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킥오프 | 정규 시즌 | 2026 킥오프 | 정규 시즌 | |
◀ CK | }}}}}}}}} |
| ||||
대회 창설 | → | T1 Challengers | → | Gen.G Challengers |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
| |||||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 |||||
대회 기간 | 2021년 1월 18일~ 4월 9일 | ||||
주최 | LCK 유한회사 | ||||
주관 | |||||
운영 | 한국e스포츠협회 | ||||
제작 | VSPN | ||||
경기장 | V.SPACE | ||||
스폰서 | 우리은행 | ||||
중 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계 플랫폼 | TV | |||
아프리카TV | |||||
온라인 | |||||
| |||||
중계진 | 캐스터 | ||||
이동진 | |||||
해설자 | |||||
고수진, 강범현, 정노철 |
}}}}}} |
일 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정규시즌 | 1라운드 | |||
1월 18일~2월 16일 | |||||
2라운드 | |||||
2월 22일~3월 22일 | |||||
플레이오프 | 6강 플레이오프 | ||||
3월 29일~3월 30일 | |||||
4강 플레이오프 | |||||
4월 5일~4월 6일 | |||||
결승전 | 대진 | ||||
4월 9일 | |||||
경기장 | |||||
온라인 |
}}}}}} |
결 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우승 | T1 Challengers | |||
준우승 | 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 | ||||
MVP | 1라운드 | ||||
정조빈 (T1 Mireu) | |||||
2라운드 | |||||
김찬희 (LSB Seize) | |||||
파이널 | |||||
김강희 (T1 Roach) | |||||
All-CL Team | TOP | ||||
김강희 (T1 Roach) | |||||
JGL | |||||
이재하 (T1 Mowgli) | |||||
MID | |||||
이상훈 (HLE Mask) | |||||
BOT | |||||
김민철 (T1 Berserker) | |||||
SPT | |||||
김태기 (T1 Asper) | |||||
Best Coach | 배성웅 (T1 Bengi) |
[clearfix]
1. 개요
Keep Challenge
2021년 1월 18일 개막한 LCK Challengers League 스프링 시즌.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1C192B> |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참가팀 |
2.1. 스토브리그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 T1C | 15 | 3 | 2승 | 우승 |
2 | | GENC | 12 | 6 | 2승 | TB1 승리 |
3 | | HLEC | 12 | 6 | 5승 | TB1 패배 준우승 |
4 | | KTC | 10 | 8 | 2패 | |
5 | | DRXC | 9 | 9 | 3승 | |
6 | | LSBC | 8 | 10 | 1패 | TB3 승리 |
7 | | NSC | 8 | 10 | 1승 | TB2 승리 & TB3 패배 |
8 | | BROC | 8 | 10 | 3패 | TB2 패배 |
9 | | DKC | 6 | 12 | 2패 | |
10 | | AFC | 2 | 16 | 8패 | |
* TB : 순위 결정전 파란색: 4강 PO 진출 | 녹색: 6강 PO 진출 | 노란색: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wiki style="width: 650px; max-width: 650px; display: inline;" | <table bordercolor=#1C192B><table width=650px><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정규시즌 경기 일람 | |||||
1R | 1주 (1/18~19) | 2주 (1/25~26) | 3주 (2/1~2) | 4주 (2/8~9) | 5주 (2/16) | |
2R | 6주 (2/22~23) | 7주 (3/1~2) | 8주 (3/8~9) | 9주 (3/15~16) | 10주 (3/22~23) |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3.2. 플레이오프
4. 여담
-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챌린저스 코리아의 중계진들은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았고, 대신 2020 KeSPA Cup을 통해 간만에 LOL 중계에 복귀한 이동진 캐스터에 더해 '꼬꼬갓' 고수진 해설이 합류했다. 이동진 캐스터는 전반적인 진행도 나쁜 편은 아니며 채팅창의 반응도 잘 모니터링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지라 평가가 좋지만 고수진 해설은 케스파컵에서 보여준 편파 해설 등의 여파가 있는지 평가가 조금 엇갈린다.
- 2021 시즌 시작과 함께 LCK 해설진 크루에 새로 합류한 '노페' 정노철 해설이 과거 '클템' 이현우 해설처럼 LCK 및 CL의 해설을 겸하는 두 탕을 뛰게 되었고 LCK 분석데스크에 합류한 '고릴라' 강범현이 CL 해설진에 합류하게되었다.
- 경기 중간중간마다 광고가 꽤 길게 들어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분석데스크나 전지적 프로 시점과 같은 중간 컨텐츠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말이 나올 정도.
- 타 리그, 특히 LEC의 2부인 EM과 달리 콜업과 샌드다운이 자유롭지 못하다.[3] 이 때문에 명목상 연습생 및 예비전력의 출전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2군 리그임에도 불구하고 1군 로스터에 10인을 유지하는 T1 같은 팀이 생기기도 하는 등, 리그의 취지가 퇴색되는 측면이 있다. 물론 첫 시행이고, 과거 라바 선수의 부상으로 인한 치프틴 선수의 미드 출전으로 말이 많자 LCK 운영진 측에서도 다양한 피드백을 듣고 있다는 언급을 했으므로 점점 나아질 가능성이 크다.
- 여담으로 LCK 챌린저스 개편이 얼마안된 상황이라 방송의 채팅창을 보면 1군경기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5. 주요 기록
5.1.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 |||||||||||
순위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
| 이상훈 | Mask | | | 600 | ||||||
2 | 정조빈 | Mireu | | | 400 | ||||||
2 | 김찬희 | Seize | | | 400 | ||||||
2 | 안현서 | FIESTA | | | 400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4위권 미만 선수 보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순위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
5 | 이정훈 | JeongHoon | | | 300 | ||||||
5 | 박정현 | 5kid | | | 300 | ||||||
5 | 김민철 | Berserker | | | 300 | ||||||
5 | 고영재 | YoungJae | | | 300 | ||||||
5 | 서진영 | Jin0 | | | 300 | ||||||
5 | 강현 | Riss | | | 300 | ||||||
5 | 이민규 | Peach | | | 300 | ||||||
5 | 이지융 | Harp | | | 300 | ||||||
5 | 이재하 | Mowgli | | | 300 | ||||||
5 | 김강희 | Roach | | | 300 | ||||||
5 | 이명준 | Envyy | | | 300 | ||||||
5 | 김태윤 | Taeyoon | | | 300 | ||||||
17 | 오현택 | Noah | | | 200 | ||||||
17 | 김근성 | Malrang | | | 200 | ||||||
17 | 김태기 | Asper | | | 200 | ||||||
17 | 박근우 | DnDn | | | 200 | ||||||
17 | 홍건빈 | Bini | | | 200 | ||||||
17 | 백진성 | Ophelia | | | 200 | ||||||
17 | 서상원 | Toland | | | 200 | ||||||
17 | 한진솔 | Baut | | | 200 | ||||||
17 | 김동현 | Chasy | | | 200 | ||||||
17 | 김진홍 | Kael | | | 200 | ||||||
27 | 홍도현 | Dice | | | 100 | ||||||
27 | 강동수 | Jool | | | 100 | ||||||
27 | 손민형 | Prove | | | 100 | ||||||
27 | 신승민 | Trap | | | 100 | ||||||
27 | 이준민 | Junmin | | | 100 | ||||||
27 | 한규준 | Lonely | | | 100 | ||||||
27 | 김민성 | GIDEON | | | 100 | ||||||
27 | 송현민 | Clear | | | 100 | ||||||
27 | 조승모 | Cheoni | | | 100 | ||||||
27 | 곽유신 | Yusin | | | 100 | ||||||
27 | 고준영 | Valkyrie | | | 100 | ||||||
27 | 정희준 | Eign | | | 100 | ||||||
27 | 정상현 | Kabbie | | | 100 | ||||||
27 | 이승복 | Sylvie | | | 100 | ||||||
27 | 이광수 | Bonnie | | | 100 | ||||||
27 | 윤세준 | Jun | | | 100 | }}}}}}}}} |
5.2. ALL-CL TEAM
| ||||
| ||||
TOP | JGL | MID | BOT | SPT |
Roach ]] | Mowgli ]] | Mask ]] | Berserker ]] | Asper ]] |
LCK All-Pro Team과는 달리 퍼스트만 선정한다. 그나마 미르와 챌체미를 두고 다툴만한 마스크 외에는 워낙 T1 2군이 압도적으로 강해서 나올 만한 라인업이 나왔다는 평가가 많다.
5.3. Best Coach
Best Coach | ||||
| ||||
Bengi ]] |
5.4. 펜타킬
| ||||||
<rowcolor=#000> 이름(ID)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윤상훈(Pump) | | BOT | | | 2021.01.25 | 14경기 |
정조빈(Mireu) | | MID | | | 2021.02.01 | 24경기 |
이명준(Envyy) | | BOT | | | 2021.02.23 | 51경기 |
박정현(5kid) | | | | 2021.03.16 | 83경기 | |
이명준(Envyy) | | | | 2021.03.22 | 88경기 |
6. 대회 상금
시즌 1위부터 3위까지 각각 3천만원, 2천만원,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되며 4위 이하의 팀들에겐 상금이 없다. 개인 시상 부문에서는 각 세트별 POG, 각 라운드별 MVP, ALL-CL TEAM, 결승전 MVP, 베스트 코치에게 상금이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