 | 몬태규 브라우닝(Montague Browning) 중장 |
제5전투전대장 | 아서 레베슨(Arthur Leveson) 중장 |
제6전투전대장[3] | 휴 로드맨(Hugh Rodman) 소장 |
제2순양함전대장 | 에드워드 브루엔(Edward Bruen) 소장 |
제4경순양함전대장 | 앨런 에버렛(Allan Everett) 소장 |
제7경순양함전대장 | 조지 보렛(George Borrett) 소장 |
항공전대장 | 리처드 필리모어(Richard Phillimore) 소장 |
구축함부대 지휘관 | 휴 트위디(Hugh Tweedie) 준장 |
제3구축함전단장 | 해롤드 설리번(Harold Sulivan) 대령 |
제11구축함전단장 | 브리엔 머니(Brien Money) 대령 |
제12구축함전단장 | 롤랜드 배더(Rowland Bather) 대령 |
제13구축함전단장 | 아서 더튼(Arthur Dutton) 대령 |
제14구축함전단장 | 해리 고드프리(Harry Godfrey) 대령 |
제15구축함전단장 | 레이프 롤리-콘위(Rafe Rowley-Conwy) 대령 |
2.1.1.2. 편성
영국 대함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8년 10월 24일 당시 기준 기함은 F로 표시 | 사령관 직속 함정 | <colbgcolor=#fefefe,#191919>HMS 퀸 엘리자베스F, HMS 오크 | |
제1전투전대 | 전함 | HMS 리벤지F, HMS 엠페러 오브 인디아, HMS 아이언 듀크, HMS 밴보우, HMS 말보로, HMS 캐나다, HMS 라밀리즈, HMS 레졸루션, HMS 로열 오크, HMS 로열 소버린 | |
정찰순양함 | HMS 블론드 | ||
제2전투전대 | 전함 | HMS 킹 조지 5세F, HMS 오라이언, HMS 애이잭스, HMS 센츄리온, HMS 컨쿼러, HMS 모나크, HMS 썬더러, HMS 애진코트, HMS 에린 | |
정찰순양함 | HMS 벨로나 | ||
제4전투전대 | 전함 | HMS 허큘리스F, HMS 콜로서스, HMS 벨레로폰, HMS 콜링우드, HMS 넵튠, HMS 세인트 빈센트 | |
정찰순양함 | HMS 보디세아 | ||
제5전투전대 | 전함 | HMS 버럼F, HMS 말라야, HMS 밸리언트, HMS 워스파이트 | |
정찰순양함 | HMS 블랑체 | ||
제6전투전대 | USS 뉴욕F, USS 아칸소, USS 플로리다, USS 텍사스, USS 와이오밍 | ||
제2순양함전대 | HMS 미노타우르F, HMS 코크레인, HMS 섀넌 | ||
제4경순양함전대 | HMS 칼리오페F, HMS 캠브리안, HMS 캐롤라인, HMS 코머스, HMS 코델리아, HMS 콘스탄스 | ||
제7경순양함전대 | HMS 캐리스포트F, HMS 오로라, HMS 페넬로페, HMS 인컨스탠트, HMS 클레오파트라 | ||
항공전대 | HMS 퓨리어스F, HMS 아거스, HMS 빈딕티브, HMS 나이라나, HMS 페가수스, HMS 캄파니아 | ||
구축함부대 기함 | HMS 카스토르F | ||
제3구축함전단 | 기함 | HMS 님로드F, HMS 탈리스만F | |
구축함 | HMS 매너드, HMS 마멜룩, HMS 마블, HMS 메너스, HMS 미카엘, HMS 먼스터, HMS 네이피어, HMS 노블, HMS 넌서치, HMS 온슬로우, HMS 페타드, HMS 로우포드, HMS 니잠, HMS 노스맨, HMS 오라클, HMS 오리아나, HMS 오르페우스 | ||
제11구축함전단 | 기함 | HMS 발로러스F, HMS 세이무어F, HMS 켐펜펠트F | |
구축함 | HMS 로몰라, HMS 사르페돈, HMS 탄크레드, HMS 터네이셔스, HMS 토멘터, HMS 밴쿠버, HMS 바네사, HMS 배니티, HMS 버서틀, HMS 비스카운트, HMS 비토리아, HMS 비바셔스, HMS 보티건, HMS 보이저, HMS 워커, HMS 왈루스, HMS 와치맨 | ||
제12구축함전단 | 기함 | HMS 발할라F, HMS 사우마레즈F | |
구축함 | HMS 시미터, HMS 스코츠맨, HMS 스카웃, HMS 사이드, HMS 시베어, HMS 세포이, HMS 시뭄, HMS 시어다, HMS 스피디, HMS 토마호크, HMS 토치, HMS 트리니다드, HMS 트라이폰, HMS 비벤, HMS 워터헨, HMS 윈체스터, HMS 울지, HMS 레슬러 | ||
제13구축함전단 | 경순양함 | HMS 챔피언 | |
기함 | HMS 발렌타인F, HMS 발키리F | ||
구축함 | HMS 비미에라, HMS 베가, HMS 벡티스, HMS 바이올렌트, HMS 벤데타, HMS 베룰럼, HMS 웨이크풀, HMS 웨스트민스터, HMS 버둔, HMS 비세로이, HMS 베스퍼, HMS 베니타, HMS 울프하운드, HMS 우르서, HMS 우르술라, HMS 우르친, HMS 엄파이어, HMS 얼스터, HMS 타워, HMS 트리스트람, HMS 비데트, HMS 윈첼시, HMS 웨스트콧, HMS 윈저, HMS 휘틀리, HMS 울스턴, HMS 월폴, HMS 웨섹스 | ||
제14구축함전단 | 기함 | HMS 뱀파이어F, HMS 안작F | |
구축함 | HMS 메디나, HMS 노먼, HMS 옥타비아, HMS 오퍼튠, HMS 오포드, HMS 팔라딘, HMS 패트리어트, HMS 펠류, HMS 펜, HMS 페레그린, HMS 페이톤, HMS 플로버, HMS 플러키, HMS 필라데스, HMS 리렌틀리스, HMS 세이버, HMS 시파이어, HMS 세라프, HMS 솜, HMS 스패로호크, HMS 스플렌디드, HMS 택티션, HMS 토바고, HMS 타이런트, HMS 벨록스, HMS 워윅, HMS 윌윈드, HMS 논파레일, HMS 옵저버, HMS 오파, HMS 오레스테스 | ||
제15구축함전단 | 기함 | HMS 파커F, HMS 그린빌F | |
구축함 | HMS 패트리시안, HMS 래드스톡, HMS 레이더, HMS 래피드, HMS 레디, HMS 레스트리스, HMS 리고러스, HMS 랍 로이, HMS 로켓, HMS 로잘린드, HMS 로웨나, HMS 세이블, HMS 사브리나, HMS 살몬, HMS 소서리스, HMS 타이레이드, HMS 트렌찬드, HMS 운디네, HMS 마른, HMS 메드웨이, HMS 미스틱, HMS 니카토르, HMS 펠리칸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영국의 운용장비 | 미국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2.1.2. 순양전함부대
2.1.2.1. 지휘부
직책 | 지휘관 |
부대장 | <colbgcolor=#fefefe,#191919> 윌리엄 페이큰햄(William Pakenham) 중장 |
참모장 | 휴 싱클레어(Hugh Sinclair)[4] 대령 |
제1순양전함전대장 | 헨리 올리버(Henry Oliver) 소장 |
제2순양전함전대장 | 라이어널 헐시(Lionel Halsey) 소장 |
제1순양함전대장[5] | 트레빌리언 네이피어(Trevylyan Napier) 중장 |
제1경순양함전대장 | 월터 코완(Walter Cowan) 소장 |
제2경순양함전대장 | 제임스 퍼거슨(James Fergusson) 소장 |
제3경순양함전대장 | 앤서니 헌트(Anthony Hunt) 소장 |
제6경순양함전대장 | 에드윈 알렉산더-싱클레어(Edwyn Alexander-Sinclair) 소장 |
2.1.2.2. 편성
영국 순양전함부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8년 10월 24일 당시 기준 기함은 F로 표시 | 순양전함부대 기함 | <colbgcolor=#fefefe,#191919>HMS 라이언F | |
제1순양전함전대 | HMS 리펄스F, HMS 리나운, HMS 타이거, HMS 프린세스 로열 | ||
제2순양전함전대 | HMS 뉴질랜드F, HMAS 오스트레일리아, HMS 인플렉시블, HMS 인도미터블 | ||
제1순양함전대 | HMS 커레이저스F, HMS 글로리어스 | ||
제1경순양함전대 | HMS 인컨스탠트F, HMS 갈라테이아, HMS 로열리스트, HMS 파에톤, HMS 칼레돈 | ||
제2경순양함전대 | HMS 버밍엄F, HMS 더블린, HMAS 멜버른, HMAS 시드니, HMS 야머스 | ||
제3경순양함전대 | HMS 채텀F, HMS 사우샘프턴, HMS 체스터, HMS 버큰헤드 | ||
제6경순양함전대 | HMS 카디프F, HMS 칼립소, HMS 카라독, HMS 카산드라, HMS 세레스 |
}}} ||
2.2. 독일
2.2.1. 대양함대
2.2.1.1. 지휘부
직책 | 지휘관 |
사령관 | <colbgcolor=#fefefe,#191919> 프란츠 폰 히퍼(Franz von Hipper) 대장 |
제3전투전대장 | 후고 크라프트(Hugo Kraft) 중장 |
제1전투전대장 | 프리드리히 뵈디커(Friedrich Boedicker) 중장 |
제4전투전대장 | 후고 모이러(Hugo Meurer) 중장 |
어뢰정부대 지휘관 | 파울 하인리히(Paul Heinrich) 준장 |
2.2.1.2. 편성
독일 대양함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8년 10월 24일 당시 기준 기함은 F로 표시 | 대양함대 기함 | <colbgcolor=#fefefe,#191919>SMS 바덴F | |
제3전투전대[6] | SMS 쾨니히F, SMS 바이에른, SMS 그로서 쿠르퓌르스트, SMS 크론프린츠 빌헬름, SMS 마르크그라프 | ||
제1전투전대 | SMS 오스트프리슬란트F, SMS 튀링겐, SMS 포젠, SMS 나사우, SMS 올덴부르크, SMS 베스트팔렌, SMS 헬골란트 | ||
제4전투전대 | SMS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쎄F, SMS 쾨니히 알베르트, SMS 카이제린, SMS 프린츠레겐트 루이트폴트, SMS 카이저 | ||
어뢰정부대 기함 | SMS 엠덴F | ||
제1어뢰정전단 | 1전대 | SMS V129, SMS G39, SMS G86, SMS G40, SMS G38, SMS S32 | |
제5어뢰정전단 | 9전대 | SMS G11, SMS V6, SMS V3, SMS V2 | |
10전대 | SMS G8, SMS G10, SMS V5 | ||
제6어뢰정전단 | 11전대 | SMS V128, SMS V127, SMS S132, SMS S131, SMS V126, SMS V125 | |
12전대 | SMS V43, SMS V45, SMS V44, SMS S49, SMS S50, SMS V46 | ||
제9어뢰정전단 | 17전대 | SMS V80, SMS S52, SMS S51, SMS S60, SMS S36 |
}}} ||
2.2.2. 정찰부대
2.2.2.1. 지휘부
직책 | 지휘관 |
부대장[7] | <colbgcolor=#fefefe,#191919> 루트비히 폰 로이터(Ludwig von Reuter) 소장 |
제2정찰단장 | 빅토르 하르더(Viktor Harder) 준장 |
어뢰정부대 부지휘관 | 한스 콰에트파슬렘(Hans Quaet-Faslem) 중령 |
2.2.2.2. 편성
독일 정찰부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8년 10월 24일 당시 기준 기함은 F로 표시 | 정찰부대 기함 | <colbgcolor=#fefefe,#191919>SMS 힌덴부르크F | |
제1정찰단 | SMS 데어플링어, SMS 몰트케, SMS 폰 데어 탄, SMS 자이틀리츠 | ||
제2정찰단 | SMS 쾨니히스베르크F, SMS 카를스루헤, SMS 필라우, SMS 뉘른베르크, SMS 쾰른, SMS 드레스덴, SMS 그라우덴츠 | ||
어뢰정부대 부기함 | SMS 프랑크푸르트F | ||
제2어뢰정전단 | 3전대 | SMS G101, SMS G104, SMS V100, SMS G103, SMS G102 | |
4전대 | SMS B97, SMS B111, SMS B109, SMS B110, SMS B112 | ||
제1어뢰정전단 | 2전대 | SMS V130, SMS S133, SMS S135, SMS S134, SMS S139 | |
제7어뢰정전단 | 13전대 | SMS S138, SMS V83, SMS S65, SMS V78, SMS S56 |
}}} ||
3. 결말
아무리 봐도 자살특공이나 다름없는 상황에 반발한 독일 수병들이 빌헬름스하펜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혁명으로 이어지며 결국 독일 제국의 붕괴로 이어졌다.[1] 독일 육군은 이 시점에 사실상 붕괴 상태였으나 해군은 유틀란트 해전 이후에도 어느 정도 전력이 남아 있었다. 단지 영국 해군이 넘사벽이었을 뿐이다.[2] 제1전투전대장 겸임[3] 미국 대서양함대 예하의 제9전함분대가 대함대로 배속됨.[4] 이후 2대 SIS 국장을 역임했다.[5] 경순양함 부대 지휘[6] 이후 바로 이 전대에서 반란이 벌어진다.[7] 제1정찰단장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