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63> | 자낳대 역대 대회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5px -10px -5px -10px; padding: 2.5px 0px 0px 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50%;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리그 오브 레전드 ] | 2019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파이널 | 2020 시즌 1 · 시즌 2 | 2021 시즌 1 · 시즌 2 · 외전 |
2022 시즌 1 · 시즌 2 | 2023 시즌 1 · 외전 · 시즌 2 | 2024 시즌 1 | |
2025 |
- [ 그 외 종목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2c8ff><width=1000> 와일드 리프트 ||<bgcolor=#000000><width=1000> 스타크래프트 ||<bgcolor=#000000><width=1000> 서든어택 ||
2020 2021 2021 · 2022 · 2023 발로란트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베일드 엑스퍼트 2022 · 2023 · 2024 · 2025 2022 2023
시즌 1 · 시즌 2사이퍼즈 PUBG: 배틀그라운드 2023 · 2024 2024
<colbgcolor=#0b0c23,#0b0c23><nopad>파일:2025자낳대로고.png | ||
이름 없는 초대장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 | ||
<colcolor=#dedfdf,#dedfdf> 지역 |
| |
주최 | 인챈트 엔터테인먼트 | |
주관 | 라이엇 게임즈 | |
후원 | 치지직 스틸시리즈 | |
중계진 | <colbgcolor=#0b0c23,#0b0c23><colcolor=#dedfdf,#dedfdf> 캐스터 | 전용준 |
해설 | 고수진, 임주완 | |
경매 중계 | 네클릿, 고수진 | |
조별 지정 | 김정민, 임주완 | |
PO 리포터 | 배혜지 | |
송출 | ||
진행 방식 | 조별 리그 | 온라인 |
플레이오프 | 오프라인: WDG 스튜디오 홍대 | |
패치 버전 | 25.14 | |
대회 일정 | ||
최초 공개 | 2025년 6월 30일 (월) 22:00 | |
경매 및 대진 선정 | 2025년 7월 12일 (토) 18:00 | |
조별 리그 | 2025년 7월 16일 (수) 18:00 | |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 2025년 7월 17일 (목) 18:00 | |
플레이오프 | 2025년 7월 19일 (토) 13:00 | |
상금 | ||
우승 | 1,500만 원 | |
준우승 | 800만 원 | |
3위 | 500만 원 | |
4위 | 200만 원 |
1. 개요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의 14번째 대회이자 2025년의 두 번째 자낳대.1.1. 변경점
6월 30일 오후 10시, 치지직 네클릿 방송을 통해 개편 내용이 공개되었다.* 온라인 + 오프라인 경기 진행.
* 다시 6팀제로 변경.
* 팀장 라인은 정글 라이너로 팀장 간 밸런스를 위해 논의를 통하여 경매 포인트를 차등 분배.
* 코치 라인 도입, 서브 코치 섭외 불가능.
* 하드 피어리스 도입.
* 조별 리그와 시드 결정전, 플레이오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별 리그와 시드 결정전은 온라인으로 플레이오프는 오프라인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 조별 리그는 3팀씩 1조랑 2조로 나뉘어져 있고 동시에 진행하며 공식 중계가 제공되지 않고 옵저버 화면을 송출하는 지정 중계가 운영됨.
2. 라인업
2.1. 팀장
팀장 명단 | |||||
포지션 | 닉네임 | 참가 경력 | 전 소속팀 | 우승 | 비고 |
JGL | 소우릎 | 6회[1] | 유찰투스, DKT, HPX, 남원 게이밍, 맨류, 크레이지꼴박쑈 | ★ | |
플레임 | 7회[2] | 뒷담원 게이밍, 세나각, 댄스동아리, FSB, 못말린다니깐, 호종대학교, 박치기 공룡 | ★ | ||
인섹 | 2회[3] | TSM!!!?, 구라ㄴ 스펠조작단 | ★ | ||
앰비션 | 1회 | 소년만화 | ★ | ||
갱맘 | 3회 | 해기버스데이, 갱식당, 무관유죄 | ★ | 첫 선수 출전 | |
큐베 | 5회 | 낭만고등학교, ASK, 오만방지턱, 칠순집 막내아들, 애니동아리 | ★ | 첫 선수 출전 |
2.2. 선수
선수 명단 | |||||
포지션 | 닉네임 | 참가 경력 | 전 소속팀 | 우승 | 비고 |
<colbgcolor=#0b0c23,#0b0c23> TOP | 푸린 | 6회 | 족가핵, 보석함, 허언증 갤러리, 푸켓몬스터, 맨류, 소년만화 | ★ | |
승우아빠 | 1회 | 귀살대 | 첫 탑 출전 | ||
치킨쿤 | 7회 | 따갚되, 치낙돼불백, TSM!!!?, 귀살대, 피지컬젤러리, 따봉디제도, 호종대학교 | ★★ | ||
맛수령 | 첫 출전 | ||||
룩삼 | 9회 | 2633, 525, 룩쌍너지옥, BCT, 핵가족, 낭만고등학교, 댄스동아리, 못말린다니깐, E1 | ★ | 2021 S1 MVP | |
던 | 8회 | 장롱스타즈, TSM!!!?, 응애세력, 무관유죄, FSB, 감자해적단, 호종대학교, 박치기 공룡 | ★★★ | 최초의 3회 우승자 | |
MID | 인간젤리 | 6회[4] | C8, DGG, JDG, 피지컬젤러리, E1, 소년만화 | ★★★ | 2019 S3, 2024 S1 MVP 유일 MVP 2회 |
헤징 | 1회 | 구라ㄴ 스펠조작단 | |||
트롤야 | 첫 출전 | ||||
피닉스박 | 첫 출전 | ||||
노페 | 1회 | 내 친구들 | 첫 선수 출전 | ||
네클릿 | 4회 | 너네얍칸푸, 이딴게이밍, 호 해줘, 내 친구들 | |||
BOT | 러너 | 8회 | 룩쌍너지옥, JDG, 뒷담원 게이밍, 꽃보다 잔디, FSB, 칠순집 막내아들, TxT, 박치기 공룡 | ★★ | |
따효니 | 9회 | NDS, JDG, 피지컬젤러리, 세나각, 댄스동아리, 허언증 갤러리, 따봉디제도, E1, 구라ㄴ 스펠조작단 | ★ | ||
플러리 | 8회 | 장롱스타즈, HPX, 대하드라마, 무관유죄, TLG, 푸켓몬스터, 내 친구들, 소년만화 | ★★★ | 다회 펜타킬(3회) 최초 100킬 달성 바텀 최초 2연속 우승 | |
눈꽃 | 5회 | 낭만고등학교, 댄스동아리, 행`s 키친, 감자해적단, 호종대학교 | ★ | 첫 바텀 출전 | |
마소킴 | 첫 출전 | ||||
강퀴 | 4회[5] | 라떼는 말이야, 대하드라마, 보석함, 감자해적단 | |||
SPT | 크캣 | 3회[6] | 이딴게이밍, TxT, 크레이지꼴박쑈 | ||
라콩 | 1회 | 박치기 공룡 | |||
고수달 | 1회 | 구라ㄴ 스펠조작단 | |||
캡틴잭 | 5회[7] | 공쌍초잉잭, 따갚되, 중력쫀나빞삼, TLG, 따봉디제도 | ★★ | ||
이희태 | 첫 출전 | ||||
매드라이프 | 2회[8] | 장롱스타즈, 귀살대 |
2.3. 코치
코치 명단 | |||||
닉네임 | 참가 경력[9] | 전 소속팀 | 우승 | 비고 | |
올레 | 첫 출전 | 비공식 참가 2회[10] | |||
밀리마스 | 첫 출전 | ||||
플라이 | 첫 출전 | ||||
행수 | 1회 | 행's 키친 | 비공식 참가 13회[11] | ||
후니 | 첫 출전 | 비공식 참가 1회[12] | |||
카인 | 첫 출전 |
3. 팀원 경매 및 대진 선정 결과
3.1. 팀원 경매
||<-7><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팀장 경매 포인트 책정
<colbgcolor=#0b0c23,#0b0c23><colcolor=#dedfdf,#dedfdf> 팀장 | 소우릎 | 플레임 | 인섹 | 앰비션 | 갱맘 | 큐베 |
책정 | 200P | 0P | 300P | 400P | 400P | 200P |
잔여 | 800P | 1000P | 700P | 600P | 600P | 800P |
||<|4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color=#1f2023,#ddd>
- 팀장 (정글)
- 소우릎
- 플레임
- 인섹
- 앰비션
- 갱맘
- 큐베
- 탑
- 푸린
- 승우아빠
- 치킨쿤
- 맛수령
- 룩삼
- 던
- 미드
- 인간젤리
- 헤징
- 트롤야
- 피닉스박
- 노페
- 네클릿
- 바텀
- 러너
- 따효니
- 플러리
- 눈꽃
- 마소킴
- 강퀴
- 서포터
- 크캣
- 라콩
- 고수달
- 캡틴잭
- 이희태
- 매드라이프
- 코치
- 올레
- 밀리마스
- 플라이
- 행수
- 후니
- 카인 ||<rowbgcolor=#0b0c23,#0b0c23><rowcolor=#dedfdf,#dedfdf> 포지션 || 선수명 ||<-2> 경매 결과 ||
<colbgcolor=#0b0c23,#0b0c23><colcolor=#fbbb47,#fbbb47> COACH | 행수 | 유찰 | |
BOT | 마소킴 | 갱맘 | 165P |
COACH | 올레 | 유찰 | |
SPT | 캡틴잭 | 유찰 | |
COACH | 후니 | 유찰 | |
MID | 네클릿 | 큐베 | 130P |
TOP | 맛수령 | 유찰 | |
TOP | 던 | 갱맘 | 20P |
SPT | 라콩 | 소우릎 | 300P |
COACH | 밀리마스 | 유찰 | |
BOT | 따효니 | 큐베 | 20P |
TOP | 푸린 | 앰비션 | 50P |
COACH | 카인 | 유찰 | |
MID | 인간젤리 | 유찰 | |
COACH | 플라이 | 인섹 | 5P |
TOP | 치킨쿤 | 인섹 | 200P |
BOT | 러너 | 유찰 | |
BOT | 눈꽃 | 플레임 | 215P |
BOT | 플러리 | 유찰 | |
SPT | 크캣 | 인섹 | 100P |
MID | 헤징 | 소우릎 | 415P |
TOP | 승우아빠 | 소우릎 | 5P |
TOP | 룩삼 | 플레임 | 100P |
TOP | 맛수령 | 큐베 | 자동 낙찰 |
SPT | 이희태 | 유찰 | |
SPT | 매드라이프 | 큐베 | 415P |
BOT | 강퀴 | 인섹 | 155P |
MID | 트롤야 | 유찰 | |
MID | 피닉스박 | 갱맘 | 240P |
MID | 노페 | 앰비션 | 245P |
SPT | 고수달 | 플레임 | 310P |
유찰 경매 | |||
COACH | 행수 | 유찰 | |
COACH | 올레 | 유찰 | |
SPT | 캡틴잭 | 앰비션 | 180P |
SPT | 이희태 | 갱맘 | 자동 낙찰 |
COACH | 후니 | 플레임 | 60P |
COACH | 밀리마스 | 소우릎 | 60P |
COACH | 카인 | 유찰 | |
MID | 인간젤리 | 플레임 | 5P |
MID | 트롤야 | 인섹 | 자동 낙찰 |
BOT | 러너 | 앰비션 | 25P |
BOT | 플러리 | 소우릎 | 자동 낙찰 |
2차 유찰 배정 | |||
COACH | 행수 | 큐베 | 자동 배정 |
COACH | 올레 | 앰비션 | |
COACH | 카인 | 갱맘 |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 경매 결과
<rowcolor=#dedfdf,#dedfdf> 팀 | 탑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 코치 | 잔여 |
<colcolor=#fff> 소우릎 팀 | 승우아빠 5 | 소우릎 팀장 | 헤징 415 | 플러리 0 | 라콩 300 | 밀리마스 60 | 20 |
플레임 팀 | 룩삼 100 | 플레임 팀장 | 인간젤리 5 | 눈꽃 215 | 고수달 310 | 후니 60 | 310 |
인섹 팀 | 치킨쿤 200 | 인섹 팀장 | 트롤야 0 | 강퀴 155 | 크캣 100 | 플라이 5 | 240 |
앰비션 팀 | 푸린 50 | 앰비션 팀장 | 노페 245 | 러너 25 | 캡틴잭 180 | 올레 0 | 100 |
갱맘 팀 | 던 20 | 갱맘 팀장 | 피닉스박 240 | 마소킴 165 | 이희태 0 | 카인 0 | 175 |
큐베 팀 | 맛수령 0 | 큐베 팀장 | 네클릿 130 | 따효니 20 | 매드라이프 415 | 행수 0 | 235 |
3.2. 경기 대진 선정
- 경매가 모두 종료된 이후 잔여 포인트가 적은 팀부터 선택
-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이 포인트가 적은 팀을 빈 자리로 밀어낼 수 있음
||<-7><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잔여 포인트
소우릎 팀 | 플레임 팀 | 인섹 팀 | 앰비션 팀 | 갱맘 팀 | 큐베 팀 |
20P | 310P | 240P | 100P | 175P | 235P |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경기 대진 선택
순서 | 1 | 2 | 3 |
팀 | 소우릎 팀 | 앰비션 팀 | 갱맘 팀 |
선택 | B조 4팀 선택 | A조 1팀 선택 | A조 3팀 선택 |
순서 | 4 | 5 | 6 |
팀 | 큐베 팀 | 인섹 팀 | 플레임 팀 |
선택 | B조 6팀 선택 | B조 6팀 선택 → 큐베팀 A조 2팀 이동 | A조 3팀 선택 → 갱맘팀 B조 5팀 이동 |
||<-4><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조 편성 결과
A조 | 앰비션 팀 | 큐베 팀 | 플레임 팀 |
B조 | 소우릎 팀 | 갱맘 팀 | 인섹 팀 |
4. 참가팀 로스터
4.1. 폭탄 목걸이 (소우릎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승우아빠 TOP SWAB85 | 소우릎 JGL So_urf | 헤징 MID Hejin | 플러리 BOT Flurry | 라콩 SUP Racong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밀리마스 COACH Millimas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폭탄 목걸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폭탄 목걸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신과함께 (플레임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룩삼 TOP Looksam | 플레임 JGL Flame | 인간젤리 MID Jelly | 눈꽃 BOT Noonkkot | 고수달 SUP Gosudal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후니 COACH Huni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신과함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신과함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그정도 아니야ㅎ (인섹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치킨쿤 TOP Chickenkoon | 인섹 JGL inSec | 트롤야 MID Trollya | 강퀴 BOT KangQui | 크캣 SUP CrazyCat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플라이 COACH Fly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그정도 아니야ㅎ#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그정도 아니야ㅎ#|]]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중년만화 (앰비션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푸린 TOP Purin | 앰비션 JGL Ambition | 노페 MID NoFe | 러너 BOT Runner | 캡틴잭 SUP Cpt Jack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올레 COACH Olleh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중년만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중년만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오추바사삭 (갱맘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던 TOP DawN | 갱맘 JGL GBM | 피닉스박 MID PhoenixPark | 마소킴 BOT Masokim | 이희태 SUP LeeHeeTae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카인 COACH Cain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오추바사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오추바사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6. 할만한데? (큐베 팀)
| ||||
<rowcolor=#fff> TOP | JGL | MID | BOT | SPT |
맛수령 TOP Matdictator | 큐베 JGL CuVee | 네클릿 MID Necklet | 따효니 BOT DDaHyoNi | 매드라이프 SUP MadLife |
코치 | <colbgcolor=white,#1c1d1f> 행수 COACH YOLO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할만한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할만한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연습 기간
5.1. 스크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스크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스크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연습 기간 총평
<rowcolor=#fbbb47,#fbbb47> 상대 전적 | <bgcolor=#1102a3> 폭탄 목걸이 | <bgcolor=#55969c> 신과함께 | <bgcolor=#231f20> 그정도 아니야ㅎ | <bgcolor=#074ca1> 중년만화 | <bgcolor=#e2012d> 오추바사삭 | <bgcolor=#aa8a00> 할만한데? | 총 전적 | 승률 |
폭탄 목걸이 | - | 3승 6패 | 0승 3패 | 5승 4패 | 0승 3패 | 1승 4패 | 9승 20패 | 31.0% |
신과함께 | 6승 3패 | - | 4승 2패 | 2승 1패 | 1승 4패 | 3승 0패 | 16승 10패 | 61.5% |
그정도 아니야ㅎ | 3승 0패 | 2승 4패 | - | 3승 3패 | 4승 2패 | 2승 1패 | 14승 10패 | 58.3% |
중년만화[13] | 4승 5패 | 1승 2패 | 3승 3패 | - | 2승 1패 | 1승 2패 | 11승 13패 | 45.8% |
오추바사삭 | 3승 0패 | 4승 1패 | 2승 4패 | 1승 2패 | - | 4승 5패 | 14승 12패 | 53.8% |
할만한데? | 4승 1패 | 0승 3패 | 1승 2패 | 2승 1패 | 5승 4패 | - | 12승 11패 | 52.2% |
2강 3중 1약
종합적인 평가는 2강-3중-1약 구도를 이루고 있으나 2강으로 분류되는 인섹, 플레임 팀에도 파고들만한 약점이 있으며 3중으로 꼽히는 갱맘, 큐베, 앰비션 팀에게도 명확한 강점이 있어 다섯팀 모두 우승을 노려볼만한 가능성이 있다고 점쳐진다. 1약에 위치한 소우릎 팀의 경우에는 아직까지는 아쉬운 모습이 많으나 발전 가능성도 보여줬다. 허나 일정이 매우 촉박한만큼 스크림에서의 성적이 본게임에서도 이어질 확률이 높아보인다.
6. 경기 진행
<keepall> JND | 패치 버전 | 25.14 |
글로벌 밴 | 유나라 |
6.1. 조별 리그
||<-6><tablewidth=400px><bgcolor=#0b0c23,#0b0c23><tablebgcolor=white,#1c1d1f><tablebordercolor=#fbbb47,#fbbb47><tablealign=center>
| |||||||||||||||||||||||||||||||
6.2. 플레이오프
<nopad> | ||||||||
시드 결정전 | 1라운드 | 결승전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dedfdf> 1시드 결정전 (7/17) | |||||||
<nopad><colkeepall> ## 1시드 결정전 1팀 할만한데? A조 1위 | | 0 | ||||||
<nopad> ## 1시드 결정전 2팀 오추바사삭 B조 1위 | | 2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bbb47,#fbbb47> 결승전 (7/19) |
<nopad><colkeepall> ↘ | | 2 |
↗ | | 3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dedfdf> 3시드 결정전 (7/17) | ||||||
<nopad><colkeepall> ## 3시드 결정전 1팀 신과함께 A조 2위 | | 1 | |||||
<nopad> ## 3시드 결정전 2팀 폭탄 목걸이 B조 2위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dedfdf> 준결승전 (7/19) |
<nopad><colkeepall> ↘ | | 2 |
<nopad> ↗ | | 0 | }}} | |
<keepall> 연두색: 라운드 승리 | 노란색: 2025 자낳대: LoL 우승 |
7. 주요 기록
7.1. MVP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 MVP | |
| |
<colbgcolor=#0b0c23><colcolor=#fbbb47> 소속팀 | 할만한데? |
이름 | 큐베 |
ID | JGL CuVee |
포지션 | 정글 |
8. 총평 및 결산
최악의 운영, 최고의 경기력으로 요약 가능한 자낳대였다. 섭외 단계부터 일정, 장소, 대회 진행까지 모든 단계에서 삐걱거림을 보여주며 대회 내내 최악의 운영을 보여주었지만, 그럼에도 선수들이 5꽉 최후까지 명승부를 펼치며 대회를 마무리했다.특히 낙오전때 해동 하나도 안된채로 나와서 팀원들에게 너무 미안한 감정을 느껴 이번엔 정말 이를 갈고 현역 때의 그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호언장담하며 나와 결국 우승으로 증명해낸 매드라이프나, 이미 JDG에서 우승을 맛 봤으나 그런 버스우승은 본인이 인정하지 않는다고 진짜 우승을 하고 싶다고 천명한 뒤 5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계속 노력해 에메랄드까지 티어를 올리고 결국 본인이 바라던 '진짜 우승'을 이뤄낸 따효니, 드디어 무관 탈출을 한 네클릿 등의 서사가 패패승승승이라는 드라마틱한 경기 흐름과 어우러져 최고의 스토리를 가진 자낳대라는 평이 많다.
하지만 운영 측면에서는 정말 삐걱거리는 부분이 한두 군데가 아니었다. 우선 대회 초반, 조별리그를 동시 중계하는 방식부터 큰 불만을 낳았다. A조와 B조가 동시에 경기를 진행하다 보니 시청자들은 각자 개인 방송을 보듯이 경기를 지켜봐야 했고, 이로 인해 대회라는 느낌은커녕 평소의 내전 같은 분위기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물론 이와 관련해 네클릿이 여러 차례 언급했듯 자낳대 일정은 MSI와 LCK 사이에 끼어 있어 매우 촉박했으며, 오프라인 대회 특성상 관객 편의를 고려해 토요일 경기를 고수해야 했다는 점에서 일정 운영에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발생한 형평성 논란은 선수들이 만든 최고의 경기에 먹칠을 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승 진출전 당시 승우아빠가 스펠 실수로 텔레포트를 못 들었을 때, 페널티를 감수하고서라도 수정이 가능한지 문의했지만 진행 요원은 손을 내저으며 불가 의사를 내비쳤다. 반면, 결승전에서 갱맘이 동일한 실수로 강타를 들지 못했을 때는 운영 측에서 재경기를 허용해 형평성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자 운영 측은 "승우아빠는 개인 실수였고, 갱맘은 클라이언트 오류였다"고 해명했지만, 이는 명백히 허위에 가까운 설명이었다. 갱맘 본인조차 자신의 실수임을 인정하며 노 스마를 감수하더라도 경기를 진행하려고 했으나 운영진은 재경기를 강행했다. 결국 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운영 측은 다음 세트 시작 전에 '정글러가 강타를 들지 않았을 경우에는 재경기를 한다'는 규정이 있었다는 설명과 함께 갱맘 팀의 밴 카드를 한 장 몰수하는 것으로 사태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정말로 규정이 있었다면 왜 처음에는 클라이언트 오류라는 해명을 했는가라는 의문에 대해서는 해소되지 않았다.
이후 감사 및 사과 공지를 게시했으나 내용은 전형적인 잘못에 대해 정확하게 얘기하지 않는 사과문의 형태였다. 결국 자낳대는 오프라인 운영에 대한 깊은 숙제를 남긴 채 마무리되었다.
8.1. 최종 순위
<nopad> 최종 순위 | |||||
순위 | 팀 | 승패 | 상금 | 비고 | |
우승 | 할만한데? | 8승 5패 | 1,500만 원 | [14] | |
준우승 | 오추바사삭 | 8승 3패 | 800만 원 | [15] | |
3위 | 폭탄 목걸이 | 4승 6패 | 500만 원 | [16] | |
4위 | 신과함께 | 3승 4패 | 200만 원 | [17] | |
5위 | 그정도 아니야ㅎ | 1승 4패 | 0원 | [18] | |
6위 | 중년만화 | 1승 3패 | 0원 |
9. 여담
===# 경매 이전 #===- 명단이 발표된 달인 2025년 6월, 네클릿은 지속적으로 개인 방송 도중 2022 자낳대 시즌 1에서 와디드-김여뉴 계정 공유 사건이라는 초대형 사고를 친 와디드를 만날 것이라는 언급을 지속적으로 했고, 명단 발표 하루 전인 6월 29일 인간젤리와 함께 와디드를 오프라인으로 만나면서 해당 사건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하필 이러한 약속을 잡게 된 것이 명단 발표 직전이라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와디드가 자낳대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19], 나아가서 사과 방송을 하필 지금 잡은 이유가 자낳대 출전 전에 세탁하려고 나온 것이냐는 비난을 날렸다.
하지만 네클릿은 명단 공개 방송에서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그 분은 등장하지 않으시며, 그 억측으로 인해 많이 힘들었다.[20] 그 분에 대해 언급한 채팅은 따로 밴을 하겠다"고 못을 박으며[21] 사실상 와디드의 자낳대 참여를 부정했다. 이후 발표된 감독 명단, 조별 지정 해설진 명단에서도 와디드의 이름은 나오지 않았다. 애초에 네클릿은 이전부터 와디드를 개인으로는 용서해도 회사로써는 용서할 수 없다는 스탠스를 취했으며, 와디드를 만날 것이라고만 언급했을 뿐 개인 방송이나 와디드와의 합방에서나 와디드의 자낳대 참여를 확답하지는 않았다. 두 사람간의 일정을 조율하다 보니 어쩌다가 자낳대 시즌까지 미뤄졌던 것으로 보인다.
- 작년에 이어 단일 연도 시즌으로 열리게 되었다. 작년엔 시즌 1로 시즌 2를 염두에 둔 듯한 네이밍으로 나왔지만 올해는 아예 시즌 표기까지 뺐다. 2025년부터 LCK를 비롯한 LoL e스포츠 국제 대회의 포맷이 변경되어 개최 가능한 일정이 타이트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경매날부터 본 대회까지 기간이 역대 가장 짧은 5일이다.
- 이번 자낳대의 정식 명칭은 2025 자낳대: 이름 없는 초대장으로, 처음으로 대회 이름에 부제가 붙은 대회다.
- 섭외 인원의 평균 티어가 높은 것과 결정적으로 오프라인 참가가 가능한 선수들이 섭외된 대회라 그런지 미드에 헤징, 트롤야를 제외하면 전부 남자 스트리머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얼마 전까지 프로팀 감독을 했던 노페가 감코진도 아닌 선수로 자낳대에 출전하게 되었다.
- 기존에 자낳대에서 해설 경력이 있거나 해설이 가능한 인원들로 꼽히던 강퀴는 원딜로 참전, 울프는 T1이 MSI와 EWC에 모두 진출했기 때문에 같이보기로 중계를 해야 하는 입장이라 일정이 맞지 않았고[22], 네클릿도 선수로 출전하는 상황이라 이번에는 자낳대 최초로 LCK 현직 중계진으로만 구성되었다.[23] 고수진 해설과 임주완 해설은 인벤 방송국 시절부터 활동해 네클릿과는 연이 깊었기에 섭외는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 명단 공개 시점에서 감독들은 일정 조율의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는데, 전 프로는 물론 현역 감코진 출신까지도 여럿 있는 상황[24]에서 과연 어떤 감독이 이들을 이끌 수 있는지도 관심사였다. 이후 공개된 감독은 행수를 제외하면 전부 1부 리그에서 감코진으로 일했던 인물 내지는 현역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고[25], 행수 역시 이들에게 절대적인 이름값은 밀릴지언정 자낳대에서는 쌍베 전용 코치 등으로 잔뼈가 굵은 코치이다.
- 스크림 기간이 너무 짧은 것 같다는 의견도 나오기도 했다. 피닉스박의 경우 너무 긴 내전 기간에 비해 스크림 기간이 4일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으며, 소우릎 역시 스크림 기간을 못해도 일주일 정도 둬야 팀케미도 생기고 합도 잘 맞출 수 있지 않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26] 다만 현재의 스크림 기간도 참가 스트리머들의 의견을 받으며 계속 줄여왔던 것임을 감안하면[27] 이러한 의견이 어느 정도까지 반영될지는 아직 미지수에 가깝다.
- 쇼케이스 첫날 이희태가 원챔 유저의 단점만 보여주는 파멸적인 퍼포먼스[28]로 원시미누에 비견되며 섭외에 대한 우려가 나왔으나, 챌린저를 노름으로 딴 게 아니라는 듯 쇼케이스 기간 내내 자신의 단점을 최대한 고쳐오고 빠르게 서포터 실력을 끌어올리면서 반드시 피해야 되는 매물에서 유찰로 스며들 정도는 된다고 평가가 반전되었다. 오히려 서포터 이해도가 전무한 캡틴잭보다 낫다는 의견도 있을 정도. 참가자들과 시청자들의 반응을 조합해보면 라인전에서는 그나마 구도를 조금이라도 아는 캡틴잭이 근소하게 좋고 한타 단계에서는 챌린저 짬이 있는 이희태가 근소하게 좋다는 반응이다.
9.1. 경매 ~ 대회 기간
- 자낳대 홈페이지는 유기한건지 2025 자낳대: 발로란트부터 갱신이 안 되고 있으며, 본 대회도 또한 팀 로고도 만들어졌음에도 별도 페이지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 현장 문제인지 오프라인 대회 내내 장비 문제가 발생하며 게임이 수차례 지연되었다.
9.2. 대회가 끝난 이후
- 시상식 진행 중 김정미 치지직 셀장이 등장해 12월 초에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가 있을 예정이라고 공개했다. 지금까지의 대규모 롤 대회는 대부분 자낳대, 인챈트에서 개최하는 대회였기 때문에 '인챈트의 대회'라는 색깔이 강했으나 아무래도 네이버 임원급 인물이 직접 나와서 치지직에서 롤 대회가 있을 예정이라고 밝힌 내용이니 만큼 규모나 대회 진행 방식 등에 대해 벌써부터 기대하는 시청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2024년 대회때보다 전반적으로 규모를 축소한 모양새였으며[29] 플랫폼 통합대회 개편방안 역시 거의 실현되지 않았다.
- 21일 월요일에는 2세트를 캐리하고 오만에 취했다가 세트 랜덤픽으로 준우승의 범인이 된 던이
인챈트 지하 46실에 감금된아이젠 코스프레(?) 방송을 진행했다.
[1] 선수 3회, 감독 3회[2] 선수 1회, 감독 6회[3] 선수 1회, 감독 1회[4] 선수 4회, 감독 2회[5] 선수 1회, 감독 3회[6] 선수 1회, 감독 2회[7] 선수 2회, 감독 3회[8] 선수 1회, 감독 1회[9] 공식 참가만 기재[10] 뒷담원 게이밍, 댄스동아리[11] 공쌍초잉잭, 라떼는 말이야, DGG, DKT, 룩쌍너지옥, 재넌지원금, 귀살대, 대하드라마, 세나각, 댄스동아리, 푸켓몬스터, 호종대학교, 박치기 공룡[12] 푸켓몬스터[13] 김뿡이 대타로 참가한 스크림 전적은 제외[14] 조별리그 3승 1패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패
준결승전 2승
결승전 3승 2패[15] 조별리그 4승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승
결승전 2승 3패[16] 조별리그 1승 3패
TB 승리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승 1패
준결승 2패[17] 조별리그 2승 2패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1승 2패[18] 조별리그 1승 3패
TB 패배[19] 하술하듯이 해설이 가능한 인원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 '얼마나 해설진이 없었으면 와디드까지 불러야 했겠냐'라는 명분도 있었다.[20] 전날 진행된 와디드와의 합방에서도 채팅창은 와디드와 자낳대를 엮으며 와디드를 비난하느라 개판 5분 전 상태였다.[21] 이 발언을 할 당시에는 와디드가 해설진으로도 참여하지 않는다는 소식에 그럼 감코냐면서 와디드의 자낳대 출연을 자기들끼리 확신한 채 온갖 억측이 올라오고 있었다.[22] 추가로 본인이 이야기하길, 아직도 공황장애가 심각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최대한 방문을 자제하는 편인데 이번 자낳대는 관객을 받는 오프라인 무대가 확정인지라 참가하기 매우 힘들 것 같다며 해설을 거절했다고 한다.[23] 이 영향으로 매년 MSI 때마다 현지로 파견됐던 전용준 캐스터의 경우 이번 MSI는 자낳대 중계로 인해 한국에 남고 대신 성승헌 캐스터가 MSI 현지 중계로 파견되었다.[24] 강퀴, 갱맘, 노페. 심지어 갱맘과 노페는 최근까지도 감독으로 일했다.[25] 유일하게 플라이만 감코진 경험이 없는데, 그렇다고 자낳대에 선수로 참여하기에는 아직 챌린저를 왔다갔다할 정도로 출중한 폼을 보여주고 있어서 불가능했다. 발언을 미루어 보면 본인은 선수 출전을 희망한 것으로 보이나 며칠 전까지 챌린저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다른 포지션으로 전향해도 출전이 쉽지 않아 보였다. 7월 6일 기준으로 다시 챌린저에 복귀했다.[26] 소우릎의 경우 2주까지도 오케이라고 말하기도 했다.[27] 물론 이번 대회 일정이 이렇게 짜여진 가장 큰 이유는 MSI 때문이긴 하다. 라이엇 주관 대회와 자낳대 공식 대회 일정이 겹쳐서는 안 되기 때문. 자낳대 일정과 EWC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경기 기간이 겹치기는 하나 EWC는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다.[28] 누누와 윌럼프 외 챔피언 숙련도 제로, 솔랭전사 특유의 전무한 콜 플레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팀게임 이해도[29] 다만 대회 진행 규모에 관해서는 MSI 종료와 LCK 정규시즌 3라운드 개막까지의 텀이 매우 빡빡해 연습 기간 및 본선 경기 수를 늘리기엔 여러가지 이유가 겹쳐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것이 중론이라 대회 규모의 축소에는 이쪽의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패
준결승전 2승
결승전 3승 2패[15] 조별리그 4승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승
결승전 2승 3패[16] 조별리그 1승 3패
TB 승리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2승 1패
준결승 2패[17] 조별리그 2승 2패
플레이오프 시드 결정전 1승 2패[18] 조별리그 1승 3패
TB 패배[19] 하술하듯이 해설이 가능한 인원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 '얼마나 해설진이 없었으면 와디드까지 불러야 했겠냐'라는 명분도 있었다.[20] 전날 진행된 와디드와의 합방에서도 채팅창은 와디드와 자낳대를 엮으며 와디드를 비난하느라 개판 5분 전 상태였다.[21] 이 발언을 할 당시에는 와디드가 해설진으로도 참여하지 않는다는 소식에 그럼 감코냐면서 와디드의 자낳대 출연을 자기들끼리 확신한 채 온갖 억측이 올라오고 있었다.[22] 추가로 본인이 이야기하길, 아직도 공황장애가 심각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최대한 방문을 자제하는 편인데 이번 자낳대는 관객을 받는 오프라인 무대가 확정인지라 참가하기 매우 힘들 것 같다며 해설을 거절했다고 한다.[23] 이 영향으로 매년 MSI 때마다 현지로 파견됐던 전용준 캐스터의 경우 이번 MSI는 자낳대 중계로 인해 한국에 남고 대신 성승헌 캐스터가 MSI 현지 중계로 파견되었다.[24] 강퀴, 갱맘, 노페. 심지어 갱맘과 노페는 최근까지도 감독으로 일했다.[25] 유일하게 플라이만 감코진 경험이 없는데, 그렇다고 자낳대에 선수로 참여하기에는 아직 챌린저를 왔다갔다할 정도로 출중한 폼을 보여주고 있어서 불가능했다. 발언을 미루어 보면 본인은 선수 출전을 희망한 것으로 보이나 며칠 전까지 챌린저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다른 포지션으로 전향해도 출전이 쉽지 않아 보였다. 7월 6일 기준으로 다시 챌린저에 복귀했다.[26] 소우릎의 경우 2주까지도 오케이라고 말하기도 했다.[27] 물론 이번 대회 일정이 이렇게 짜여진 가장 큰 이유는 MSI 때문이긴 하다. 라이엇 주관 대회와 자낳대 공식 대회 일정이 겹쳐서는 안 되기 때문. 자낳대 일정과 EWC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경기 기간이 겹치기는 하나 EWC는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다.[28] 누누와 윌럼프 외 챔피언 숙련도 제로, 솔랭전사 특유의 전무한 콜 플레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팀게임 이해도[29] 다만 대회 진행 규모에 관해서는 MSI 종료와 LCK 정규시즌 3라운드 개막까지의 텀이 매우 빡빡해 연습 기간 및 본선 경기 수를 늘리기엔 여러가지 이유가 겹쳐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것이 중론이라 대회 규모의 축소에는 이쪽의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