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2014 오만 | 2016 카타르 | 2018 중국 | 2020 태국 | 2022 우즈베키스탄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2024 카타르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2028 미정 | 2032 미정 | 2036 미정 |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 |||||
<colbgcolor=#036> 대회 이전 | 예선 / 참가팀 정보 | ||||
조별 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
결선 토너먼트 | 8강 | 준결승 / 3위 결정전 | 결승 |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 ||
AFC U-23 Osiyo Chempionati 2022[1] 2022 AFC U-23 Asian Cup | ||
| ||
대회 기간 | 2022년 6월 1일 ~ 6월 19일 | |
개최국 | [[우즈베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 |
본선 진출팀 | 16개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 사우디아라비아 |
준우승 | | 우즈베키스탄 |
3위 | | 일본 |
4위 | | 호주 |
수상 | ||
MVP | ||
득점왕 | ||
최우수 골키퍼상 | ||
페어플레이상 | ||
연표 | ||
2020년 태국 | 2022년 우즈베키스탄 | 2024년 카타르 |
[clearfix]
1. 개요
제5회 AFC U-23 아시안컵이다. 이번 대회부터 대회 명칭이 AFC U-23 챔피언십에서 AFC U-23 아시안컵으로 변경되었다.본래는 2023 AFC 아시안컵을 대비할 생각으로 중국에서 개최하려 했으나 코로나19 등의 문제로 인해 개최를 포기했다. 그 결과 2021년 2월 22일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발표하였고, AFC는 3월 18일에 최종 승인을 하였다.
2. 예선
3. 대회 전
서아시아의 6개 조 1위와 동아시아의 5개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며, 2위 중에서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국가가 본선에 진출한다.지난 대회에 이어 이번 대회에서도 조별리그부터 VAR이 적용된다. #
3.1. 개최도시
도시 | 경기장 | 수용인원 |
타슈켄트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35,000명 |
밀리 스타디움 | 34,000명 |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 8,000명 | |
카르시 | 마르카지 스타디움 | 21,000명 |
3.2. 출전 선수 명단
3.3. 본선 참가팀
국가명 | 진출 자격 | 진출 자격 획득일 | 진출횟수 | 최근 출전 | 최고성적 | |
| 우즈베키스탄 | 개최국 자동 진출 | 2021년 3월 18일 | 5회 | 2020 | 우승 [UZB] |
| 카타르 | 예선 A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4회 | 2020 | 3위 [QAT] |
| 이란 | 예선 B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4회 | 2020 | 8강 [IRN] |
| 이라크 | 예선 C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5회 | 2020 | 우승 [IRQ] |
| 쿠웨이트 | 예선 D조 1위 | 2021년 10월 30일 | 2회 | 2014 | 조별리그 [KUW] |
| 아랍에미리트 | 예선 E조 1위 | 2021년 10월 30일 | 4회 | 2020 | 8강 [UAE] |
| 요르단 | 예선 F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5회 | 2020 | 3위 [JOR] |
| 호주 | 예선 G조 1위 | 2021년 10월 29일 | 5회 | 2020 | 3위 [AUS] |
| 대한민국 | 예선 H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5회 | 2020 | 우승 [KOR] |
| 베트남 | 예선 I조 1위 | 2021년 11월 2일 | 4회 | 2020 | 준우승 [VIE] |
| 말레이시아 | 예선 J조 1위 | 2021년 10월 31일 | 2회 | 2018 | 8강 [MAS] |
| 일본 | 예선 K조 1위 | 2021년 10월 28일 | 5회 | 2020 | 우승 [JPN] |
| 타지키스탄 | 예선 B조 2위 | 2021년 11월 2일 | 1회 | 첫 출전 | - |
| 사우디아라비아 | 예선 D조 2위 | 2021년 11월 2일 | 5회 | 2020 | 준우승 [KSA] |
| 투르크메니스탄 | 예선 F조 2위 | 2021년 10월 31일 | 1회 | 첫 출전 | - |
| 태국 | 예선 J조 2위 | 2021년 10월 31일 | 4회 | 2020 | 8강 [THA] |
지역별 배출 현황 | ||||
서아시아(WAFF) | 중앙아시아(CAFA) | 남아시아(SAFF) | 동남아시아(AFF) | 동아시아(EAFF) |
6개국[17] | 4개국[18] | 0개국 | 4개국[19] | 2개국[20] |
3.4.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순번 |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1 | 우즈베키스탄 (개최국, 4위) | 요르단 (5위) | 이라크 (10위) | 쿠웨이트 (미출전) |
2 | 대한민국 (우승) | 아랍에미리트 (6위) | 카타르 (11위) | 말레이시아 (미출전) |
3 | 사우디아라비아 (준우승) | 태국 (7위) | 베트남 (13위) | 타지키스탄 (미출전) |
4 | 호주 (3위) | 이란 (9위) | 일본 (15위) | 투르크메니스탄 (미출전) |
-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던 팀이다. 말레이시아는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에서 처음으로 본선을 경험했으며 8강에 올랐던 바 있다. 쿠웨이트,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이번 대회가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첫 출전이다.
3.5. 조 편성
본선 조 추첨은 2022년 2월 17일 낮 12시(한국시간 오후 4시) 개최국인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진행되었다.포트 | A조 | B조 | C조 | D조 |
1 | ||||
2 | ||||
3 | ||||
4 |
4. 본선
4.1. 조별리그[16강]
8강 진출팀 | ||||
\ | 1위 (진출) | 2위 (진출) | <colbgcolor=#CCC>3위 (탈락) | <colbgcolor=#CCC>4위 (탈락) |
<colbgcolor=#036>A조 | ||||
B조 | | | | |
C조 | ||||
D조 |
4.1.1. A조
4.1.2. B조
4.1.3. C조
4.1.4. D조
4.2. 토너먼트
|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3위 결정전 |
8강전 제1경기 (3 PSO 2) | 4강전 제1경기 | 결승전 |
8강전 제3경기 | ||
8강전 제2경기 | 4강전 제2경기 | |
8강전 제4경기 | 3위 결정전 |
4.2.1. 8강
4.2.2. 준결승
4.2.3. 3위 결정전
4.2.4. 결승
5.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골득실 | 승점[22] | 비고 | ||
1 | | 사우디아라비아 | 6 | 5 | 1 | 0 | 13 | 0 | +13 | 16 | 1위 | |
2 | | 우즈베키스탄 | 6 | 3 | 2 | 1 | 12 | 5 | +7 | 11 | 2위 | |
3 | | 일본 | 6 | 4 | 1 | 1 | 12 | 3 | +8 | 13 | 3위 | |
4 | | 호주 | 6 | 3 | 1 | 2 | 5 | 6 | -1 | 10 | 4위 | |
5 | | 대한민국 | 4 | 2 | 1 | 1 | 6 | 5 | +1 | 7 | 8강 | |
6 | | 이라크 | 4 | 1 | 3 | 0 | 7 | 5 | +2 | 6 | ||
7 | | 베트남 | 4 | 1 | 2 | 1 | 5 | 5 | 0 | 5 | ||
8 | | 투르크메니스탄 | 4 | 1 | 1 | 2 | 4 | 5 | -1 | 4 | ||
9 | | 태국 | 3 | 1 | 1 | 1 | 5 | 3 | +2 | 4 | 조별리그 | |
10 | | 요르단 | 3 | 1 | 1 | 1 | 2 | 2 | 0 | 4 | ||
11 | | 아랍에미리트 | 3 | 1 | 1 | 1 | 3 | 4 | -1 | 3 | ||
12 | | 이란 | 3 | 0 | 2 | 1 | 3 | 4 | -1 | 2 | ||
13 | | 카타르 | 3 | 0 | 2 | 1 | 3 | 9 | -6 | 2 | ||
14 | | 쿠웨이트 | 3 | 0 | 0 | 3 | 1 | 6 | -5 | 0 | ||
15 | | 말레이시아 | 3 | 0 | 0 | 3 | 1 | 9 | -8 | 0 | ||
16 | | 타지키스탄 | 3 | 0 | 0 | 3 | 0 | 10 | -10 | 0 |
6. 여담
- 대한민국의 중계방송은 AFC와 2024년까지로 중계권 협상을 완료한 tvN SPORTS와 쿠팡플레이가 진행한다.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과 동일하게 대한민국 경기는 배성재, 이동국, 서형욱이, 제3국 경기는 박찬, 박용식, 이인환, 김민구, 김환, 김오성이 담당하였다.
- 올림픽이 개최되는 해에 열리는 AFC U-23 아시안컵이 아니어서 상위 3팀에게 올림픽 출전 자격이 부여되지는 않지만, 올림픽 출전 자격을 부여하는 차기 대회에서 본선 조별리그 조 추첨 시 톱시드 자격을 부여한다.
7. 관련 문서
[1] 본래 Asian Cup을 우즈베크어로 직역하면 'Osiyo Kubogi'지만, 현지에서는 Championship을 직역하였음.[2] 이번 대회에서 최다 득점자는 총 5명으로 모두 3골을 기록한 조영욱(대한민국), 수파낫 무에안타(태국), 자수르베크 잘롤리디노프(우즈베키스탄), 스즈키 유이토(일본), 아이만 야흐야(사우디아라비아)다. 이 중 조영욱이 누적 3골을 넣기까지 걸린 시간이 가장 짧았기에 득점왕으로 선정되었다.[UZB] 2018[QAT] 2018[IRN] 2016[IRQ] 2014[KUW] 2014[UAE] 2014, 2016, 2020[JOR] 2014[AUS] 2020[KOR] 2020[VIE] 2018[MAS] 2018[JPN] 2016[KSA] 2014, 2020[THA] 2020[17]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이라크, 요르단, 카타르[18]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이란[19] 호주,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20] 대한민국, 일본[16강] [22]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전적상 무승부로 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