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22:49:48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한국지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교육과정 체제하의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한국지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차기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지리 내용에 대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중학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지리 영역 부분을
부분을
, 인문지리적 내용에 대한 내용은 한국지리 탐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이 과목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에서 수능(및 모의평가) 출제 범위로 정한 시험에 관하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한국지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도덕·역사과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09 고시),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11 각론 수정)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
■ 단 '한국사'는 2020~2024학년도 신입생에게 적용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0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21학년도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문화최대 택 2
과학탐구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2022학년도 ~
2027학년도
사회탐구 · 과학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 정치와 법 · 사회·문화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2028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영역 관련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사 영역에서 다룬다. }}}
}}}}}}


1. 개요2. 내용 체계
2.1. 국토 인식과 지리 정보2.2. 지형 환경과 인간 생활2.3.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2.4. 거주 공간의 변화와 지역 개발2.5. 생산과 소비의 공간2.6. 인구 변화와 다문화 공간2.7. 대한민국의 지역 이해
3. 변화

1. 개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지리) 교과의 과목 '한국지리' 과목에 대한 문서이다.

2. 내용 체계

2.1. 국토 인식과 지리 정보

[12한지01-01] 세계 속에서 한국의 위치와 영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독도 주권, 동해 표기 등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한다.
[12한지01-02] 고지도와 고문헌을 통하여 전통적인 국토 인식 사상을 이해하고, 국토 인식의 변화 과정을 설명한다.
[12한지01-03] 다양한 지리 정보의 수집·분석·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지역 조사를 위한 구체적인 답사 계획을 수립한다.

2.2. 지형 환경과 인간 생활

[12한지02-01] 한반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반도 산지 지형의 특징을 설명한다.
[12한지02-02]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과 해안에 발달하는 지형의 형성 과정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인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12한지02-03] 화산 및 카르스트 지형 형성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는 지형 경관의 사례를 제시한다.

2.3.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12한지03-01] 한국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12한지03-02] 다양한 기후 경관을 사례로 기후 특성이 경제 생활 등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12한지03-03] 자연재해 및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 결과를 조사하고, 인간과 자연환경 간의 지속 가능한 관계에 대해 토론한다.

2.4. 거주 공간의 변화와 지역 개발

[12한지04-01] 대한민국 촌락의 최근 변화상을 파악하고, 도시의 발달 과정 및 도시체계의 특성을 탐구한다.
[12한지04-02]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12한지04-03] 주요 대도시를 사례로 도시 계획과 재개발 과정이 도시 경관과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12한지04-04] 지역 개발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공간 및 환경 불평등과 지역 갈등 문제를 파악하고, 국토 개발 과정이 한국 국토에 미친 영향에 대해 평가한다.

2.5. 생산과 소비의 공간

[12한지05-01] 자원의 특성과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 이의 생산과 소비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12한지05-02] 농업 구조 변화의 원인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탐구한다.
[12한지05-03] 공업의 발달 및 구조 변동으로 인한 공업 입지와 공업 지역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현상이 지역 경관과 주민의 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12한지05-04] 상업 및 서비스 산업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최근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교통·통신의 발달이 생산 및 소비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2.6. 인구 변화와 다문화 공간

[12한지06-01] 한국 인구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구 구조의 변화 과정을 이해한다.
[12한지06-02]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 문제와 이에 따른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2한지06-03] 외국인 이주자 및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공간적 변화를 조사·분석한다.

2.7. 대한민국의 지역 이해

[12한지07-01]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기준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학생 스스로 선정한 기준에 의해 한국을 여러 지역으로 구분한다.
[12한지07-02] 북한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 특성, 북한 개방 지역과 남북 교류의 현황을 파악하고 통일 국토의 미래상을 설계한다.
[12한지07-03] 수도권의 지역 특성 및 공간 구조 변화 과정을 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수도권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 및 이의 해결 방안에 대해 탐구한다.
[12한지07-04] 강원 지방에서 영동·영서 지역의 지역차가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하고, 지역의 산업 구조 변화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다.
[12한지07-05] 충청 지방의 지역 구조 변화를 교통 발달, 도시 및 산업 단지 개발 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2한지07-06] 호남 지방의 농지 개간 및 주요 간척 사업이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최근의 산업 구조 변화를 파악한다.
[12한지07-07] 영남 지방의 인구 및 산업 분포를 통해 지역의 공간 구조를 파악하고, 이 지역 주요 도시의 특성을 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12한지07-08] 세계적인 관광지로서 제주도의 자연 및 인문 지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발전의 현안과 전망에 대해 분석한다.

3. 변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